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성과 실행연구를 지향하는 이론가로서의 교사, 연구자로서의 교사

반성과 실행연구를 지향하는 이론가로서의 교사, 연구자로서의 교사

$23.37
저자

노경주

저자:노경주
서울대학교사범대학사회교육과(문학사)
서울대학교대학원사회교육과(교육학석사)
UniversityofIllinoisatUrbana-Champaign,Ph.D.
교육부교육대학교사교육프로그램개발추진기획단위원
춘천교육대학교기획처장·산학협력단장·초등교육연구소장·다문화교육연구소장
현)춘천교육대학교사회과교육과교수
[저서]
『논쟁문제교육의이론과실제』(공저)
『지식과사고』(공저)
『인간·환경·교육』(공저)
『사회교육방법론』(공저)
『평생교육방법론』(공저)
『청소년진로및학업지도』(공저)
『청소년학습이론및지도』(공저)등
[역서]
『질적사례연구』(공역)
『실행연구』(공역)
『교육과정통합』(역)

목차

서문

Ⅰ부이론가로서의교사:교사의개인적실제적이론과반성

제1장교사의개인적실제적이론의형성
서언
교사의개인적실제적이론과반성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제2장교사의개인적실제적이론의변화
서언
교사의개인적실제적이론
연구방법
교사의개인적실제적이론의변화과정
논의

제3장교사의개인적실제적이론과고등사고능력의함양
서언
연구방법
교사의개인적실제적이론
고등사고능력의함양을위한논의
제4장반성과반성적저널
반성의개념
반성의유형
반성적실천가
반성의방법
반성적저널쓰기의실제

Ⅱ부연구자로서의교사:실행연구

제5장질적연구로의초대
교육연구의패러다임
양적연구와질적연구
질적연구의특징

제6장질적연구의수행
연구설계
연구사례의선정
연구의허가획득과래포(rapport)형성
자료생성
자료분석과해석
확실성확보
연구계획서와연구보고서작성
연구윤리
질적소연구

제7장실행연구의수행
실행연구의의미
실행연구과정의개관
연구문제선정
연구계획수립
실행계획수립과실행및반성:자료생성
실행계획수립과실행및반성:자료분석및해석
수정실행계획수립-실행-반성-재계획
결과의공유와소통

제8장실행연구의모색:교사교육과정의개발과실천및연구
서언
교사교육과정의개념
교사교육과정의개발
교사교육과정의연구
논의및결어

Ⅲ부교사신념과실행연구
실행연구의실제:숙의하는수업을위한실행연구

들어가며
연구출발점에서의나의신념과수업
1차수업:공론장으로서의수업
2차수업:물음표가가득한아이들
교사신념과수업의정교화

나오며
참고문헌
색인

출판사 서평

이책의독자는교사교육,교사전문성,교사신념,교사의실천적지식,교사의실천적이론,반성,실행연구등에관심있는연구자나교육자일것이다.또한이책은대학(원)강의나교사의개인적·협력적탐구혹은학부나대학원생의개인적관심사로활용하게될것이다.실제연구를수행한다면,제6장(질적연구의수행)과제7장(실행연구의수행)그리고Ⅲ부의실행연구논문을정독하면서안내한대로수행해보기를권한다.좀더폭넓고깊이있는학습을원한다면,BogdanandBiklen(2007),Glesne(2006),Stake(1995),Mertler(2014)의번역서를통해연구실제적인면에서도움을받기를바란다.그리고보다더이론적으로깊이있는학습을원한다면,LincolnandGuba(1985)를통해철학적성찰을더할수있기를바란다.큰도움이될것임을확신한다.

Ⅰ부는‘이론가로서의교사:교사의개인적실제적이론과반성’이라는주제하에네개의장으로구성된다.제1장‘교사의개인적실제적이론의형성’은예비교사의개인적실제적이론의내용과형성원천및이론에대한반성적활동이예비교사교육에주는시사점을제시한다.「노경주(2012).예비교사의개인적실제적이론에관한사례연구:반성적저널쓰기를통한자기이해와반성의제고.한국교원교육연구,29(4),417-443.」을옮겨실었다.

제2장‘교사의개인적실제적이론의변화’는대학4학년때의이론과교직경력5년시점의이론간에어떤변화가있으며,변화의요인과의미는무엇인지를탐구함으로써예비및현직교사교육에주는시사점을제시한다.「노경주(2018a).교사의개인적실제적이론의변화에관한질적사례연구:예비교사에서교직경력5년교사로.한국교원교육연구,35(4),283-312.」를옮겨실었다.

제3장‘교사의개인적실제적이론과고등사고능력의함양’은교사의개인적실제적이론과수업및고등사고능력의함양과의관계를탐구하고,고등사고능력의함양을위해교사의개인적실제적이론을발전시키기위한과제를제시한다.「노경주(1998).사회과교육과고등사고능력(higherorderthinking)의함양―교사개인의실천적이론(teacherpersonalpracticaltheories)을중심으로―.사회과교육학연구,2,34-53.」을가독성을높이는수준에서다듬어실었다.

제4장‘반성과반성적저널’은교사의개인적실제적이론의형성과정련화의중심역할을하는반성의개념과유형,반성이지향하는교사상으로서의반성적실천가,반성을위한대표적인방법,그리고반성을위해실제적으로활용할수있는반성적저널쓰기를안내한다.

Ⅱ부는‘연구자로서의교사:실행연구’라는주제하에네개의장으로구성된다.제5장‘질적연구로의초대’는교육연구의패러다임에대한논의에기초하여양적연구와질적연구의차이와양립가능성을소개하고질적연구의주요특징을여섯가지로소개한다.

제6장‘질적연구의수행’은실제질적연구를수행하는데필요한방법을소개한다.내용은연구설계,연구사례의선정,연구의허가획득과래포형성,자료생성,자료분석과해석,확실성확보,연구계획서및연구보고서작성,연구윤리,그리고소연구시도를위한안내에이르기까지가능한한실제적도움이되게하였다.특히,이론적정리에앞서저자의경험을글상자에담아소개함으로써이해하기용이하게기술하였다.

제7장‘실행연구의수행’은실제실행연구를수행하는데필요한방법을소개한다.내용은실행연구의의미,실행연구과정의개관,연구문제선정,연구계획수립,실행계획수립과실행및반성(자료생성,자료분석및해석),수정실행계획수립-실행-반성-재계획,결과의공유와소통으로제시하였다.특히,석사학위논문작성과정에서수행하였던실제사례를소개함으로써이해에도움이되도록하였다.

제8장‘실행연구의모색:교사교육과정의개발과실천및연구’는교사교육과정의개념과개발및연구에대한비판적논의에기초하여,교사교육과정의문제점개선방안과개발방향을제시하며이를위한실행연구를제안한다.「노경주(2023).교사교육과정의개념적이해와개발을위한비판적성찰:교육과정분권화와자율화강화모색.시민교육연구,55(4),283-316.」을옮겨실었다.

끝으로Ⅲ부‘교사신념과실행연구’에서는이론가이자연구자로서의교사를만난다.여기에서는‘실행연구의실제:숙고하는수업을위한실행연구’라는주제하에한초등교사의좋은사회과수업에관한신념과실제수업과학습의역동적상호작용을보여주는실행연구사례를소개한다.「김지연(2015).좋은사회과수업으로서‘숙의하는수업’을위한실행연구:교사신념과수업실제의정교화.시민교육연구,47(4),1-36.」을옮겨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