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인간의 지혜는 늘 불완전하고 파편화되어 있다
공부하면서 얻는 지도 역시 찢겨 있고 나침반은 부실하다
그러나 남다른 생활양식으로 길을 내고
자득으로 방향을 얻어 자기 구제의 공부길에 나서는 일
그것은 앞선 자의 책임이며 뒤따르는 자의 운명이다
공부하면서 얻는 지도 역시 찢겨 있고 나침반은 부실하다
그러나 남다른 생활양식으로 길을 내고
자득으로 방향을 얻어 자기 구제의 공부길에 나서는 일
그것은 앞선 자의 책임이며 뒤따르는 자의 운명이다
말하면서 공부한다
박문호, 유시민, 정희진의 경우
글쓰기, 말하기, 읽기, 듣기로 끊임없이 인문학의 자리를 마련해온 저자는 『조각난 지혜로 세상을 마주하다』에서 총 열 차례 강의를 한다. 첫 강의부터 시선을 붙잡는다. 말로 우리 시대를 풍미하고 있는 박문호, 유시민, 정희진을 다루기 때문이다. 세 사람에 대해 저자가 내놓는 질문은 이렇다. ① 정희진은 왜 저렇게 조리 없이, 늘 샛길로 빠지면서 말할까? ② 박문호는 왜 인문학을 물로 볼까? ③ 유시민은 왜 인문학자연然하는 걸까?
정희진의 강의를 들어본 이들은 알 텐데, 그는 갑자기 맥락을 떠나 샛길로 달리며 만담식으로 말한다. 가지런한 이론을 내놓기보다 온몸으로 이론과 주장을 펼치는 듯한 모습은 마치 연극배우 같다. 기억의 천재 박문호는 ‘이해하지 말고 암기하라’ ‘질문하지 마라’면서 인문학적 논변을 실없는 짓으로 여기는 듯하다. 특히 초성 리을 발음이나 이중모음이 안 되는 그의 경북 산골 발음에서 우주를 섭렵한 듯한 박식이 뿜어나올 때 청중은 그 대조성에 놀란다. 유시민은 좋은 기억력과 열린 태도로 빠른 학습자의 면모를 보인다. 비축해둔 비평 거리가 많아 남의 말에 곧잘 끼어드는 그는 그러나 풍운아적 기질로 남다른 식견을 드러낸다. 다만 경제학 전공에 정치인의 이력을 보유한 그의 자리는 인문학에 있지 않았는데 왜 지금에 와서 인문학자연하는 것일까?
저자는 이 셋의 말하기와 글쓰기, 시간에 따른 변화를 쫓으면서 인문학적 관심이 어떻게 넓어지고 재배치되며 진화하는지를 살핀다. ‘수행적-표현주의적’으로 보이는 정희진의 발화법, ‘한물간’ 사회과학 영역에서 벗어나 변신을 꾀하려는 유시민, 엄밀한 교과서주의적 자연과학자이면서도 공동체적 전망을 내비치는 듯한 박문호의 경로에서 우리는 인문학이 각자의 삶에서 자리잡는 방식을 볼 수 있다.
1강의 말하기는 9강에서 강조하는 ‘응해서 말하기’와 함께 읽어도 통하는 면이 있다. 9강에서는 듣기-말하기의 관계, 말하기-글쓰기의 관계를 고찰한다. “귀를 가졌다고 듣는 게 아니라 어떤 마음과 태도를 가지고, 어떤 훈련을 거쳐야만 들린다.” 또한 말하기는 글 쓰듯이 하면 안 된다. 말은 듣는 이와 정신적 관계를 맺는 일이므로 그를 위해서, 그를 향해서 이뤄져야 한다. 말은 상대가 이해할 수 있도록, 또 상대의 동의를 이끌어내도록 해야 하므로 실용성이 필수다. 그러니 발화하는 자는 자신의 기량을 높여야 한다. 말하기는 에고를 늘어놓는 행위가 아니다. 오히려 이는 저잣거리에 있는 어리석은 사람들 속으로 자기 몸을 밀어넣는 행위다.
박문호, 유시민, 정희진의 경우
글쓰기, 말하기, 읽기, 듣기로 끊임없이 인문학의 자리를 마련해온 저자는 『조각난 지혜로 세상을 마주하다』에서 총 열 차례 강의를 한다. 첫 강의부터 시선을 붙잡는다. 말로 우리 시대를 풍미하고 있는 박문호, 유시민, 정희진을 다루기 때문이다. 세 사람에 대해 저자가 내놓는 질문은 이렇다. ① 정희진은 왜 저렇게 조리 없이, 늘 샛길로 빠지면서 말할까? ② 박문호는 왜 인문학을 물로 볼까? ③ 유시민은 왜 인문학자연然하는 걸까?
정희진의 강의를 들어본 이들은 알 텐데, 그는 갑자기 맥락을 떠나 샛길로 달리며 만담식으로 말한다. 가지런한 이론을 내놓기보다 온몸으로 이론과 주장을 펼치는 듯한 모습은 마치 연극배우 같다. 기억의 천재 박문호는 ‘이해하지 말고 암기하라’ ‘질문하지 마라’면서 인문학적 논변을 실없는 짓으로 여기는 듯하다. 특히 초성 리을 발음이나 이중모음이 안 되는 그의 경북 산골 발음에서 우주를 섭렵한 듯한 박식이 뿜어나올 때 청중은 그 대조성에 놀란다. 유시민은 좋은 기억력과 열린 태도로 빠른 학습자의 면모를 보인다. 비축해둔 비평 거리가 많아 남의 말에 곧잘 끼어드는 그는 그러나 풍운아적 기질로 남다른 식견을 드러낸다. 다만 경제학 전공에 정치인의 이력을 보유한 그의 자리는 인문학에 있지 않았는데 왜 지금에 와서 인문학자연하는 것일까?
저자는 이 셋의 말하기와 글쓰기, 시간에 따른 변화를 쫓으면서 인문학적 관심이 어떻게 넓어지고 재배치되며 진화하는지를 살핀다. ‘수행적-표현주의적’으로 보이는 정희진의 발화법, ‘한물간’ 사회과학 영역에서 벗어나 변신을 꾀하려는 유시민, 엄밀한 교과서주의적 자연과학자이면서도 공동체적 전망을 내비치는 듯한 박문호의 경로에서 우리는 인문학이 각자의 삶에서 자리잡는 방식을 볼 수 있다.
1강의 말하기는 9강에서 강조하는 ‘응해서 말하기’와 함께 읽어도 통하는 면이 있다. 9강에서는 듣기-말하기의 관계, 말하기-글쓰기의 관계를 고찰한다. “귀를 가졌다고 듣는 게 아니라 어떤 마음과 태도를 가지고, 어떤 훈련을 거쳐야만 들린다.” 또한 말하기는 글 쓰듯이 하면 안 된다. 말은 듣는 이와 정신적 관계를 맺는 일이므로 그를 위해서, 그를 향해서 이뤄져야 한다. 말은 상대가 이해할 수 있도록, 또 상대의 동의를 이끌어내도록 해야 하므로 실용성이 필수다. 그러니 발화하는 자는 자신의 기량을 높여야 한다. 말하기는 에고를 늘어놓는 행위가 아니다. 오히려 이는 저잣거리에 있는 어리석은 사람들 속으로 자기 몸을 밀어넣는 행위다.
조각난 지혜로 세상을 마주하다 : 김영민 강연집
$1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