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불도 동양 3대 철학에 대한 이해 : 노자, 공자, 부처의 사상 체계와 구조에 대해 파헤치다

유불도 동양 3대 철학에 대한 이해 : 노자, 공자, 부처의 사상 체계와 구조에 대해 파헤치다

$16.00
Description
챗GPT를 비롯한 인공지능의 열풍이 거센 가운데, 돌연 주목받기 시작한 유불도 동양 철학.
컴퓨터 보안 전문가가 독특한 시각과 폭넓은 사유를 바탕으로 동양 사상의 근본 이치를 통찰한다!

인공지능과 함께할 미래는 유토피아인가, 디스토피아인가?
인간을 중심에 두고 윤리를 중시하는 동양 철학에 답이 있다!

동양의 3대 사상 유불도 철학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인류의 난제에 실마리를 제시한 한 연구자의 비범한 여정

바야흐로 인공지능(AI)의 시대다. ChatGPT를 위시하여 수많은 인공지능이 우리의 생활 속으로 깊이 들어오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이러한 시대상 속에서 동양의 유가, 불가, 도가 사상에 대한 세간의 관심도 덩달아 늘고 있다는 점이다. 과학과 기술이 최첨단을 달리는 21세기에 어째서 2,500년 전의 철학이 대두되는 것일까? 그것은 인공지능이 필수적으로 갖춰야 할 윤리 문제와 무관하지 않다.
유(儒)·불(佛)·도(道)의 사상은 동아시아 문화를 형성하는 데 지대한 영향을 끼친 철학이다. 기원전부터 이 세 사상은 동아시아인들의 세계관 속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었다. 그러나 18세기 산업혁명을 시작으로 서구 사회의 과학과 기술이 전 세계로 퍼져나가면서 서양식 사고방식, 즉 산업과 자본의 논리를 따르는 물질적 사고방식이 득세하게 되었다. 상대적으로 동양 철학의 기반은 흔들리기 시작했고 유·불·도 사상이 가진 진정한 의미도 점차 퇴색 혹은 왜곡되었다.
이 동양 3대 철학의 핵심인 논어(論語), 반야심경(般若心經), 도덕경(道德經)에 담긴 참뜻을 읽어내지 못하고 잘못된 해석이 난무하는 현상 역시 이와 무관하지 않다. 사상의 본질을 알아보지 못한 채 수박 겉핥기식으로 해석하고, 심지어 그 잘못된 해석을 바탕으로 교과서를 만들어 학생들에게 가르치기도 한다. 예를 들면 노자가 설파한 도가 사상의 핵심이 ‘무위자연’, 즉 속세를 등지고 자연을 벗삼아 살아가는 것이라고 가르치는 식이다.
본디 철학을 한다는 것은 그렇게 단순한 일이 아니다. 대략적인 유추도, 맹목적인 추종도 있어서는 안 된다. 제대로 된 철학적 사고가 있어야 이를 기반으로 사회적 윤리가 형성되고, 그 토대 위에서 과학과 기술도 발전할 수 있다. 인공지능과 함께할 우리의 미래가 보다 나은 모습이 되게 하는 방법, 그 답은 어쩌면 동양 3대 철학 안에 있을 것이다.
저자

성대현

20년간인터넷사이버공간에서해커를찾고,방어하는일을해온평범한직장인이다.직업상해킹을방어하는관점에서보호해야할대상의취약성과리스크에대해항상고민해왔다.크고작은리스크를평가하고최소화하는과정의연속이었다.
이를삶과인간사회로확장하여질문하고,답을구하는과정에자연스럽게철학을연구하는일을병행하게되었다.2019년『노자도덕경道』를통하여노자사상을재해석하고전달하였다.
이후,불가의핵심경전인반야심경수행과더불어그의미에대해현대적해석을이루었다.이를바탕으로2021년도(道)와불(佛)의시각에서삶과죽음,그리고인간이만들고사회를이루는코드를해체하고분석하여『깨달음』이라는책으로정리하였다.
또한,관계와자기수양의정수인논어를통해공자사상을올바로해석하여2022년『논어98』을펴내사람들에게그깊은뜻을전달하였다.

목차

책을펴내며
들어가기

Ⅰ철학용어에대한이해

1.사상과철학은다른것인가
2.언어의차이가가져오는사상(思想)의차이
3.윤리(倫理)란무엇인가
4.철학적접근방법이란

Ⅱ동양철학의근원,노자(老子)도덕경(道德經)

1.도덕경의올바른이해
2.노자(老子)철학의기본구조
3.세상의기본틀에대한이해
4.두개의존재가이루는상생(相生),그리고비교와선택
5.세개의존재가이루는위상
6.충(沖),빈공간,비어있는영역에대한이해
7.중(中),인간의지의중심(中心)
8.인간의지속성(谷神不死)
9.대자연의영속성(天長地久)

Ⅲ공자(孔子)가바라본인간의삶,논어(論語)

1.논어를올바르게읽기위해서
2.논어의구조
3.논어해석방법론
4.논어후편에대한이해확장

Ⅳ인간자신에대한해체,반야심경(般若心經)

1.영적수양도구로서의반야심경
2.세상을바라보는방법론의시작점
3.세상을5가지영역(五蘊)으로나누는시각
4.반야심경(般若心經)방법론
5.유(儒),불(佛),도(道)시각의차이
6.오온(五蘊)의확장,5×3시각

Ⅴ현대사회문제와동양3대철학

1.과학과기술의한계
2.물질vs정신
3.현대사회에서의자유
4.자율주행딜레마
5.터미네이터와공자

부록_반야심경
참고자료

출판사 서평

책속에서

신기하게도우리의삶과생각의틀에는이3개의철학이어우러져혼재되어있습니다.때로는그혼합된모습이제각각상반되어배타적인것같이느껴지지만실제로는포용적인형태로우리정신속에녹아들어있습니다.다시말해서우리는유(儒),불(佛),도(道)3가지사상이이끄는융합된세계관을지니고있습니다.어떤한가지철학에지배적으로의존하지않기때문에한방향으로치우치지않는다는장점을지닙니다.기하,물리,건축에서삼각형태의구조물이가장안정적인기반을이루는것과유사합니다.2천여년간3개의사상은서로를지지하고보완하며우리생각의기반을이루어왔습니다.
---p.6

하나의구절에대해이런방법의해석이100%옳다고주장할이유는없습니다.상황에따라다른해석이가능할수있기때문입니다.논어(論語)는하나의고정된관점에국한하지않고대화를나누는사람의관점과이를옆에서지켜보는관찰자의관점에서다양한해석을시도할수있도록만들어진글입니다.시간,공간,문화,관습,태도,자세,입장등을고려하여다양한면을적용하여살펴보는배움(學)의자세가필요합니다.그리고시간을들여부단히노력하여익히는과정(時習之)이수반되어야합니다.
---p.175

윤리라는것에대한이해가동서양이다르고,사회에따라서추구하는체계와방향성이다른상황에서인간의공통된방향성을수립하고AI에적용하는일은아주요원한일입니다.무엇보다도언어가다른상황에서는동일한용어를지칭하는듯여기지만전혀다른의미를내포하는경우가많습니다.‘민주’라는동일한단어에대해시장경제에의존한자유주의국가와사회주의국가에서뜻하는바가전혀다릅니다.자신들의의미가더옳다고주장하지만그것은어디까지나자신이속한사회의관점입니다.
---p.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