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셴진 목판 연화의 이미지 문화 연구

주셴진 목판 연화의 이미지 문화 연구

$20.25
Description
목판 연화(年畫)는 목판으로 만든 연화다. 주셴진 목판 연화는 중국의 주셴진(朱仙鎮)이라는 지역에서 제작된 목판 연화다. 중국의 많은 지역에서 연화가 생산되었지만, 최초의 목판 연화는 주셴진 지역에서 생산되었다. 따라서 주셴진 목판 연화는 중국 연화의 효시(嚆矢)로 깊은 역사를 가지고 있고 높은 문화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목판 연화는 새해에 대문이나 창문에 붙여 사용했다. 중국인들에게 새해는 미래를 향하는 새로운 시작이었다. 백성들은 아름다운 연화를 문이나 창문에 붙여서 악한 기운을 쫓고 선한 기운을 받아들이기를 원했고 행복한 미래를 염원했다. 따라서 목판 연화는 백성의 시각으로 세상을 관찰하고 창작한 것이다. 주셴진 목판 연화는 단순히 그림 자체뿐만 아니라 그림에 담긴 과거의 기억과 역사에도 그 가치가 있다.
주셴진 목판 연화는 역사적 맥락에 따라, 중국 2,000여 년의 발전을 거듭하며 중국의 정치, 종교,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방면에 시각적 언어를 담아낸 문화유산이다. 주셴진 목판 연화는 최초 한나라의 도부(桃符, 악귀(惡鬼)를 쫓는 복숭아나무 판자)에서 비롯됐다. 악귀를 쫓아내기 위해서 연화 최초의 이미지인 문신(門神, 대문에 있는 수호신)이 나타났다. 북송 시기에 이르러 제지업(製紙業)과 활자인쇄술(活字印刷術)이 발전하면서 본격적으로 목판 인쇄술이 등장하였으며, 따라서 목판 연화가 등장하기 시작하는 시기였다. 이렇게 시작된 목판 연화가 세월의 흐름에 따라 세속화(世俗化)가 진행되면서 연화의 이미지는 무관(武官) 형상의 무문신(武門神)과 문관(文官) 형상의 문문신(文門神)이 나타났다. 명청 시기(1368년~1944년)에 이르러서 주셴진 목판 연화는 전성기를 맞이했고 상업적으로도 크게 번성하였다. 대중문화의 발달에 따라 소설과 희곡이 대중의 사랑을 받았다. 이러한 트랜드에 따라 소설과 희곡의 이야기를 목판 연화 제작에 적극적으로 도입했다. 하지만 근대에 들어서면서 기술 혁명으로 인해 카메라가 발명되고 영화와 인쇄 기술에서 오프셋 인쇄(offset-printing)의 등장으로 목판 연화는 서서히 사양길로 들어서게 되고 대중들에게 멀어져 갔다. 2006년에 주셴진 목판 연화는 국무원(國務院)의 승인을 거쳐 제1차 국가무형문화재에 등재되었고 국가로부터 중요한 무형문화재로 인정되었다.
이런 배경에 따라 최근에 중국은 주셴진 목판 연화의 가치를 후손들에게 전해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카이펑(開封)박물관은 주셴진 목판 연화에 대해 보관 및 전시하고 있으며 일반인들에게 전해주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대중들이 박물관에서 연화를 관람할 때 이미지만 보고 피상적인 인상(印象)을 갖기 쉽다. 대중이 연화 도상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연화의 중요한 문화적 의미를 제대로 전달할 수 없는 문제가 야기된다. 따라서 중국의 풍부한 역사적 의미를 담은 연화를 현대인들에게 더 널리 알리고 이해시키기 위해서는 주셴진 목판 연화의 이미지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문은 주셴진 목판 연화의 이미지 문화 연구를 통해 시각디자인 분야의 이미지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은 파노프스키(Erwin Panofsky)의 도상해석법의 제1단계인 ‘전 도상학적 기술’과 제2단계인 ‘도상학적 분석’을 채택하여, 청나라(1636년~1912년)와 민국 시기(1912년~1949년)의 대표적인 12장 연화 작품에 대해 해석했다. 주셴진 목판 연화의 이미지 언어(Visual Language)는 다양한 초자연적인 힘을 지니고 있는 신이나 사물을 대상으로 상서로운 의미를 표현하는 상징 언어이다. 주셴진 목판 연화의 표현 형식을 보면 전반적으로 상서로운 의미를 반영하고 있었다. 연화 속의 인물은 좋은 운수를 가져다줄 수 있는 신력을 지니고 있었다. 연화 속 인물뿐만 아니라 연화 속 장식 문양도 상서로운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연화에서의 인물과 물건은 다양한 문양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화려하게 표현되어 있다. 이는 새해를 맞이하는 분위기를 표현하고, 상서로운 의미를 표현하기 때문이다.
연화의 시각 문화를 해석할 뿐만 아니라 주셴진 목판 연화의 현대적 활용 방향을 탐구하기 위해서 ‘연화 해부도’를 제시했다. 주셴진 목판 연화란 중국의 수천 년의 역사가 집약된 중요한 문화유산이자 시각언어이다. 연화의 이미지를 감상하는 것보다 연화 속에 숨겨진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더욱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대중에게 어려울 수 있는 목판 연화의 문화적 가치를 이해시키고, 쉽게 접근시킬 수 있는 방향을 찾아야 한다. 사람들은 새로운 이미지를 만났을 때 불편함과 낯섦을 경험하게 된다. 하지만 낯섦의 대상도 실체를 이해하게 되면 새로운 시각과 관점을 확보할 수 있다. 새로운 세상은 새로운 시각과 관점에서 탄생할 수 있다. 비주얼커뮤니케이션이란 소통의 매개체이다. 이미지란 언어에 비해 직관적이기 때문에 쉽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건 오해다. 쉽게 보이는 이미지도 다양하고 복잡다단한 의미와 목적을 가지고 제작된다. 시대적 상징성이 반영된 이미지는 필히 당시 사회와 문화를 이해해야만 해석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책은 연화의 시각 문화를 탐구하는 것뿐만 아니라 시각 문화를 이해하는 효과적인 방법과 경로를 제공한다.
저자

조이양

저자:조이양
현상해공정기술대학교국제창의디자인학원전임교원
上海工程技術大學國際創意設計學院專任師
InternationalInstituteofCreativeDesign,ShanghaiUniversityofEngineeringScience,China

목차

제1장서론
제1절연구배경
제2절연구목적및가치
제3절선행연구검토
제4절연구범위및방법

제2장이론적배경
제1절주셴진목판연화
1.판화및목판화
2.주셴진목판연화의개념및역사적발전
3.주셴진목판연화의제작과정
4.주셴진목판연화의보전과카이펑박물관
제2절파노프스키의도상해석학
1.도상학과도상해석학
2.도상해석의3단계
3.도상해석의예시
4.도상해석학과주셴진목판연화의연계성

제3장주셴진목판연화의이미지해석
제1절연화작품의선정
1.선정기준과대표성
2.선정과정
제2절문신(門神)연화의해석
1.연화‘위치공장군(尉?恭將軍)’
2.연화‘친총장군(秦瓊將軍)’
3.연화‘종퀴이(鍾?)’
제3절신상(神像)연화의해석
1.연화‘션농시(神農氏)’
2.연화‘샹관쌰차이(上官下財)’
3.연화‘지씽까오자오(吉星高照)’
제4절길상(吉祥)연화의해석
1.연화‘푸루쇼우(福祿壽)’
2.연화‘치린송즈(麒麟送子)’
3.연화‘만자이얼꾸이(滿載而歸)’
제5절희곡(?曲)연화의해석
1.연화‘산냥자오즈(三娘?子)’
2.연화‘텐어파이(天河配)’
3.연화‘따오시엔차오(盜仙草)’

제4장목판연화의본질적의미및해부도제시
제1절문신연화의본질적의미
1.‘위치공장군’의본질적의미
2.‘친총장군’의본질적의미
3.‘종퀴이’의본질적의미
제2절신상연화의본질적의미
1.‘션농시’의본질적의미
2.‘샹관쌰차이’의본질적의미
3.‘지씽까오자오’의본질적의미
제3절길상연화의본질적의미
1.‘푸루쇼우’의본질적의미
2.‘치린송즈’의본질적의미
3.‘만자이얼꾸이’의본질적의미
제4절희곡연화의본질적의미
1.‘산냥자오즈’의본질적의미
2.‘텐어파이’및‘따오시엔차오’의본질적의미
제5절연화해부도및활용방향
1.해부도제시
2.연화해부도의활용방향
제6절소결

제5장결론
제1절결론및시사점
제2절연구의한계및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