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의 경계 : K-컬처의 혼종성과 확장성 -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아시아 학술연구총서 14 (양장)

한류의 경계 : K-컬처의 혼종성과 확장성 -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아시아 학술연구총서 14 (양장)

$30.00
Description
대중문화란 ‘대중이 주체가 되어 생산하고 소비하는 문화 현상과 그 산물’이라 할 수 있다. 18, 19세기부터 20세기에 걸쳐 세계 각지에서 근대 국민국가가 형성되면서 기존의 신분 사회가 해체되고 대중 사회가 출현했다. 많은 지역에서 비교적 균질적이고 평균적인 교육의 보급과 신문・잡지・라디오와 같은 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문화의 대량 소비가 일어나는 것도 20세기의 일이다. 이렇게 되자 대중문화는 종전의 소위 고급문화를 압도하기에 이르렀다. 오늘날 ‘대중문화’는 인간의 생활 곳곳에서 중요한 심미적 태도를 결정짓는 문화 양식의 총체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20세기 말까지 대중문화를 선도해간 지역은 주로 유럽과 미주였다. 그러나 최근 20, 30년을 돌아볼 때 이러한 현상은 분명히 달라졌다. 일본의 애니메이션과 인도의 영화산업, 그리고 K–Pop과 같은 한류의 각 장르는 세계인의 눈과 귀를 사로잡고 있다. 이제 아시아는 세계 대중문화의 중심이 되고 있다. 특히 한류의 약진에 관한 뉴스를 접하다보면 한국인으로서 크나큰 자긍심을 갖게 된다. 1990년대에는 일본의 대중음악(J–Pop)이 아시아권에서 유행했고 당시에는 꽤 대단하다고 봤었다. 하지만 지금의 K–Pop만큼 전 세계를 휩쓸지는 못했던 것 같다.
한류는 영화, 드라마, 음악, 문학 등 예술(예능) 장르뿐만 아니라 패션, 뷰티, 의료, 음식 등 생활 문화에 이르기까지 실로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전개되고 있다. 20세기에는 늘 세계 대중문화의 ‘변두리’에서 ‘중심’을 동경하는 입장이었던 한국의 대중문화가 21세기 한류의 대유행과 함께 이렇게까지 주목을 받으리라고 누구도 상상하지 못했을 것이다. 거기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무언가 분명히 세계인의 마음을 사로잡는 매력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지금까지 한류에 관한 많은 논의가 경제적 타산이나 자국중심주의적 사고에 머무르는 일이 없었는지 이제는 반성해볼 필요가 있다.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는 2019년도부터 ‘아시아 대중문화와 한류의 상호 이해에 기반한 인문학 교육’을 주제로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아시아대중문화 시리즈〉는 한류와 아시아 대중문화를 주요 논의의 대상으로 하여 의미 있는 학술적 성과를 담아내어 학계와 사회 일반에 널리 공유할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나아가 대중문화에 대한 인문학적 관점에서의 논구와 사유를 통해 자문화와 타문화의 조화로운 공존을 꾀하고, 보다 풍요로운 인류의 문화적 자산을 가꾸어가는 데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저자

진달용,김경호,김학순,정백수,이하나,양영자,조규헌,김욱,이가현,이석,김새미

저자:진달용
캐나다SimonFraserUniversity특훈교수,커뮤니케이션전공.대표저서로는『UnderstandingKoreanWebtoonCulture:TransmediaStorytelling,DigitalPlatforms,andGenres』(2022),『한류신화에관한10가지논쟁』(2022),『ArtificialIntelligenceinCulturalProduction:CriticalPerspectivesonDigitalPlatforms』(2021),『GlobalizationandMediaintheDigitalPlatformAge』(2019),『NewKoreanWave:transnationalculturalpowerintheageofsocialmedia』(2016)등이있다.

저자:김경호
일본메지로대학외국어학부한국어학과교수,한일대조어학(음운론,번역학,표기)전공.대표논저로는『국가주의를넘어선일본과한국의공생과교류(家主義を超える日韓の共生と交流)』(일본明石書店,2016.6),「한글표기를통한한자어어휘교육에관한제언」(『InternationalJournalofKoreanAppliedLinguistics』3,2022.2),「세계지도(지리서)의외국지명한자표기에관한서지적고찰」(『아시아문화연구』45,가천대학교아시아문화연구소,2017.12)등이있다.

저자:김학순
충남대학교일어일문학과조교수,일본고전문학전공.대표논저로는『세계SF콘텐츠,도래하지않은현실로서의미래』(북마크,2024.1),『일본인의질병대책과의료현장』(지식공간,2023.2),「에도시대과학기술과SF적인상상력<가라쿠리>기술의발전과로봇의시작」(『일본어문학』99,한국일본어문학회,2023.12),「에도문학에잠입한닌자변신하는닌자와진화하는인술」(『일본문화학보』96,한국일본문화학회,2023.2)등이있다.

저자:정백수
일본오비린대학리버럴아츠학군교수,비교문학전공.대표저서로는『あいだの日韓文』(美林大出版部,2023),『日韓近代文の交差』(明石書店,2014),『コロニアリズムの超克』(草風館,2007)등이있다.

저자:이하나
대만중국문화대학교(中國文化大學)한국어문학과조교수,문화콘텐츠학전공.대표논저로는「공자서사(孔子敍事)로서공문도통(孔門道統)의서술체제와창작의의미고찰」(『JournalofKoreanCulture』47,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2019.11),「韓國文廟祭禮의變化樣相考察을통한孔子의位相硏究」(『동아시아고대학』46,동아시아고대학회,2017.6),「『論語』의문화콘텐츠스토리텔링(Storytelling)양상과가능성」(『民族文化』46,한국고전번역원,2015.12)등이있다.

저자:양영자
대만실천대학교(實踐大學)국제기업관리학과(國際企業管理學系)조교수,중국학전공.대표논저로는공저『ASIACULTURELAB1신과인간』,『ASIACULTURELAB2삶과문화』(국립아시아문화전당,2018)와「대만한국어학습자의학습동기분석대만실천대학교『기초한국어』과목이수자를중심으로」(『중국인문과학』83,중국인문학회,2023.4),「台灣地方節慶活動經濟效益之究以2019高雄內門宋江陣例」(『중국인문과학』74,중국인문학회,2020.4)등이있다.

저자:조규헌
상명대학교인문콘텐츠학부한일문화콘텐츠전공교수,일본학전공.주요논문으로는「탈(脫)한류하는일본속K컬처:문화수용에서문화융합으로」(『아시아리뷰』13,서울대학교아시아연구소,2023.12),「뉴미디어시대의한일간문화융합프로세스에관한일고찰:소확행과일본여행의접점」(『일본연구』39,고려대학교글로벌일본연구원,2023.1)「3,4차일본한류현상의특수성고찰」(『일본문화연구』77,동아시아일본학회,2021.1),「일본크리에이티브산업과도시문화콘텐츠의관계성:도쿄브랜드를중심으로」(『외국학연구』51,중앙대학교외국학연구소,2020.1)등이있다.

저자:김욱
서울대학교일본연구소학술연구교수,일본근현대문학전공.최근논저로는「전시기조선대만의어용문인단체와대동아문학자대회」(『일본문화연구』90,동아시아일본학회,2024.4),「NHK대하드라마<료마전>과일본의사카모토료마(坂本龍馬)인식:시바료타로<료마가간다>와의연관성을중심으로」(『일본연구』39,고려대학교글로벌일본연구,2023.2),공저로「TheEthicalConflictsinViewsofaColonyfromJapaneseLiteratureinColonialKoreainthe1920s:WavesofthePeninsulaintheKeijoDailyNews」(『Forumforworldliteraturestudies』155,KnowledgeHubPublishingCompanyLimited(HongKong),2023.12)등이있다.

저자:이가현
가천대학교아시아문화연구소연구교수,일본근현대문학전공.대표논저로는『세계SF콘텐츠,도래하지않은현실로서의미래』(북마크,2024.1),「여성과천황제미시마유키오의「여자는점령당하지않는다」와오에겐자부로의『익사』를중심으로」(『일본학보』136,한국일본학회,2023.8),「동아시아SF×BL서사의트랜스휴머니즘적상상력과젠더섹슈얼리티실험」(『중국소설논총』67,한국중국소설학회,2022.8)등이있다.

저자:이석
인천대학교일본지역문화학과조교수,일본서브컬처전공.대표논저로는『시코쿠에서일본을읽다』(공저,yeondoo,2023.5),「1970년대전환기의일본록음악에관한고찰록밴드핫피엔도와캐롤에주목하여」(『일본학』56호,동국대학교일본학연구소,2022.4),「1990년대한국의『은하영웅전설』수용에관한고찰1990년대초반베스트셀러와의비교연구」(『현대소설연구』87,한국현대소설학회,2022.9)등이있다.

저자:김새미
한국예술종합학교학술연구교수,유럽문화정책전공.대표논저로는「NewPerspectivesontheKoreanWave」(『TheRoutledgeHandbookofEuropeKoreaRelations』,Routledge,2021.12),「뉴미디어와한류콘텐츠지원정책연구」(『국제학논총』,국제학연구소,2021.6),「평화문제와문화영역에서의실천연구:유럽연합의‘문화간대화’정책을중심으로」(『문화와정치』8(2),한양대평화연구소,2021.6)등이있다.

목차

1부K컬처의혼종성과인문학적관점

한류에서‘K’의사회문화적담론초국가적근접성으로의전환/진달용
Ⅰ.머리말
Ⅱ.한류(KoreanWave)에서K의의미
Ⅲ.한류의성장
Ⅳ.한류에K는있는가
Ⅴ.한류에서K의의미초국가적근접성을중심으로
Ⅵ.맺음말
일본내한류(K컬처)현상과인문학적관점/김경호
Ⅰ.머리말
Ⅱ.인문학의개념과관점
Ⅲ.일본내한류(K컬처)현상
Ⅳ.K컬처현상에대한인문학적분석
Ⅴ.맺음말
전근대한일대중문화와K인문학고전/김학순
Ⅰ.한류콘텐츠로서의K고전
Ⅱ.<대장금>의인기와K고전의출발
Ⅲ.조선과에도의대중문화와고전소설
Ⅳ.전근대한일의상업출판문화
Ⅴ.전근대한일의의약문화
Ⅵ.일본의K고전수용과방향성
한국문학의인문학적물음과일본어번역이청준의소리를찾아서/정백수
Ⅰ.소리를찾아서
Ⅱ.진정한말을찾아서

2부K컬처의수용과변용

KPop의대만진출과정과대만청년세대의한류(韓流)인식/이하나
Ⅰ.신(新)한류시대,대만에서의KPop열풍
Ⅱ.‘한류(韓流)’용어의기원과KPop의대만진출과정
Ⅲ.대만청년세대의한류(韓流)인식과KPop수용의양상
Ⅳ.한국과대만의성숙한문화교류를위하여
KPop이대만청소년의소비행동에미치는영향/양영자
Ⅰ.머리말
Ⅱ.선행연구
Ⅲ.연구방법
Ⅳ.연구결과
Ⅴ.맺음말
K컬처세대로서일본Z세대의가능성한국X세대와의비교를통해/조규헌
Ⅰ.머리말
Ⅱ.J컬처와한국X세대
Ⅲ.K컬처와일본Z세대
Ⅳ.맺음말
한류역사드라마의일본수용양상과탈정치성/김욱
Ⅰ.한일문화교류와역사콘텐츠의월경가능성
Ⅱ.일본역사드라마장르의전개양상과인식의변화
Ⅲ.한국역사드라마의수용양상과‘퓨전사극’의인기
Ⅳ.한류역사드라마가시사하는콘텐츠로서의‘역사’

3부한류의확장과K컬처의미디어

미디어를통한일본의한류붐과K여성문학의확장/이가현
Ⅰ.머리말
Ⅱ.일본의한류붐<겨울연가>에서82년생,김지영까지
Ⅲ.일본의페미니즘담론90년대여성작가붐과그이후
Ⅳ.현대한국의여성문학일상의직설적표현
Ⅴ.맺음말

미디어의관점에서바라본일본한류의역동성/이석
Ⅰ.머리말
Ⅱ.1차2차한류의미디어
Ⅲ.일본과한국의인스타그램이용현황
Ⅳ.인스타그램과대중성의관계
Ⅴ.3차한류팬덤의정치성
Ⅵ.맺음말

디지털미디어환경에서유럽의한류수용과지속가능성/김새미
Ⅰ.머리말
Ⅱ.신한류정책과유럽에서의한류연구
Ⅲ.디지털미디어환경에서의한류콘텐츠생산과문화생산자의대응
Ⅳ.유럽에서의한류수용과확장성
Ⅴ.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