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병문 농사 일기 - 한사람 생활사

고병문 농사 일기 - 한사람 생활사

$20.00
Description
마지막 농경사회의 나날들을 기록하다
“모든 삶은 사회적이다”라는 기치 아래, 평범하지만 특별한 개인의 삶을 통해 시대와 사회를 이해하려는 ‘한사람 생활사’의 두 번째 책이다. 이번에는 제주 조천읍 선흘리에서 척박한 제주 동쪽의 중산간 땅을 일구며 살았던 한 농부의 일기를 통해 1960년대 제주 농경사회를 들여다보았다.
고병문의 농사일기는 1964년 5월부터 1965년 12월까지 당시 농림부에서 실시한 ‘농가경제조사’의 일환으로 기록되었다. 일기가 쓰인 1964년도는 사회적·역사적으로 중요한 시기였는데, 1961년 5·16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가 1963년 10월 15일 선거를 통해 제5대 대통령으로 당선된 이후 처음 맞이한 해였다. 그에 앞서 1962년 6월 갑작스럽게 단행한 화폐개혁으로 화폐단위가 ‘환’에서 ‘원’으로 바뀌게 되고 100환은 1원의 가치로 조정되었다. 또한 그해 10월에 발표한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으로 한국사회는 대대적인 개발시대의 문 앞으로 향해가고 있었다. 일기에는 이러한 변동기의 경제지표가 될 물가와 마을마다 벌어지던 도로 포장사업, 제주도 축산업 변동의 단면 등이 계속해서 등장한다. 이런 시기에 쓰인 고병문의 일기는 농업기록물일 뿐만 아니라 당시 사회 변동을 세밀히 관찰할 수 있는 사회경제적 기록물이기도 하다.
이 책은 고병문의 농사일기에서 1964년 5월부터 1965년 4월까지 1년간의 일기를 싣고, 주요 항목마다 세심한 각주를 달았다. 또한 달마다 ‘물의 공동체’ ‘닭 잡아먹는 날’ ‘갈옷 만들기’ ‘소와 밭담’ ‘오메기떡과 고소리술’ ‘땔감 전쟁’ 등 일기의 배경이 되는 제주 농경사회와 전통문화 등에 따른 해설을 붙였다. 책의 말미에는 고병문의 일기 원본을 함께 실었다.
저자는 “수천 년 쌓아온 농경사회의 지식을 부지런히 기록하고 저장해야 한다”고 말한다. 무서운 속도로 발전과 변화를 거듭하고 그만큼의 속도로 과거와 단절되는 지금, 마지막 농경사회의 모습을 기억하는 어르신들이 사라지는 지금, 시간이 별로 없는 지금이지만 “우리의 심성과 습관과 언어의 뿌리는 거기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저자

이혜영

저자:이혜영
1972년부산에서태어나고자라나서울에서일하다2011년제주도에왔다.시민단체녹색연합에서《작은것이아름답다》기자로일하며글쓰기를시작해자연,사람,생태,평화를주제로사회적활동과글쓰기를이어왔다.우연히선흘마을에살게되었지만마을어르신들과벗이되어서로돌보며처음으로몸과마음이정착하게되었다.‘마을출판사먼물깍’,‘세대를잇는기록’을꾸리며제주도를공부하면서기록해가고있다.
쓴책으로《산골마을작은학교》(공저,2003,소나무),《갯벌,무슨일이일어나고있을까》(2004,사계절),《희망을여행하라》(공저,2008,소나무),《인권도난민도평화도환경도NGO가달려가해결해줄게》(2014,사계절),《제주사람허계생》(2022,한그루)이있다.

목차


[여는글]농경사회의마지막일기…06

1964년
5월,보리익어가는봄…16
6월,보리가쌀이되는여정…46
7월,하늘을읽는조농사…76
8월,제주의마음,메밀…102
9월,촐베는날들…126
10월,조가익고술이익는계절…150
11월,보리갈때가되었구나…170
12월,숯굽는겨울…192

1965년
1월,겨울일거리…214
2월,겨울에세상을등지고…230
3월,수눌어김매고,수눈값갚아김매고…246
4월,일어서는봄…268

[부록]고병문농사일기원본…284

출판사 서평

이책은고병문의농사일기에서1964년5월부터1965년4월까지1년간의일기를싣고,주요항목마다세심한각주를달았다.또한달마다‘물의공동체’‘닭잡아먹는날’‘갈옷만들기’‘소와밭담’‘오메기떡과고소리술’‘땔감전쟁’등일기의배경이되는제주농경사회와전통문화등에따른해설을붙였다.책의말미에는고병문의일기원본을함께실었다.저자는“수천년쌓아온농경사회의지식을부지런히기록하고저장해야한다”고말한다.무서운속도로발전과변화를거듭하고그만큼의속도로과거와단절되는지금,마지막농경사회의모습을기억하는어르신들이사라지는지금,시간이별로없는지금이지만“우리의심성과습관과언어의뿌리는거기연결되어있기때문이다”.

고병문의일기를만난것은4년전이었다.고병문삼춘내외는마을에서신망이높은어른들이다.외지에서들어와마을일거들고하는나를따뜻이보살펴주셔서댁에놀러다니기도하며살아온이야기를간간이들어오던사이였다.2020년1월새해인사를드리려고삼춘댁에들렀다가여느날처럼옛날농사짓던이야기를여쭙던중이었다.“그거옛날일기에적어둔게이실(있을)건디….”하시는거였다.나는깜짝놀라서일기를가지고있으시냐고했더니,병문이삼춘은먼지쌓인창고도아니고작은방서랍에서무심히꺼내오셨다.그렇게이일기를만나게되었다.“대단한이야기도아니고,다이렇게산건디,무사(왜)이런얘기를듣젠(들으려)하느냐.”고멋쩍어하시는고병문삼춘을선생님으로모시고2020년2월부터1964~65년의일기공부가시작되었다.2월이면제주도시골은귤농사준비로바빠지는때다.귤나무가지치기,밭담정비,약치기,비료뿌리기등등으로한해농사가시작된다.

주말에는시내에사는아들이와서같이하지만대부분80대노인내외가해나가고있었다.그래서우리의수업시간은일못하고집에서쉬는‘비오는날’이되었다.나는‘비가언제오나….’일기예보를보며수업시간을기다렸다.보통하루에서너시간씩공부했는데,네시간이넘어가면삼춘은생생한데내가지쳐서더할수가없었다.내가이해를잘못하면병문이삼춘은그림을그려가며열정적으로설명해주셨다.할머니가계신날에는옆에서슬쩍슬쩍추가해설을넣어주셨는데,여자가더잘아는분야가나오면,“아니,그게아니주.”하면서할아버지를제치고설명해주시기도했다.일대일과외도이런과외가없는데,선생님이두분이라아주고급과외를받는셈이었다.두선생님과일종의야외학습으로일기에나오는대로‘탈타레(산딸기따러)’도다니고,남의보리밭에콤바인이다걷어가지못한보리도베어보는사이봄이가고,6월장마를지나서야일기공부가끝났다.5개월간의다시없을수업이었다.

고병문의농사일기는1964년5월부터1965년12월까지당시농림부에서실시한‘농가경제조사’의일환으로기록된것이다.1953년농림부와한국은행이합동으로실시한‘농촌실태조사’가우리나라최초의농가조사였는데,1954년부터는농림부가‘농촌실태조사’를‘농가경제조사’와‘농산물생산비조사’로분리하여실시하기시작했다.1961년부터는전국농가중80개조사구1,182개농가를임의표본으로추출하여조사하기시작했고,1964년에는제주도북제주군(현제주시)에서선흘리36가구가조사가구로지정되었다.농림부서기관이파견되어선흘에살면서가구별기록을확인하고수집했다고한다.농가경제조사를위해일기에들어가야할주요항목이제시되었기때문에노동인원,노동시간,노동내용,곡물이나물건의교환금액,토지의크기등이밝혀진중요한기록물이될수있었다.

일기가쓰인1964년도는사회적·역사적으로중요한시기였는데,1961년5·16군사정변으로정권을잡은박정희가1963년10월15일선거를통해제5대대통령으로당선된이후처음맞이한해였다.그에앞서1962년6월갑작스럽게단행한화폐개혁으로화폐단위가‘환’에서‘원’으로바뀌게되고100환은1원의가치로조정되었다.또한그해10월에발표한‘제1차경제개발5개년계획’으로한국사회는대대적인개발시대의문앞으로향해가고있었다.일기에는이러한변동기의경제지표가될물가와마을마다벌어지던도로포장사업,제주도축산업변동의단면등이계속해서등장한다.이런시기에쓰인고병문의일기는농업기록물일뿐만아니라당시사회변동을세밀히관찰할수있는사회경제적기록물이기도하다.

일기를해설하며전통농업사회에서산업사회로이행되는시기에한성실한농부가기록한일기를통해제주도전통농업의모습을복원하고,일기에드러난당시의사회·경제적변동을포착해그배경을해설하려고노력했다.불과60년전의일기지만,우리사회는그이후로급격한변화를맞이한탓에이제는거의흔적이사라진삶의모습이담겨있다.마지막농경사회의모습인것이다.1964년은백년전,천년전과도닿아있을것이다.인류가정착생활을시작한이후로농사는계속되어왔으니까말이다.그래서이일기의나날들은2024년보다천년전과더가까울지모른다.인류가한번도경험해보지못한무서운속도로발전을거듭하며,그만큼의속도로과거와단절되는것같아겁이날때가있다.수천년쌓아온농경사회의지식을부지런히기록하고저장해야한다고생각한다.AI시대에살고있는우리의심성과습관과언어의뿌리는거기연결되어있기때문이다.그삶을살았던어르신들은거의돌아가시고이제얼마남아계시지않는다.시간이별로없다.

소중한실증자료를,이자료를만든이가건강하고기억이생생할때에만나공부할기회를얻은것은놀라운행운이었다.농가경제조사를위한일기가전국곳곳에서기록되었지만보통작성한일기를농림부에제출해남아있지않는경우가많을텐데고병문삼춘은먼저이일기를쓰고,달마다깨끗하게베껴써서정서본을제출했다고한다.그리고새마을운동과88서울올림픽을계기로주택이개량되고낡은것을내다버리는것이당연시되던시기를지나오면서도삼춘은일기를소중히간수해왔다.이렇게만난자료지만제주도에서나고자라지않은내가귀담아듣고자료를찾아공부하는것만으로60년전의일을다이해할수는없었다.그럴때면40여년생활사를연구해오신고광민선생님께서도와주시고격려해주셨다.고병문삼춘내외,고광민선생님,조수용삼춘을비롯한선흘마을어르신들의가르침으로하나하나배우며겨우이책을마무리하게되었다.그리고읽을사람이몇이나될까싶은글을반갑게받아주고정성들여편집해주신한그루출판사의마음이더해져‘한사람생활사’의걸음을한발더내딛게되었다.가난한백성들의이야기를가난한백성들이힘을합쳐엮은셈이다.어려운시절을힘껏견디며헤쳐왔고헤쳐갈수많은평범한사람들을기리며책을내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