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임대근,윤혜정,곽영빈,최성민,정다영,심소미,김원영,최춘웅

서울대학교서양화과,동대학원미술이론과를졸업하고멜버른대학미술사박사과정을수료했다.1997년부터현재까지국립현대미술관에서전시기획업무를주로담당하며『멀티플/다이얼로그∞』(2009),『무제』(2015),『균열』(2018),『박이소:기록과기억』(2018),『MMCA현대차시리즈2019:박찬경-모임』(2019),『가면무도회』(2022)등을기획했다.현재국립현대미술관과천의전시업무를총괄하고있다.

목차

서문정다영
미술관에쌓인모색들:1986~현재임대근
미술관공간경험의진화:사이에서공명하는제3의공간윤혜정
폐허와건설현장의(반)기념비들:국립현대미술관과천의시차적당대성곽영빈
그래픽디자인에들어온미술관최성민
미술관의돌봄을위한큐레이팅정다영
에이징뮤지엄:시간을재영토화하기심소미
램프코어에서잘려나간것들김원영
미술을위한집최춘웅
지은이
도판출처

출판사 서평

미술관도나이가든다
시간을통과하는국립현대미술관의공간의미래에다는주석

미술관도나이가든다.단순하고한편당연한사실같지만,미술제도의역사가오래되지않은우리나라에서오래된미술관의“에이징”은이제당면하게되는새로운질문이다.1986년개관한국립현대미술관과천(과천관)은곧40년이된다.86년서울아시안게임과88년서울올림픽을계기로전두환대통령의지시에따라야심차게추진된“국가적야망”의산물이자,서울과청주에국립현대미술관을추가로건립하기전까지국내미술제도의중심에있던미술관은동시대‘현대’미술을품는“미술을위한집”으로서어떻게기능할것인가.이책은이를질문하는시작점에있다.

미술관의재가동에대한진단은막연한차원에머물지않고미술관운영과관련한실질적인이슈를던진다.한국의‘현대’미술관건축물이점점나이를먹고있는지금오래된미술관건축물의무엇을남기고무엇을새롭게할지결정해야하기때문이다.(…)우리나라를대표하는국공립미술관들은이제건물의수명으로는완공30년이훌쩍넘은오래된미술관이다.한국에서30년은재건축이나철거와같이건축물의생사를가로지르는중요한기준이다.리노베이션과같은물리적재생을고민하는두건물은오늘날미술관이직면한긴급한이슈들을어떻게받아들일까.
-본문중에서

책에서는시간을통과하는미술관을건축가와디자이너,미술평론가와큐레이터,작가의시점을오가며다양한시각으로연결한다.국립현대미술관학예연구관임대근은현대미술의조건으로서의미술관과과천관의지난공간적실험을살펴본다.작가이자국제갤러리이사인윤혜정은MZ세대를중심으로한미술관공간경험의변화와팬데믹이후의관람행위에대해논하고,미술평론가곽영빈은과천관의‘기념비’가된백남준의비디오아트<다다익선>을중심으로기술과기계의자연사와미술관과의관계를은유한다.

그래픽디자이너최성민은순수미술과구분해상업미술로분류하는그래픽디자인이최근미술관제도안에서인큐베이팅되고있다는사실을지적하고,‘젊은모색2023’의기획자이자국립현대미술관학예연구사인정다영은동시대와점차간극이생기는현대미술관공간을배경으로한새로운큐레토리얼방식을모색한다.서울과파리를기반으로활동하는독립큐레이터심소미는이미‘오래된미래’를거치고있는파리미술관들의실험을소개하고,작가이자변호사인김원영은과천관의램프코어를중심으로휠체어를탄관람객과미술관공간과의관계를흥미롭게풀어낸다.마지막으로건축가최춘웅의글을통해오로지작품감상을위해용도가지정된유일한건축유형인‘전시장(미술관)’의낡은부분들로부터촉발되는새로운가능성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