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와 고사로 들려주는 그림이야기

시와 고사로 들려주는 그림이야기

$50.22
Description
고대인들은 문자가 있기 전에 그들의 삶을 그림으로 그려서 벽화로 남겼다. 그 후로 그림은 점점 쓰임의 폭이 넓어져서 사람들을 교화하고 인륜을 도우며 자연의 변화를 연구하고 삶의 이치를 찾아내는 등 다양한 역할을 담당했다. 또 그림은 사람다운 사람이 되는 기본 소양을 갖추는 도구였다. 그 때문에 지식인은 학문과 별도로 예술에도 능해야 했다.

중국 한나라 때 장화가 지은 잠언箴言의 글을 토대로 고개지가 그림으로 그렸고 그림에 장화의 잠언시를 적었던 것에서 비롯하여 당나라 이후 본격적으로 제화시題畫詩가 등장하게 되었다. 당시 화가들은 인물ㆍ산수ㆍ화훼花卉ㆍ초충草蟲 등의 그림을 그리고 화폭의 한쪽에 시를 적었다.

당대 이후 인물화에는 주로 역사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고사를 그림으로 그렸고 그림에 제화 시를 써서 그 고사 이야기를 적었다. 송명宋明에 와서 제화시가 적힌 그림이 많은데 특히 명明의 당인이 인물고사를 그림으로 가장 많이 그렸다. 고사는 역사에 존재하던 인물들의 이야기로 각종 경전이나 역사서, 고서에 적혀있는 전고를 바탕으로 시와 그림에 등장한다. 그림에 적힌 제화 시를 읽으면 그 시대의 인물들, 역사적 배경, 그 시대 시와 예술 풍조 등을 알 수 있다.
저자

권오향

저자:권오향

이화여대문리대학수학과

성균관대학교문학석사,철학박사

성균관대학교겸임교수역임

(사)인문예술연구소선임연구원

(현)해여인문예술연구소대표

인문예술학회부회장

국가교육위원회전인교육분과위원

저서및역서

『실학의태두왕정상』저(우수학술도서선정)

『신언愼言』역주

『세종은과연성군인가우문에대한현답』,『백가쟁명』,『철학자의창고』공저

목차

쉽게읽는시와그림이야기15

동진東晉
《낙신부도洛神賦圖》고개지顧愷之19
《열녀인지도列女仁智圖》고개지24
고개지《여사잠도女史箴圖》1장화張華29
고개지《여사잠도女史箴圖》2장화35
고개지《여사잠도女史箴圖》3장화39

쉽게읽는시와그림이야기41

당唐
《단청인丹靑引》증조장군패두보杜甫45
韋諷錄事宅觀曹將軍《화마도馬圖》두보51
題《벽상위언화마가壁上韋偃畵馬歌》두보58
自題《사진시위한림학사眞時爲翰林學士》백거이白居易61
題張僧繇《취승도醉僧圖》회소懷素65
《명황행촉도明皇幸蜀圖》이소도李昭道72

쉽게읽는시와그림이야기82

송宋
題韓幹《십사마도十四馬圖》소식蘇軾84
自題《금산화상金山像》소식88
李亮功家周昉畵《미인금완도美人琴阮圖》황정견黃庭堅97
題李亮功戴嵩《우도牛圖》황정견103
왕마힐《포어도捕魚圖》곽상정郭祥正107
題《여산도廬山圖》옥간玉澗112

쉽게읽는시와그림이야기116

금金
伯時畵《구가九歌》조병문趙秉文118
題周昉畵《권수도倦繡圖》이준민李俊民123

원元
李唐《우牛》원각126
題韓幹《조야백도照夜白圖》4수왕운129
題《희영도》전선錢選135
題《왕희지관아도王羲之觀鵝圖》전선138
題梁楷《설새유기도雪塞遊騎圖》대표원戴表元145
題張萱《당궁도련도唐宮搗練圖》정거부149
題韓滉《목우도牧牛圖》정거부153
題李唐《춘목도春牧圖》임사림任士林156
題《추호희처도秋胡戱妻圖》조맹부159
題《인기도人騎圖》조맹부163
題周文矩《십미도十美圖》황공망黃公望166
題翠巖《중산출유도中山出遊圖》송무宋無169
題陳宏《명황격오동도明皇擊梧桐圖》오사도師道176
題顧宏中《한희재야연도韓載夜宴圖》정원우鄭元祐181
題《준골도駿骨圖》공개192
題趙仲穆《개양마도馬圖》조중목趙仲穆194
題李唐《촌사취귀도村社醉歸圖》주덕윤朱潤196
題《미남궁상米南宮像》곽비郭200
題張叔厚《비파사녀琵琶仕女》정동鄭東207
題衛九鼎《낙신도洛神圖》예찬倪瓚211
題松雪《마도馬圖》예찬221
因陀羅畵《한산습득도寒山拾得圖》초석범기楚石梵琦226

쉽게읽는시와그림이야기231

명明
題趙仲穆《화미도眉圖》유기劉基233
題李唐《원안와설도袁安臥雪圖》장우張羽237
題錢舜擧《잠상도蠶桑圖》우감虞堪243
題畵《마馬》왕불247
題趙子昻《소무목양도蘇武牧羊圖》사복謝複250
題錢舜擧《어락도漁樂圖》심주沈周255
題《이태백상李太白像》심주260
題李伯時《연사도蓮社圖》이동양李東陽269
題趙仲穆《협탄도挾彈圖》이동양273
題《동산휴기도東山妓圖》곽허278
《추풍환선도秋風紈扇圖》당인唐寅283
《이단단도李端端圖》당인290
《동방삭투도상東方朔偸桃象》당인297
《동음청몽도桐陰夢圖》당인305
《모란사녀도牧丹士女圖》당인311
《왕촉궁기도王蜀宮妓圖》당인318
《도곡증사도陶穀贈詞圖》당인322
《소약도燒葯圖》당인325
《수각관앙도水閣觀秧圖》당인330
《동리상국도東籬賞菊圖》당인331
《태백상太白像》문징명文徵明336
《매수미인화梅樹美人畵》서위徐渭343
《월궁선자도月宮仙子圖》三首서위349
題徐渭畵《왕우군王右軍》서위356
題《왕질난가도王質爛柯圖》서위360
《발묵십이단拔墨十二段》卷之八서위363
醉中詠玉林山人所繪《취선도醉仙圖》서위365
題韓幹《야목도野牧圖》장봉익張翼367
題李士達《삼타도三駝圖》전윤치錢允治371
題李士達《삼타도三駝圖》육사인陸士仁373
題李士達《삼타도三駝圖》문겸광文謙光375
《답설심매도踏雪尋梅圖》장풍張風379
《죽림고사도竹林高士圖》장풍384
《죽림고사도竹林高士圖》원화袁華387
題《위수조어도渭水釣漁圖》왕좌王佐392
題《추강어정秋江漁艇》진계유陳繼儒398

쉽게읽는시와그림이야기400

청淸
題《추강독조도秋江獨釣圖》왕사정王士禎402
《묵필류하도연명墨筆柳下陶淵明》원제原濟404
《묵필교상아동방지연墨筆橋上兒童放紙鳶》원제412
《종규변상지기귀도鐘變相之騎鬼圖》고기패高其佩416
《종규변상지강마도鐘變相之降魔圖》고기패419
《종규도鐘圖》고기패421
題趙孟《욕마도浴馬圖》건륭乾隆423
畵《마馬》화암華426
《종규가매도鍾嫁妹圖》화암428
《종규도鍾圖》두수화암431
《연표사안도聯射雁圖》丁酉春화암434
題羅聘《동심선생오수도冬心先生午睡圖》금농金農436
《어귀도漁歸圖》황신黃愼441
《수조도垂釣圖》황신445
《어부도漁夫圖》황신449
《어옹어부도漁翁漁婦圖》황신451
《사녀도仕女圖》황신453
《휴금사녀도携琴仕女圖》황신455
《취면도醉眠圖》황신457
《종규상鍾像》이선460
《풍우종규도風雨鍾圖》乾隆十年端陽前二日이방응李方膺463
《삼대경전도三代耕田圖》四首이방응466
贊羅聘《양봉사립도兩峰蓑笠圖》옹방강翁方綱470
《인물도人物圖》年八十왕소王素474
《채릉녀도采菱女圖》거소居巢476
《문희귀한도文姬歸漢圖》고동헌高洞軒480
《동경풍년도同慶豊年圖》고동헌490
題任《종규참호도鍾斬狐圖》오창석吳昌碩492
《필탁도주畢卓盜酒》제백석齊白石496

참고문헌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