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시와 시론의 구조적 연구

한국 근대시와 시론의 구조적 연구

$26.22
Description
저자의 석사논문과 박사논문을 근간으로 이루어진, ‘한국 근대시론’과 ‘한국 근대시’에 대한 연구서. 이 책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특징을 지닌다.

첫째, 한 편의 시를 완결된 구조로 파악하되 그것을 텍스트 전체와의 연관 속에서 조망했다. 부분과 전체의 상호 연관적 고찰을 왕복함으로써 한 편의 시는 하나의 시집에 편입되고 다시 그 시집은 전체 텍스트에 편입될 수 있다.

둘째, 형식주의 비평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구조론적 고찰과 발생론적 고찰을 결부시켰다. 존재로서의 작품이 발생하게 된 근거와 그 지향성의 근거를 텍스트 안에서 발견하면 내재적 비평과 외재적 비평이 만나는 지점을 포착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작품에 대한 의미적 고찰과 기법적 고찰 혹은 구조 원리의 고찰과 전개과정의 고찰을 상호 보완적으로 시도했다. 동일한 텍스트에 대해 두 방향의 연구를 연관적으로 시도할 때 텍스트의 전체성에 근접할 수 있다.
저자

오형엽

(吳瀅燁)
1965년부산에서태어나고려대학교영문학과와같은학교대학원국문학과석사및박사학위과정을졸업했다.1994년『현대시』신인추천작품상을수상하고1996년『서울신문』신춘문예평론부문에당선되어비평활동을시작했다.저서로『한국근대시와시론의구조적연구』,『현대시의지형과맥락』,『현대문학의구조와계보』,『문학과수사학』,『한국모더니즘시의반복과변주』등의문학연구서와『신체와문체』,『주름과기억』,『환상과실재』,『알레고리와숭고』등의비평집을펴냈고,역서로『이성의수사학』이있다.젊은평론가상,애지문학상,편운문학상,김달진문학상.팔봉비평문학상을수상했다.현재고려대학교국어국문학과교수로재직중이다.

목차


머리말

제1부한국근대시론의구조적연구
―1930년대시론을중심으로

I.서론
1.연구목적및대상
2.연구사검토및문제제기
II.연구관점및방법론의모색
1.구조적연구의의미와방법
2.문학비평연구의좌표설정
3.미적근대성의개념과근대문학의범주설정
III.기교주의논쟁의의미와위상
1.낭만주의의재평가와수용
2.기교주의와기술의개념

IV.1930년대시론의양상과미적근대성의세방향
1.김기림의시론
1)주지주의시론과반낭만주의
2)전체성의시론과휴머니즘
3)기하학적문제설정과미적근대성의양면적추구
2.임화의시론
1)프로시론과규범
2)리얼리즘시론과실천
3)변증법적문제설정과역사철학적근대성의추구
3.박용철의시론
1)존재의시론과수용과정의탐색
2)변용의시론과창작과정의탐색
3)유기체적문제설정과소극적인미적근대성의추구

V.1930년대시론의상관성

VI.결론

제2부한국근대시의구조적연구

I.서정주초기시의의미구조연구
―이원성과그융합의의지를중심으로
1.서론
1)연구사검토및문제제기
2)서정주시이해의전제
3)연구목적및방법
2.대립개념과시의식의구도
1)자화상의구조분석
2)시의식의발생
3)시의식의지향
3.갈등의전개양상과시세계의규명
1)부성의부재와모성의동경
2)외계의억압과자아의폐쇄
3)육체적욕망과정신적탐구
4)융합의의지와수직적상승
4.초기시의의미구조와후기시의양상
1)이원성과그융합의의지
2)후기시의양상
5.결론

II.불교적역설의시적구현―한용운론
1.문제제기
2.‘님’의정체와‘침묵’의의미
3.‘밤’과‘잠’의의미
4.생활세계와역사적실천의통합
5.맺음말

III.풍경의배음(背音)과존재의감춤―김종삼론
1.문제제기
2.물통의구조와의미
3.풍경의배음(背音)
4.인간부재와절대적존재의감춤
5.환멸과영원사이의순례
6.맺음말

IV.투영된자아와시적형상화의방식
―정지용서정주김수영의경우
1.문제제기
2.정지용-유리창과별:감정의지적절제와공간화
3.서정주-피와이슬:육체적정신의언어
4.김수영-영사판과어둠:역동성과각성의시학
5.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