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scription
누카리야 카이텐(忽滑谷快天) 저, 정호경(鄭湖鏡) 역, 「韓國禪敎史(원저명: 朝鮮禪敎史)」는 많은 학자들이 알고 있는 것과 같이, 우리나라 불교사를 서술하고 있는 몇몇 안 되는 명저(名著) 가운데 하나이다.
이 책의 저자인 누카리야 카이텐(1867-1934)은 일본 조동종 선승으로서, 고마자와대학(駒澤大學)을 졸업했고, 1920년(54세)에는 고마자와대학 학장을 역임했다. 이후 그는 1929년 이 책을 쓰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머물면서 많은 자료를 모았다. 그리고 전국 30여 개 본산을 방문하여 각 사찰에 소장되어 있는 자료도 수집했다. 그 자료를 가지고 고마자와대학에서 한국불교사를 강의했고, 그 결과 1930년에 출판된 책이 바로 「한국선교사(원저명: 조선선교사)」이다.
이 책은 이능화(1869-1943) 선생의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1918년, 한국 新文館), 그리고 다카하시 도루(高橋亨, 1877-1966)의 「이조불교(李朝佛敎)」(1929년, 일본 寶文館)와 함께 한국불교사 연구의 명저다. 이능화 선생의 「조선불교통사」는 우리나라 불교사와 관련된 문헌을 총망라한 자료집 성격의 책이고, 다카하시 도루의 「이조불교」는 조선시대 불교사에 대한 연구로서 고전적인 책이다.
이 책의 저자인 누카리야 카이텐(1867-1934)은 일본 조동종 선승으로서, 고마자와대학(駒澤大學)을 졸업했고, 1920년(54세)에는 고마자와대학 학장을 역임했다. 이후 그는 1929년 이 책을 쓰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머물면서 많은 자료를 모았다. 그리고 전국 30여 개 본산을 방문하여 각 사찰에 소장되어 있는 자료도 수집했다. 그 자료를 가지고 고마자와대학에서 한국불교사를 강의했고, 그 결과 1930년에 출판된 책이 바로 「한국선교사(원저명: 조선선교사)」이다.
이 책은 이능화(1869-1943) 선생의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1918년, 한국 新文館), 그리고 다카하시 도루(高橋亨, 1877-1966)의 「이조불교(李朝佛敎)」(1929년, 일본 寶文館)와 함께 한국불교사 연구의 명저다. 이능화 선생의 「조선불교통사」는 우리나라 불교사와 관련된 문헌을 총망라한 자료집 성격의 책이고, 다카하시 도루의 「이조불교」는 조선시대 불교사에 대한 연구로서 고전적인 책이다.

한국선교사
$7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