Description
우리는 보통 습관적으로 인류학을 ‘타자(the others)’에 관한 학문으로 간주하는데 이것은 인류학 형성 초기에 옛 부족사회(서구사회에 상대한)에 대한 타자적 사고에서 비롯된 것이다. 현재도 우리는 총체론적 관점에서 우리와 그들 사이의 차이와 동질성을 성찰한다. 인류학에서 말하는 ‘타자’는 자기와 다른 사람들을 가리키기도 하지만, 자기와 다른 문화(other cultures)를 가리킨다. 초기 인류학자들의 현지조사는 자문화와 타문화가 접촉할 때 나타나는 문화적 충돌과 문화적 평가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였다. 그러나 최근 인류학자들은 타문화와 타문화의 연구 성과인 ‘타자성’을 활용하여 자문화를 해석하고 재구성하고 있다.
타자의 문화와 인간성의 내적 특징과 발전의 딜레마를 통해 인류의 미래 발전 방향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전통적인 서양 인류학의 학문 분류 체계에서는 타문화를 이해하는 관점에서 정치, 경제, 친족 제도, 과학, 종교, 생태, 예술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연구하여 사회와 문화를 분석한다. 인류학 분석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들은 세계화된 오늘날에는 이미 너무 기계적인 것이 되었으며, 인류학의 연구 범주도 새로운 관점에서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총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20세기 중반 이전의 서구 국가들은 식민지 확장으로 인해 자신과 다른 타자에 대한 인식과 기술(記述)이 이 시기의 중요한 학문적 특징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점차 타자의 세계와 문화를 인식하는 두 학문이 형성되었는데, 하나는 20세기 전반의 민족
지(ethnography) 또는 문화인류학(사회인류학)이며, 다른 하나는 20세기 후반의 지역연구(area studies)이다. 최근 수십 년 동안 문화인류학자들의 관심 분야는 점점 더 광범위해졌다. 단순사회 또는 폐쇄적인 원시 공동체의 소멸과 동화(同化)로 인해 인류학자들은 더 복잡한 사회의 하위 문화 현상에 대해 점점 더 많이 연구하게 되었고 현대 생활 유형과 문화의 변화에 대해서도 연구하기 시작했다. 특히 세계화의 맥락에서 인류학의 전통적인 두 연구 분야인 민족지 연구와 지역 연구는 하나로 통합되어 세계화가 가져온 새로운 문제와 이념을 인식하고 있다. 사실, 인류학자들은 전체적, 다문화적, 진화적 연구를 교묘하게 결합하여 현대 사회의 여러 문제를 연구하는 인류학 연구 모델을 만들었다.
본 책에 수록된 논문들은 대부분 이런 맥락에서 전개된 것으로 주로 인류학의 학문 정립과 학술적 자각, 사회와 문화의 다양성 표현, 응용인류학과 발전의 딜레마, 세계화와 지역화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이 저서는 중국 인류학 학회 부회장 마궈칭 교수가 2016년에 그간에 발표한 논문들을 책으로 엮어 출판한 것으로, 중국 인류학 연구의 중요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연구 시야가 넓고 연구 주제가 다양하다는 것이다. 인류학, 사회학, 민족학을 아우르면서 멀리는 17세기 사회학자들의 이론으로부터 최근의 학제간 개념, 경계를 넘나드는 인류학 이론까지, 세계화와 지역화의 문제, 세계화의 물결속에서 부대끼는 소수 민족들의 운명, 더 작게는 대학의 교양과목에 이르기까지, 또한 원시사회의 분배 법칙으로부터 현재의 세계 경제 체제론, 하다못해 중국의 향진 기업과 농민공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고금동서 인간 삶의 삼라만상을 포함하고 있다. 이 점은 색인만 훑어보아도 넉넉히 짐작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이론과 실제 사례를 적절하게 결합하고 문체가 지나치게 딱딱하지 않다는 것이 이 저서의 또 다른 한 특징이다. 유명 학자들의 이론을 종합 정리한 바탕 위에 자신의 깊이 있는 사고를 펼쳐 보여주고 생동한 사례들을 곁들여 설명하기 때문에 일반 독자들도 쉽고 재미있게 접할 수 있을 것 같다. 이론서이지만 어쩌면 세상 사람들이 살아가는 이야기라서 번역하는 내내 너무 지루하지 않고 재미가 있었다.
마궈칭 교수는 중국의 저명한 인류학자 페이샤오퉁 선생의 제자로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하여 페이샤오퉁 선생을 비롯한 중국의 1세대 인류학자들의 학문적 성취와 함께 중국 인류학의 학문적 흐름과 체계를 대략 알 수 있을 것이다. 인류학은 서양에서 발원하여 주로 서양 학자들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는데, 그들과는 다른 중국 인류학 연구 성과를 한국 독자들에게 소개함으로써 교류와 소통의 기회를 마련할 수 있게 되어서 기쁘다.
지금 우리는 유례가 없는 격변의 시대를 살고 있다. 어제까지 굳게 믿고 있던 삶의 수단과 방식, 질서, 제도, 가치 체계가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고 전과는 전혀 다른 세상이 우리 앞에 펼쳐지고 있으나 우리는 아직 그 모습을 똑똑히 붙잡아 볼 수 없다. 이런 시대일수록 인류학이 더 필요하리라. 인류가 지나온 과거와 현재 겪고 있는 여러 상황을 분석하고 총화하고 인류가 나아갈 또는 나아가고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 또한 인류학의 몫이리라. 이러한 때 이 책을 통해 시대적 흐름에 좀 더 의미 있게 합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타자의 문화와 인간성의 내적 특징과 발전의 딜레마를 통해 인류의 미래 발전 방향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전통적인 서양 인류학의 학문 분류 체계에서는 타문화를 이해하는 관점에서 정치, 경제, 친족 제도, 과학, 종교, 생태, 예술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연구하여 사회와 문화를 분석한다. 인류학 분석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들은 세계화된 오늘날에는 이미 너무 기계적인 것이 되었으며, 인류학의 연구 범주도 새로운 관점에서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총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20세기 중반 이전의 서구 국가들은 식민지 확장으로 인해 자신과 다른 타자에 대한 인식과 기술(記述)이 이 시기의 중요한 학문적 특징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점차 타자의 세계와 문화를 인식하는 두 학문이 형성되었는데, 하나는 20세기 전반의 민족
지(ethnography) 또는 문화인류학(사회인류학)이며, 다른 하나는 20세기 후반의 지역연구(area studies)이다. 최근 수십 년 동안 문화인류학자들의 관심 분야는 점점 더 광범위해졌다. 단순사회 또는 폐쇄적인 원시 공동체의 소멸과 동화(同化)로 인해 인류학자들은 더 복잡한 사회의 하위 문화 현상에 대해 점점 더 많이 연구하게 되었고 현대 생활 유형과 문화의 변화에 대해서도 연구하기 시작했다. 특히 세계화의 맥락에서 인류학의 전통적인 두 연구 분야인 민족지 연구와 지역 연구는 하나로 통합되어 세계화가 가져온 새로운 문제와 이념을 인식하고 있다. 사실, 인류학자들은 전체적, 다문화적, 진화적 연구를 교묘하게 결합하여 현대 사회의 여러 문제를 연구하는 인류학 연구 모델을 만들었다.
본 책에 수록된 논문들은 대부분 이런 맥락에서 전개된 것으로 주로 인류학의 학문 정립과 학술적 자각, 사회와 문화의 다양성 표현, 응용인류학과 발전의 딜레마, 세계화와 지역화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이 저서는 중국 인류학 학회 부회장 마궈칭 교수가 2016년에 그간에 발표한 논문들을 책으로 엮어 출판한 것으로, 중국 인류학 연구의 중요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연구 시야가 넓고 연구 주제가 다양하다는 것이다. 인류학, 사회학, 민족학을 아우르면서 멀리는 17세기 사회학자들의 이론으로부터 최근의 학제간 개념, 경계를 넘나드는 인류학 이론까지, 세계화와 지역화의 문제, 세계화의 물결속에서 부대끼는 소수 민족들의 운명, 더 작게는 대학의 교양과목에 이르기까지, 또한 원시사회의 분배 법칙으로부터 현재의 세계 경제 체제론, 하다못해 중국의 향진 기업과 농민공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고금동서 인간 삶의 삼라만상을 포함하고 있다. 이 점은 색인만 훑어보아도 넉넉히 짐작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이론과 실제 사례를 적절하게 결합하고 문체가 지나치게 딱딱하지 않다는 것이 이 저서의 또 다른 한 특징이다. 유명 학자들의 이론을 종합 정리한 바탕 위에 자신의 깊이 있는 사고를 펼쳐 보여주고 생동한 사례들을 곁들여 설명하기 때문에 일반 독자들도 쉽고 재미있게 접할 수 있을 것 같다. 이론서이지만 어쩌면 세상 사람들이 살아가는 이야기라서 번역하는 내내 너무 지루하지 않고 재미가 있었다.
마궈칭 교수는 중국의 저명한 인류학자 페이샤오퉁 선생의 제자로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하여 페이샤오퉁 선생을 비롯한 중국의 1세대 인류학자들의 학문적 성취와 함께 중국 인류학의 학문적 흐름과 체계를 대략 알 수 있을 것이다. 인류학은 서양에서 발원하여 주로 서양 학자들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는데, 그들과는 다른 중국 인류학 연구 성과를 한국 독자들에게 소개함으로써 교류와 소통의 기회를 마련할 수 있게 되어서 기쁘다.
지금 우리는 유례가 없는 격변의 시대를 살고 있다. 어제까지 굳게 믿고 있던 삶의 수단과 방식, 질서, 제도, 가치 체계가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고 전과는 전혀 다른 세상이 우리 앞에 펼쳐지고 있으나 우리는 아직 그 모습을 똑똑히 붙잡아 볼 수 없다. 이런 시대일수록 인류학이 더 필요하리라. 인류가 지나온 과거와 현재 겪고 있는 여러 상황을 분석하고 총화하고 인류가 나아갈 또는 나아가고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 또한 인류학의 몫이리라. 이러한 때 이 책을 통해 시대적 흐름에 좀 더 의미 있게 합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인류학의 글로벌 의식과 학술적 자각 (양장)
$4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