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애별리고(愛別離苦)는 나의 힘
- 김빈 시집 『식물의 감정』
춘천에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김빈 시인이 세 번째 시집 『식물의 감정』(달아실 刊)을 펴냈다. 달아실기획시집 35번으로 나왔다.
김빈 시인은 2006년 『시현실』로 등단하였고, 지금까지 『시간의 바퀴 속에서』(2010), 『버스정류장에서 널 기다리다 잔 꽃잠』(2019) 등 두 권의 시집을 상재하였고, 강원여성문인협회 회원이고, 빛글문학회, 시문, 시를뿌리다 동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딸을 잃은 참척지변(慘慽之變)을 견디기 위해, 단장지애(斷腸之哀)의 슬픔, 서하지통(西河之痛)의 아픔을 견디기 위해 쓰여진 시집이 첫 번째 시집 『시간의 바퀴 속에서』이라면, 이번 세 번째 시집 『식물의 감정』은 애증의 대상이었던 남편을 떠나보낸 고통과 상처를 견디기 위해 쓰여진 시집이라고 할 수 있다.
김빈 시인은 이번 세 번째 시집을 펴내는 소회를 〈시인의 말〉을 통해 이렇게 밝히고 있다.
“힘겹게 버티며 살아냈던/ 모든 것에서 벗어난 흐름의 여유도 없이/ 당신이 있어도 없어도 이 허허로움은 어디에서 오는 쓸쓸함일까요?/ 이제 괜찮아, 괜찮아질 거야/ 꿈에서도 현실에서도 되뇌며 나는 당신에게 당신은 나에게/ 어떤 형상으로든 스미어/ 당신의 자유와 나의 평안이 그 어떤 빛에라도 반사되어 흐르기를/ 내가 살고 있는 일상에 당신의 자유를 저장합니다./ 나의 평화를 응원합니다.”
이영춘 시인은 “운명 앞에 구원이 되고 위로가 된 시의 세계”라는 제목으로 이번 시집을 이렇게 분석한다.
“김빈 시인의 이번 시집은 소설 속 한 여자의 일생처럼 자신이 겪어온 인생 이야기를 시라는 장르를 통하여 형상화한 작품집이다. 그러므로 김빈의 시는 많이 아프고 많이 힘들고 많이 어둡다. ‘인생’이란 큰 짐을 지고 그 무게를 감당해내는 여정이 시편마다 가슴 뭉클하게 스며 있기 때문이다. 그런 까닭으로 그의 시를 읽을 때마다 ‘운명’이란 무엇일까를 생각하게 된다. 왜냐하면 2010년에 간행된 그의 첫 시집 『시간의 바퀴 속에서』는 꽃다운 나이에 이 세상을 떠난 딸을 애도하는 통한의 피눈물로 쓴 작품들을 상재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번 시집은 한평생 가장 가까운 사람으로부터 받았던 상처로 얼룩진 삶의 무게를 견디어 온 여정을 쓴 시집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여정을 함께해온 ‘당신’이란 사람은 끝내 65세를 일기로 이 세상을 떠났기 때문이다. 김빈 시인의 삶에는 왜 이렇게 큰 아픔만이 존재하는가? 그래서 ‘운명’이란 무엇인가를 다시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중략) 김빈의 이번 시집은 결국 남편에 의하여 탄생된 시로 남편을 위해 바치는 ‘사부가(思夫歌)’라 이름하여도 부족함이 없을 것 같다.”
“김빈 시인에게 문학이란 과연 무엇일까? 그에게 문학은 그의 구원이 될 수 있었을까? 앞에서 언급한 대로 처음 그가 시를 쓰기 시작한 것은 딸을 잃은 절망적 슬픔과 아픔에서 시작되었다. 일기를 쓰듯, 딸의 영혼에게 편지를 쓰듯, 그는 자신의 한과 고통을 글을 통하여 달래고 기도하듯 시를 썼다. 이런 연유의 글쓰기가 김빈으로 하여금 문학의 길로 발을 올리게 한 것이다. 그런 가운데서 그는 글을 통하여 구원을 얻을 수 있었고 문학적 성과도 크게 거두는 시인이 되었다.
저녁이 앉아 있다
식탁 위에 빨간 말 알을 슬고 있다
녹지도 않으면서 밀주 속으로 말의 씨가 가라앉고 있다
기억은 지운다 해도 순간은 지워지지 않는다
잠깐 현실이고 견뎌온 날 멀다
절망까지 가려면 얼마나 깊은 기도가 나를 숨 쉬게 할까
언 땅 움켜쥐고 매 순간 도피 중이고 유배 중이다
- 「식물의 감정」 전문
‘식물’이라는 객관적상관물을 통하여 화자의 감정, 즉 정서를 절묘하게 승화시킨 작품으로 절창이다. 이 시 속에는 ‘저녁이 앉아 있다// 식탁 위에 빨간 말 알을 슬고 있다’와 같이 화자의 쓸쓸하면서도 아픈 마음의 상처가 후광처럼 일렁인다. ‘잠깐 현실이고 견뎌온 날 멀다’는 역설적(paradoxical) 어법을 썼지만, 현실적으로는 ‘견뎌갈 날이 먼’ 것이다. 같은 역설적 이치로 절망 속에 존재하면서도 ‘절망까지 가려면 얼마나 깊은 기도가 나를 숨 쉬게 할까’라고 역설한다. 절망 속에서 절망을 극복하려는 발화의 고조다.”
시인 김빈의 삶은 애별리고(愛別離苦)와 그로 인한 상처만이 가득하다. 죽었다 깨도 아물지 않을 상처투성이의 삶이다. 딸과 남편의 연이은 죽음은 그의 오장육부를 찢고 끊는 상처로 오롯이 새겨졌을 테다. 그러니까 살아남은 그는 지금 삶을 살아내고 있는 것이 아니라 삶을 견디어내고 있는 중일 테다. 시간의 바퀴 속에 딸의 죽음을 새기고 버스정류장에서 널 기다리다 잔 꽃잠에 부재를 새기며 그렇게 버티고 견디는 중일 테다. 남편의 죽음과 부재를 식물의 감정으로 다스리고 있는 그를 끝내 응원할 수밖에 없는 까닭이다.
- 김빈 시집 『식물의 감정』
춘천에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김빈 시인이 세 번째 시집 『식물의 감정』(달아실 刊)을 펴냈다. 달아실기획시집 35번으로 나왔다.
김빈 시인은 2006년 『시현실』로 등단하였고, 지금까지 『시간의 바퀴 속에서』(2010), 『버스정류장에서 널 기다리다 잔 꽃잠』(2019) 등 두 권의 시집을 상재하였고, 강원여성문인협회 회원이고, 빛글문학회, 시문, 시를뿌리다 동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딸을 잃은 참척지변(慘慽之變)을 견디기 위해, 단장지애(斷腸之哀)의 슬픔, 서하지통(西河之痛)의 아픔을 견디기 위해 쓰여진 시집이 첫 번째 시집 『시간의 바퀴 속에서』이라면, 이번 세 번째 시집 『식물의 감정』은 애증의 대상이었던 남편을 떠나보낸 고통과 상처를 견디기 위해 쓰여진 시집이라고 할 수 있다.
김빈 시인은 이번 세 번째 시집을 펴내는 소회를 〈시인의 말〉을 통해 이렇게 밝히고 있다.
“힘겹게 버티며 살아냈던/ 모든 것에서 벗어난 흐름의 여유도 없이/ 당신이 있어도 없어도 이 허허로움은 어디에서 오는 쓸쓸함일까요?/ 이제 괜찮아, 괜찮아질 거야/ 꿈에서도 현실에서도 되뇌며 나는 당신에게 당신은 나에게/ 어떤 형상으로든 스미어/ 당신의 자유와 나의 평안이 그 어떤 빛에라도 반사되어 흐르기를/ 내가 살고 있는 일상에 당신의 자유를 저장합니다./ 나의 평화를 응원합니다.”
이영춘 시인은 “운명 앞에 구원이 되고 위로가 된 시의 세계”라는 제목으로 이번 시집을 이렇게 분석한다.
“김빈 시인의 이번 시집은 소설 속 한 여자의 일생처럼 자신이 겪어온 인생 이야기를 시라는 장르를 통하여 형상화한 작품집이다. 그러므로 김빈의 시는 많이 아프고 많이 힘들고 많이 어둡다. ‘인생’이란 큰 짐을 지고 그 무게를 감당해내는 여정이 시편마다 가슴 뭉클하게 스며 있기 때문이다. 그런 까닭으로 그의 시를 읽을 때마다 ‘운명’이란 무엇일까를 생각하게 된다. 왜냐하면 2010년에 간행된 그의 첫 시집 『시간의 바퀴 속에서』는 꽃다운 나이에 이 세상을 떠난 딸을 애도하는 통한의 피눈물로 쓴 작품들을 상재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번 시집은 한평생 가장 가까운 사람으로부터 받았던 상처로 얼룩진 삶의 무게를 견디어 온 여정을 쓴 시집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여정을 함께해온 ‘당신’이란 사람은 끝내 65세를 일기로 이 세상을 떠났기 때문이다. 김빈 시인의 삶에는 왜 이렇게 큰 아픔만이 존재하는가? 그래서 ‘운명’이란 무엇인가를 다시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중략) 김빈의 이번 시집은 결국 남편에 의하여 탄생된 시로 남편을 위해 바치는 ‘사부가(思夫歌)’라 이름하여도 부족함이 없을 것 같다.”
“김빈 시인에게 문학이란 과연 무엇일까? 그에게 문학은 그의 구원이 될 수 있었을까? 앞에서 언급한 대로 처음 그가 시를 쓰기 시작한 것은 딸을 잃은 절망적 슬픔과 아픔에서 시작되었다. 일기를 쓰듯, 딸의 영혼에게 편지를 쓰듯, 그는 자신의 한과 고통을 글을 통하여 달래고 기도하듯 시를 썼다. 이런 연유의 글쓰기가 김빈으로 하여금 문학의 길로 발을 올리게 한 것이다. 그런 가운데서 그는 글을 통하여 구원을 얻을 수 있었고 문학적 성과도 크게 거두는 시인이 되었다.
저녁이 앉아 있다
식탁 위에 빨간 말 알을 슬고 있다
녹지도 않으면서 밀주 속으로 말의 씨가 가라앉고 있다
기억은 지운다 해도 순간은 지워지지 않는다
잠깐 현실이고 견뎌온 날 멀다
절망까지 가려면 얼마나 깊은 기도가 나를 숨 쉬게 할까
언 땅 움켜쥐고 매 순간 도피 중이고 유배 중이다
- 「식물의 감정」 전문
‘식물’이라는 객관적상관물을 통하여 화자의 감정, 즉 정서를 절묘하게 승화시킨 작품으로 절창이다. 이 시 속에는 ‘저녁이 앉아 있다// 식탁 위에 빨간 말 알을 슬고 있다’와 같이 화자의 쓸쓸하면서도 아픈 마음의 상처가 후광처럼 일렁인다. ‘잠깐 현실이고 견뎌온 날 멀다’는 역설적(paradoxical) 어법을 썼지만, 현실적으로는 ‘견뎌갈 날이 먼’ 것이다. 같은 역설적 이치로 절망 속에 존재하면서도 ‘절망까지 가려면 얼마나 깊은 기도가 나를 숨 쉬게 할까’라고 역설한다. 절망 속에서 절망을 극복하려는 발화의 고조다.”
시인 김빈의 삶은 애별리고(愛別離苦)와 그로 인한 상처만이 가득하다. 죽었다 깨도 아물지 않을 상처투성이의 삶이다. 딸과 남편의 연이은 죽음은 그의 오장육부를 찢고 끊는 상처로 오롯이 새겨졌을 테다. 그러니까 살아남은 그는 지금 삶을 살아내고 있는 것이 아니라 삶을 견디어내고 있는 중일 테다. 시간의 바퀴 속에 딸의 죽음을 새기고 버스정류장에서 널 기다리다 잔 꽃잠에 부재를 새기며 그렇게 버티고 견디는 중일 테다. 남편의 죽음과 부재를 식물의 감정으로 다스리고 있는 그를 끝내 응원할 수밖에 없는 까닭이다.
식물의 감정 - 달아실 기획시집 35
$1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