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언어가 주인공인 독특하고 기발한 소설
『소설 해례본을 찾아서』
한글날과 시점을 맞추어 출간되었다
『소설 해례본을 찾아서』
한글날과 시점을 맞추어 출간되었다
일제로부터 해례본을 지켜낸 국문학자 김태준의 흥미진진한 이야기!
그가 간송에게 넘겨준 해례본과 우리말이 흘러온 시간을
이중 나선구조로 엮은 기상천외한 상상력!
다양한 화법과 다채로운 방식의 추리소설이 교차하는 환상적 서사!
1940년, 일제강점기 조선에 기적 같은 소식이 날아들었다. 한글 창제 원리가 오롯이 담긴 ‘훈민정음 해례본’이 안동에서 모습을 드러냈다는 것이었다. 말과 글이 무자비하게 탄압받던 때였다.
역사적 사실은 이렇다. 그해 명륜학원 강사였던 국문학자 김태준은 자신의 수업을 듣고 있던 경북 안동 출신 제자 이용준으로부터 훈민정음 해례본으로 보이는 고서를 가지고 있다는 얘기를 전해 들었다. 그리고 안동을 찾아 이 고서가 기록으로만 남아있던 ‘훈민정음 해례본’인 것을 확인하게 된다.
첫째 장과 둘째 장이 소실됐으나 세종대왕이 집필한 예의편(例義篇), 정인지·신숙주 등 집현전 8학사가 쓴 해례편(解例篇), 정인지 서문 등 3부분 31장으로 구성돼 있는 거의 완벽에 가까운 정본이자 ‘한글의 창제 원리와 우리글의 위대함’을 증명하는 유일한 증거였다. 가치를 매길 수 없는 무가지보(無價之寶)였다.
훈민정음 해례본의 존재를 확인한 김태준은 그해 1940년 한글학자들에게 훈민정음 해례본 번역을 의뢰했고, 그 내용은 〈조선일보〉와 한 잡지에 공개됐다. 민족의 얼이라 할 수 있는 한글의 위대함이 공식화되는 순간이었다.
그 시절, 훈민정음 해례본은 특별했다. 말과 글이 사지에 몰린 때 나타난 기적이자 구세주였다. 해례본 원본의 안위가 중요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에 일제 수탈을 염려해 원본의 소장자(간송 전형필 선생)와 위치는 철저히 비밀에 부쳐졌다. 훈민정음 해례본을 찾고 지키는 것, 그건 한글을 지키고 민족의 얼을 사수하는 것과 같은 일이었다.
그가 간송에게 넘겨준 해례본과 우리말이 흘러온 시간을
이중 나선구조로 엮은 기상천외한 상상력!
다양한 화법과 다채로운 방식의 추리소설이 교차하는 환상적 서사!
1940년, 일제강점기 조선에 기적 같은 소식이 날아들었다. 한글 창제 원리가 오롯이 담긴 ‘훈민정음 해례본’이 안동에서 모습을 드러냈다는 것이었다. 말과 글이 무자비하게 탄압받던 때였다.
역사적 사실은 이렇다. 그해 명륜학원 강사였던 국문학자 김태준은 자신의 수업을 듣고 있던 경북 안동 출신 제자 이용준으로부터 훈민정음 해례본으로 보이는 고서를 가지고 있다는 얘기를 전해 들었다. 그리고 안동을 찾아 이 고서가 기록으로만 남아있던 ‘훈민정음 해례본’인 것을 확인하게 된다.
첫째 장과 둘째 장이 소실됐으나 세종대왕이 집필한 예의편(例義篇), 정인지·신숙주 등 집현전 8학사가 쓴 해례편(解例篇), 정인지 서문 등 3부분 31장으로 구성돼 있는 거의 완벽에 가까운 정본이자 ‘한글의 창제 원리와 우리글의 위대함’을 증명하는 유일한 증거였다. 가치를 매길 수 없는 무가지보(無價之寶)였다.
훈민정음 해례본의 존재를 확인한 김태준은 그해 1940년 한글학자들에게 훈민정음 해례본 번역을 의뢰했고, 그 내용은 〈조선일보〉와 한 잡지에 공개됐다. 민족의 얼이라 할 수 있는 한글의 위대함이 공식화되는 순간이었다.
그 시절, 훈민정음 해례본은 특별했다. 말과 글이 사지에 몰린 때 나타난 기적이자 구세주였다. 해례본 원본의 안위가 중요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에 일제 수탈을 염려해 원본의 소장자(간송 전형필 선생)와 위치는 철저히 비밀에 부쳐졌다. 훈민정음 해례본을 찾고 지키는 것, 그건 한글을 지키고 민족의 얼을 사수하는 것과 같은 일이었다.
소설 해례본을 찾아서 - 달아실 한국소설 22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