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자 이해의 사회학 - 사회조사를 위한 질적 조사의 방법들

타자 이해의 사회학 - 사회조사를 위한 질적 조사의 방법들

$19.80
Description
▶ ‘타인을 이해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질적 연구의 모호함’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사실과 서사’를 넘어선 연구란 무엇일까?

초심자부터 일반 독자까지 열기와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사회조사를 위한 새로운 교과서
오늘날 학계를 넘어 마을 아카이브, 도시재생, 문화도시 등 다양한 현장에서 사회조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질적조사연구 최전선에 있는 일본 사회학자 3인이 자신들의 구체적이고 생생한 현장 경험을 상세히 풀어냈다. 이미 한국에서 〈단편적인 것의 사회학〉, 〈망고와 수류탄〉 등이 소개되며 이름을 알린 사회학자 기시 마사히코(岸政彦)를 비롯해 필리핀 빈민가에서 연구를 진행한 이시오카 토모노리(石岡丈昇), 여성 노숙자들과 생활하며 필드워크를 수행한 마루야마 사토미(丸山里美)가 함께 쓴 이 책은 조사방법론 교과서로서의 역할을 충실하게 하면서도 읽는 재미를 놓치지 않고, 각자의 현장 경험에서 얻은 소중하고도 본질적 통찰을 바탕으로 질적조사연구의 기초부터 실제 적용까지를 아우른다.
‘타인을 이해한다’라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질적 연구의 모호함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사실과 서사를 넘어선 연구란 무엇일까? 이 책은 이러한 근본적인 질문들에 답하며, 질적 연구의 깊은 전통을 가진 일본의 독특한 방법론을 소개하며 얼핏 불합리해 보이는 타자의 행위 속에서 그 나름의 합리성을 발견하고 이해하는 과정이 바로 진정한 질적 조사 연구임을 보여준다.

저자

기시마사히코,이시오카토모노리,마루야마사토미

저자:기시마사히코
오사카시립대학문학연구과에서문학박사학위를받고일본리쓰메이칸대학교대학원첨단종합학술연구과교수를거쳐현재교토대학교문학연구과교수로재직중이다.주요저서및논문으로『동화와타자화-전후오키나와의본토취직자들』(2013),『거리의인생』(2014),『단편적인것의사회학』(2015),『망고와수류탄?생활사이론』(2018),『고장을살다?오키나와적공동성의사회학』(2020),『리리안』(2021),『도쿄의생활사』(편저,2021),『생활사논집』(편저,2022),『오키나와의생활사』(편저,2023)등이있다.

저자:이시오카토모노리
쓰쿠바대학인간종합과학연구과에서학술박사학위를받고현재일본대학문리학부교수로재직중이다.『로컬복서와빈곤세계-마닐라의복싱체육관에서보는신체문화』로2012년제12회일본사회학회장려상(저서부문)을수상했고,그밖의주요저서및논문으로『TheBottomWorkerinEastAsia:CompositionandTransformationUnderNeoliberalGlobalization』(2023),『타이밍의사회학:디테일을쓰는에스노그래피』(2023),『“Boxingcampasacommunityschool:LocalboxersinMetroManila,Philippines”-EverydayLife-Environmentalism:CommunitySustainabilityandResilienceinAsia』(2023)등이있다.

저자:마루야마사토미
교토대학문학연구과에서문학박사학위를받고현재교토대학교문학연구과부교수로재직중이다.『여성노숙자로살다-빈곤과배제의사회학』(2013,개정증보판2021)으로제33회야마카와기쿠에이(山川菊?)상,제5회일본도시사회학회젊은연구자상,제3회일본복지사회학회학술상등을수상했다.그밖의주요저서및논문으로『LivingontheStreetsinJapan:HomelessWomenBreaktheirSilence』(2019),“Barrierstoopeningthe‘blackbox’ofintrahouseholdsharingofresources”(2014)등이있다.

역자:김주현
서울대학교사회학과를졸업하고동대학원에서한국의고령자연구로박사학위를받았으며현재충남대학교사회학과교수로재직중이다.일한문화교류기금펠로우십을통해일본와세다대학교에서박사후연구원으로,교토대학교에서연구년을보내며연구를진행했으며,현재는일본학계와활발히교류하고있다.주요연구분야는가족사회학,노년사회학,사회정책,한일노년층비교연구등이며,현재는고령자연령차별(Ageism),고령자돌봄의공동체적해결,일본가업승계의젠더변화에관한연구를수행하고있다.한국사회학회부회장직을역임했고,현재한국가족학회부회장으로활동중이며,학술지<한국노년학>과<가족과문화>의편집위원장을맡은바있다.

목차


한국어판서문
머리말-질적조사의,질적노하우
옮긴이의말

서장.질적조사란무엇인가
1.사회학과사회조사023
2.사회학에서‘데이터’란무엇인가031
3.양적조사와질적조사036
4.질적조사란044
5.‘질적’이란무엇을말하는가052
6.「타인의합리성」과이해사회학061
7.정리073

제1장.필드워크
1.필드워크란077
2.테마설정079
3.필드워크하기097
4.데이터분석과논문작성127
5.필드워크-아직보지못한타자와자신이만나다160

제2장.참여관찰
1.‘기분’으로부터논의세우기165
2.조사안에서문제설정하기171
3.필드에의몰입183
4.논문집필221
5.참여관찰의특징-실시간(realtime)의사회인식246

제3장.생활사
1.인생이야기를듣다255
2.생활사조사의역사282
3.실제로해보기318
4.생활사를‘연구’하다349
5.마지막으로-생활사는‘그자체로흥미롭다’377

후기

출판사 서평

사회조사의중요성이점점커지고있는가운데,
그최전선에서활약중인연구자들이밝히는질적연구조사의비법과묘미

사회를바라보고분석하는두가지주요방법론이있다.하나는객관성과일반화를추구하면서모든것을통계화,위계화,서열화하려는경향을가진양적패러다임이고,다른하나는(간)주관성을인정하며숫자로포착할수없는의미구성과경험에초점을맞추는질적패러다임이다.이중일본의질적방법론전통은매우독특하고깊이있는데<단편적인것의사회학>,<망고와수류탄>등으로한국에도잘알려진기시마사히코를포함해필리핀빈민가에서질적연구를수행한이시오카토모노리,여성노숙자와함께생활하며필드워크를수행한마루야마사토미까지일본을대표하는현장연구자들이그전통과방법에대해쉽고재미있게소개한다.

저자들은이책을쓰면서,‘모든사람의모든행위에는이유가있다’는것을가장강조하고싶었다고밝힌다.그리고질적조사에기반한사회학의궁극적인목표는결국,이‘이유’를그려내는것이어야한다고믿는다.

질적조사를통한사회학적연구의궁극적인목표는
‘타자의합리성’을이해함으로써우리가서로‘이웃이되는것’이다

질적조사란간단히말해서,‘숫자를사용하지않는조사’이다.인터뷰,청취,참여관찰,역사적자료와신문기사수집등오로지‘질적’인데이터를모아분석하는것이다.이러한질적조사에는양적조사와같은,‘싹둑’하고예리하게자른것처럼명확한지식을얻는일은거의없다.그것은그저별것아닌것같은,땅에발이붙어있는,땅을기어다니는것과같은충실한조사이다.따라서거기서얻을수있는지식도확실하지않고,애매모호해서정리가안되는것이되기쉽다.하지만이질적조사를통해서만드러나는살아움직이는세계가있다.

질적조사에는흔히사용되는참여관찰과생활사뿐만아니라비디오분석,대화분석,민속방법론등다양한방법이있지만,이책에서는가장기초적인필드워크,참여관찰,생활사라는세가지유형의조사법을다루고있다.우선첫머리에서는아주대략적으로정리된양적조사와비교하면서질적조사란애초에무엇인가를논의했고제1장에서는,‘종합적인실태조사’로서의필드워크의경험을이야기하며,제2장에서는보다‘신체적’인‘참여관찰’이소개된다.그리고제3장에서는개인의이야기를바탕으로한‘생활사’조사에대해알려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