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이제는 인문핵이다
- 핵공학자 서균렬이 들려주는 ‘인문핵’ 이야기
- 핵공학자 서균렬이 들려주는 ‘인문핵’ 이야기
이 책은 서울대학교 에너지시스템공학부 서균렬 명예교수가 들려주는 인문학으로 풀어본 원자핵 이야기를 담았다. 원자핵이 무엇인지, 핵분열과 핵융합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인류와 핵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등을 살펴본다.
더불어 핵발전소와 핵폭탄의 위험성, 우리나라 핵 연구와 핵발전소의 역사, 세계 각국의 핵무기 개발 과정과 북한의 핵무기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려준다.
서균렬 교수의 핵 연구를 위한 삶의 궤적을 따라가며 구성된 이 책은 핵에 대한 최신 과학적 정보와 함께 인문학적인 성찰을 통해 핵에 대해 쉽게 알려준다.
저자는 급격한 과학기술의 발달로 핵이 지배하던 세상을 지나 인공지능이 군림하는 시대의 초입에 이미 들어섰다고 말한다. 달을 정복하고 화성을 탐사한 인류가 머지않아 외계로 여행을 다니게 될 것인데, 그때 우리는 과거를 돌아보며 왜 부질없이 핵으로 반목하고 서로를 위협하며 시간을 허비했는지, 왜 철학에서 위안을 찾지 않고, 인문에서 구원을 받지 않았는지 반문할 것이라고 지적한다.
서 교수는 우리가 원자력으로 많은 혜택을 누렸지만, 미래 세대가 핵폐기물 같은 문제를 수습해야 하기에 그들에게 빚을 지고 있다고 말한다. 핵은 이제 사양길에 접어들었고, 핵무기로 상대국가를 위협하며, 핵발전소에서 얻은 전기를 통해 풍요를 추구하던 시대는 저물어 가고 있다고 말한다.
핵발전소와 관련해서는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으면 안 짓느니만 못하다고 지적한다. 지금 있는 발전소를 최대한 활용하되, 서서히 대체 에너지 비율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에너지 정책은 ‘원자력이 답’이라는 생각이 머릿속에 가득한 사람들이 결정해서는 안 되며, 환경과 우리 삶과의 영향을 살펴야 한다고 강조한다. 공학이 아닌 인문적 관점에서 거시적 안목으로 핵에 대한 정책을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나아가 핵으로 인한 모든 부작용은 핵의 도구화에서 비롯했다고 지적한다. 핵을 이용하면서 목적과 맥락을 생각하지 않았던 것이 문제라는 것이다. 이제는 핵에 대한 관점을 바꾸어 인문적 관점에서 정리해야 할 때가 되었다고 말한다. 핵은 이제 초국경, 초세대, 초과학의 사안이기에 과학으로 묻고 과학으로 답하는 것으로는 부족하고, 인문학의 관점으로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한다.
한편 저자는 세상 모든 것이 태어나고, 소멸하지만 핵은 영원하다고 말한다. 우주가 탄생했을 때나 지금이나 핵은 여전히 핵이며, 별의 먼지였다가 셀 수 없이 많은 우연을 거쳐 ‘나’라는 생명으로 태어났다는 것이다. 우리 인간은 우연한 핵의 결합으로 잉태되고, 성장하고, 늙다가 결국 죽음에 이르기에 핵과 함께 윤회한다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핵을 알면 알수록 철학에 가까워질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더불어 핵발전소와 핵폭탄의 위험성, 우리나라 핵 연구와 핵발전소의 역사, 세계 각국의 핵무기 개발 과정과 북한의 핵무기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려준다.
서균렬 교수의 핵 연구를 위한 삶의 궤적을 따라가며 구성된 이 책은 핵에 대한 최신 과학적 정보와 함께 인문학적인 성찰을 통해 핵에 대해 쉽게 알려준다.
저자는 급격한 과학기술의 발달로 핵이 지배하던 세상을 지나 인공지능이 군림하는 시대의 초입에 이미 들어섰다고 말한다. 달을 정복하고 화성을 탐사한 인류가 머지않아 외계로 여행을 다니게 될 것인데, 그때 우리는 과거를 돌아보며 왜 부질없이 핵으로 반목하고 서로를 위협하며 시간을 허비했는지, 왜 철학에서 위안을 찾지 않고, 인문에서 구원을 받지 않았는지 반문할 것이라고 지적한다.
서 교수는 우리가 원자력으로 많은 혜택을 누렸지만, 미래 세대가 핵폐기물 같은 문제를 수습해야 하기에 그들에게 빚을 지고 있다고 말한다. 핵은 이제 사양길에 접어들었고, 핵무기로 상대국가를 위협하며, 핵발전소에서 얻은 전기를 통해 풍요를 추구하던 시대는 저물어 가고 있다고 말한다.
핵발전소와 관련해서는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으면 안 짓느니만 못하다고 지적한다. 지금 있는 발전소를 최대한 활용하되, 서서히 대체 에너지 비율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에너지 정책은 ‘원자력이 답’이라는 생각이 머릿속에 가득한 사람들이 결정해서는 안 되며, 환경과 우리 삶과의 영향을 살펴야 한다고 강조한다. 공학이 아닌 인문적 관점에서 거시적 안목으로 핵에 대한 정책을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나아가 핵으로 인한 모든 부작용은 핵의 도구화에서 비롯했다고 지적한다. 핵을 이용하면서 목적과 맥락을 생각하지 않았던 것이 문제라는 것이다. 이제는 핵에 대한 관점을 바꾸어 인문적 관점에서 정리해야 할 때가 되었다고 말한다. 핵은 이제 초국경, 초세대, 초과학의 사안이기에 과학으로 묻고 과학으로 답하는 것으로는 부족하고, 인문학의 관점으로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한다.
한편 저자는 세상 모든 것이 태어나고, 소멸하지만 핵은 영원하다고 말한다. 우주가 탄생했을 때나 지금이나 핵은 여전히 핵이며, 별의 먼지였다가 셀 수 없이 많은 우연을 거쳐 ‘나’라는 생명으로 태어났다는 것이다. 우리 인간은 우연한 핵의 결합으로 잉태되고, 성장하고, 늙다가 결국 죽음에 이르기에 핵과 함께 윤회한다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핵을 알면 알수록 철학에 가까워질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서균렬 교수의 인문핵 : 인문학으로 본 원자핵 - 철수와영희 생각의 근육 3
$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