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역사의 중요한 순간에는 ‘바다’가 있었다
대항해시대부터 조선통신사까지, 알아두면 쓸모 있는
해양인문학 『해양사의 명장면』
대항해시대부터 조선통신사까지, 알아두면 쓸모 있는
해양인문학 『해양사의 명장면』
바다를 기반으로 출발한 부경대학교와 해양도시 부산의 산지니 출판사가 함께 내는 해역인문학 시민강좌 총서 첫 번째 책 『해양사의 명장면』의 개정판이다. 부경대학교 사학과 여섯 명의 교수는 ‘해양’이라는 주제 아래 관련 분야 최전선에서 꾸준한 연구와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이 책에는 서양 근현대사에서 ‘해적’의 역할부터 조선시대 ‘조선통신사’를 통한 문화교류 양상까지, 저자 각각의 시선으로 바라본 해양에 대한 다양한 역사와 해석이 담겨 있다.
두려움과 공포의 바다부터 교류와 기회의 바다까지
바다를 통해 역사의 전환점을 다시 보다
본디 바다는 인류에게 두려움과 공포의 대상이었다. 그러다 대항해시대에 이르러 인류는 고요한 바다에 새로운 물결을 일으켰고, 교류와 기회로서의 바다가 탄생했다. 그 바다에서 문명은 서로 부딪히고 겨루며 역사의 명장면들을 만들었다. 이 책은 근대 초기 중요 공간이었던 바다를 배경으로 일어난 ‘해양사의 명장면’들을 담았다.
저자 여섯 명의 각기 다른 전공만큼 책이 담고 있는 장면도 다양하다. 서양 근현대사를 전공한 박원용 교수는 서양 근대사에서의 해적의 역할과 해양공간의 교류가 만든 일상의 변화를 전한다. 중국 사상문화사와 동아시아 아나키즘을 깊이 섭렵한 조세현 교수는 해양 시각으로 본 근대 중국 형성을 연구했다. 그는 청나라 최강 북양함대가 일거에 몰락하는 과정, 중국 ‘해양영웅’ 정성공 이야기를 전한다.
한국고대사를 전공하고 대마도, 해도와 지도를 활발히 연구하는 이근우 교수는 해도로 보는 조선에 대해 이야기한다. 조선통신사 연구의 권위자이자 조선통신사, 왜관 등 바다를 매개로 한 한일 관계사를 깊이 연구해온 박화진 교수는 해양교류 측면에서 조선통신사의 왕래길과 초량왜관 스캔들 등에 관해 전한다.
조선 왕실의 문화·역사를 연구한 신명호 교수는 관음 신앙을 해양문화 관점에서 조명하고, 주역, 영남 해로, 해상 진상품 등을 통해 유교 나라인 조선의 해양 인식을 들여다본다. 환경사, 해양사, 기후 관련 역사를 연구한 김문기 교수는 ‘청어’를 중심에 두고 펼쳐진 해양사를 소개한다. 청어는 유럽 한자동맹, 네덜란드의 성장 등 세계사에 영향이 컸고, 조선이 19세기에 바다를 중국에 여는 상황 등에서 흥미롭고 중요한 구실을 한 물고기이다.
고지도, 문서, 사진 등 120여 종의 풍부한 사료를 담다
『해양사의 명장면』에는 고지도, 문서, 사진 등 한국사, 서양 근현대사, 일본사, 환경사, 해양사를 전공한 교수들이 모은 각 분야의 자료를 수록했고, 이를 보는 해석을 덧붙였다. 일본 에도시대 화가 가노 미쓰노부의 그림 「조선통신사환대도병풍」에는 국서전명식 구경꾼들이 해학적으로 묘사된 장면이 있다. 이를 보며 그 당시 조선통신사에 대한 에도 사람들의 열렬한 호감을 유추한다. 또한 남미, 영국, 중국, 일본 등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장면과 해설을 통해 해양 세력의 교류와 충돌을 볼 수 있다. 독자는 이를 통해 더욱 생동감 있는 역사의 한 장면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근대의 바다를 보며 미래의 바다를 조망하다
흔히 ‘근대는 바다에서 시작되었다’라고 한다. 바다에 대한 지식과 활용이 근대의 지평을 결정하였던 것이다. 근대 이전 ‘육지’ 중심의 제국에서 ‘바다’ 중심의 근대 제국으로의 전환기에서 어떤 나라는 급격한 성장을 이룩하기도 했다. 이러한 전환기에 조선은 어떠했을까? ‘바다’를 다루는 역량이 부족해 근대에도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고, 결국 침체기를 겪고 말았다.
해양을 어떻게 다룰 것이냐에 대한 중요성은 21세기인 지금도 다르지 않다. 중국과 일본 사이에 바다를 둔 한국에서 해양의 활용은 정치, 경제, 외교 등의 분야에서 빠질 수 없는 카테고리 중 하나이다.
『해양사의 명장면』을 통해 ‘해양’이라는 공간을 이해하고, 그 지식을 넓혀보는 건 어떨까. 독자들이 근대의 바다를 보며 미래의 바다를 조망하기를 기대한다. 해양을 얼마만큼 알고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그 미래는 달라질 수 있다.
두려움과 공포의 바다부터 교류와 기회의 바다까지
바다를 통해 역사의 전환점을 다시 보다
본디 바다는 인류에게 두려움과 공포의 대상이었다. 그러다 대항해시대에 이르러 인류는 고요한 바다에 새로운 물결을 일으켰고, 교류와 기회로서의 바다가 탄생했다. 그 바다에서 문명은 서로 부딪히고 겨루며 역사의 명장면들을 만들었다. 이 책은 근대 초기 중요 공간이었던 바다를 배경으로 일어난 ‘해양사의 명장면’들을 담았다.
저자 여섯 명의 각기 다른 전공만큼 책이 담고 있는 장면도 다양하다. 서양 근현대사를 전공한 박원용 교수는 서양 근대사에서의 해적의 역할과 해양공간의 교류가 만든 일상의 변화를 전한다. 중국 사상문화사와 동아시아 아나키즘을 깊이 섭렵한 조세현 교수는 해양 시각으로 본 근대 중국 형성을 연구했다. 그는 청나라 최강 북양함대가 일거에 몰락하는 과정, 중국 ‘해양영웅’ 정성공 이야기를 전한다.
한국고대사를 전공하고 대마도, 해도와 지도를 활발히 연구하는 이근우 교수는 해도로 보는 조선에 대해 이야기한다. 조선통신사 연구의 권위자이자 조선통신사, 왜관 등 바다를 매개로 한 한일 관계사를 깊이 연구해온 박화진 교수는 해양교류 측면에서 조선통신사의 왕래길과 초량왜관 스캔들 등에 관해 전한다.
조선 왕실의 문화·역사를 연구한 신명호 교수는 관음 신앙을 해양문화 관점에서 조명하고, 주역, 영남 해로, 해상 진상품 등을 통해 유교 나라인 조선의 해양 인식을 들여다본다. 환경사, 해양사, 기후 관련 역사를 연구한 김문기 교수는 ‘청어’를 중심에 두고 펼쳐진 해양사를 소개한다. 청어는 유럽 한자동맹, 네덜란드의 성장 등 세계사에 영향이 컸고, 조선이 19세기에 바다를 중국에 여는 상황 등에서 흥미롭고 중요한 구실을 한 물고기이다.
고지도, 문서, 사진 등 120여 종의 풍부한 사료를 담다
『해양사의 명장면』에는 고지도, 문서, 사진 등 한국사, 서양 근현대사, 일본사, 환경사, 해양사를 전공한 교수들이 모은 각 분야의 자료를 수록했고, 이를 보는 해석을 덧붙였다. 일본 에도시대 화가 가노 미쓰노부의 그림 「조선통신사환대도병풍」에는 국서전명식 구경꾼들이 해학적으로 묘사된 장면이 있다. 이를 보며 그 당시 조선통신사에 대한 에도 사람들의 열렬한 호감을 유추한다. 또한 남미, 영국, 중국, 일본 등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장면과 해설을 통해 해양 세력의 교류와 충돌을 볼 수 있다. 독자는 이를 통해 더욱 생동감 있는 역사의 한 장면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근대의 바다를 보며 미래의 바다를 조망하다
흔히 ‘근대는 바다에서 시작되었다’라고 한다. 바다에 대한 지식과 활용이 근대의 지평을 결정하였던 것이다. 근대 이전 ‘육지’ 중심의 제국에서 ‘바다’ 중심의 근대 제국으로의 전환기에서 어떤 나라는 급격한 성장을 이룩하기도 했다. 이러한 전환기에 조선은 어떠했을까? ‘바다’를 다루는 역량이 부족해 근대에도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고, 결국 침체기를 겪고 말았다.
해양을 어떻게 다룰 것이냐에 대한 중요성은 21세기인 지금도 다르지 않다. 중국과 일본 사이에 바다를 둔 한국에서 해양의 활용은 정치, 경제, 외교 등의 분야에서 빠질 수 없는 카테고리 중 하나이다.
『해양사의 명장면』을 통해 ‘해양’이라는 공간을 이해하고, 그 지식을 넓혀보는 건 어떨까. 독자들이 근대의 바다를 보며 미래의 바다를 조망하기를 기대한다. 해양을 얼마만큼 알고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그 미래는 달라질 수 있다.
해양사의 명장면 : 세계의 바다를 물들인 여섯 빛깔 해양사 - 부경대학교 해역인문학 시민강좌 총서 1
$2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