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인권문제 세트 (전18권) - 외교문서 비밀해제 (양장)

한국 인권문제 세트 (전18권) - 외교문서 비밀해제 (양장)

$1,440.00
Description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과 병행되었던 한국의 인권운동은 해방이 되었음에도 큰 결실을 보지 못했다. 1950년대 반공을 앞세운 이승만 정부와 한국전쟁, 역시 경제발전과 반공을 내세우다 유신 체제에 이르렀던 박정희 정권, 쿠데타로 집권한 1980년대 전두환 정권까지, 한국의 인권은 이를 보장해야 할 국가와 정부에 의해 도리어 억압받고 침해되었다. 이런 배경상 근대 한국의 인권운동은 반독재, 민주화운동과 결을 같이했고, 대체로 국외에 본부를 둔 인권 단체나 정치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종교 단체에 의해 주도되곤 했다. 이는 1980년 5·18광주민주화운동을 계기로 보다 근적인 변혁을 요구하는 형태로 조직화되었고, 그 활동 영역도 정치를 넘어 노동자, 농민, 빈민 등으로 확대되었다. 이들이 없었다면 한국은 1987년 군부 독재 종식하고 절차적 민주주의를 도입할 수 없었을 것이다. 민주화 이후에도 수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한국의 인권운동은 점차 전문적이고 독립된 운동으로 분화되며 더 많은 이들의 참여를 이끌어냈고, 지금까지 많은 결실을 맺을 수 있었다.

본 총서는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외교부에서 작성하여 30여 년간 유지했던 한국 인권문제와 관련한 국내외 자료를 담고 있다. 6월 항쟁이 일어나고 민주화 선언이 이뤄지는 등 한국 인권운동에 많은 변화가 있었던 시기다. 당시 인권문제와 관련한 국내외 사안들, 각종 사건에 대한 미국과 우방국, 유엔의 반응, 최초의 한국 인권보고서 제출과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 과정, 유엔인권위원회 활동, 기타 민주화 관련 자료 등 총 18권으로 구성되었다. 전체 분량은 약 9천여 쪽에 이른다.

저자

한국학술정보편집부

저자:한국학술정보편집부
살아숨쉬는지식정보의장-학술서적인한국학술정보와실용서적인이담북스는최신의POD기술로지금까지약7,200종이상의도서를출판하고있습니다.현재까지약135종이상의정부선정우수학술및우수교양도서를배출했습니다.한국학술정보㈜는출판브랜드를통해알찬실용지식을독자에게전달했으며,변화를꿰뚫는혜안과기획력으로앞서가는독자들의욕구를충족시키고있습니다.

목차

권명/자료명

제1권한국인권문제제사안1
한국인권문제와관련한제사안,1985-86
한국인권문제와관련한제사안,1987

제2권한국인권문제제사안2
한국인권문제관련사안,1990-91.전2권(V.11990-91.2월)
한국인권문제관련사안,1990-91.전2권(V.21991.3-12월)

제3권한국인권문제국제사면위원회방한및대응1
A.I.(국제사면위원회)대표단방한,1990
A.I.(국제사면위원회)인사방한,1991

제4권한국인권문제국제사면위원회방한및대응2
A.I.(국제사면위원회)보고서및대응활동,1991.전2권(V.11-9월)
A.I.(국제사면위원회)보고서및대응활동,1991.전2권(V.210-12월)

제5권한국인권문제아동권리에관한협약가입
아동의권리에관한협약한국가입,1991.12.20.전3권(V.11987-90.8월)
아동의권리에관한협약한국가입,1991.12.20.전3권(V.21990.9-12월)
아동의권리에관한협약한국가입,1991.12.20.전3권(V.31991)

제6권한국인권문제시민적정치적권리국제규약인권보고서1
시민적.정치적권리에관한국제규약(B규약)한국최초인권보고서제출및심의,1991-92.전5권(V.11991.1-6월)
시민적.정치적권리에관한국제규약(B규약)한국최초인권보고서제출및심의,1991-92.전5권(V.21991.7-12월)

제7권한국인권문제시민적정치적권리국제규약인권보고서2
시민적.정치적권리에관한국제규약(B규약)한국최초인권보고서제출및심의,1991-92.전5권(V.31992.1-6.17)
시민적.정치적권리에관한국제규약(B규약)한국최초인권보고서제출및심의,1991-92.전5권(V.41992.6.18-7.9)

제8권한국인권문제시민적정치적권리국제규약인권보고서3
시민적.정치적권리에관한국제규약(B규약)한국최초인권보고서제출및심의,1991-92.전5권(V.51992.7.10-10월)

제9권한국인권문제미국반응및동향1
미국평화봉사단원의1980.5.18광주사태[민주화운동]관련발언문제,1980
한국인권문제에대한미국관계기관의문의,1981-85

제10권한국인권문제미국반응및동향2
김근태사건관련미국반응,1985-86
부천서(권인숙)사건관련미국반응,1986
미국국무부의한국인권문제보고서,1985-87

제11권한국인권문제미국반응및동향3
미국장로교총회한국문제결의안대책,1985-86
문익환목사구속관련미국반응,1986

제12권한국인권문제미국반응및동향4
한국인권상황관련미국동향,1990-91.전5권(V.11990-91.1월)
한국인권상황관련미국동향,1990-91.전5권(V.21991.2월)
한국인권상황관련미국동향,1990-91.전5권(V.31991.3-7월)

제13권한국인권문제미국반응및동향5
한국인권상황관련미국동향,1990-91.전5권(V.41991.8-9월)
한국인권상황관련미국동향,1990-91.전5권(V.51991.10-12월)

제14권한국인권문제유엔반응및동향1
UNCSDHA(유엔사회개발인도문제센터),1984
유엔인권위원회,제47차.Geneva,1991.1.28-3.8
유엔인권위원회사무국공한,1991

제15권한국인권문제유엔반응및동향2
유엔인권사무국접수한국관련진정서,1991
유엔인권소위원회,제43차.Geneva,1991.8.5-30
유엔인권위원회,제48차.Geneva,1992.1.27-3.6.전2권(V.11월-2.24)
유엔인권위원회특별회의.Geneva,1992.8.13-14

제16권한국인권문제민주화관련기타자료1
한국인권문제에대한카나다관계기관의문의,1985-86
김대중복권및한국의민주화촉구결의안(Kerry결의안)제출및대책,1985-86
박종철서울대생고문치사사건,1987

제17권한국인권문제민주화관련기타자료2
한국정세및인권문제에대한호주반응,1987
한국인권문제관련독일동향,1989-91
인권관계다자조약유보철회,1990-91
경제적,사회적및문화적(A규약)권리위원회,1991

제18권한국인권문제민주화관련기타자료3
세계인권편람자료검토,1991
인종차별철폐협약(CERD)당사국회의,제14차.NewYork,1992.1.15
각국의인권보장기구현황조사,1992
인권업무현황및추진계획,1992

출판사 서평

외교문서비밀해제
한국인권문제

일제강점기독립운동과병행되었던한국의인권운동은해방이되었음에도큰결실을보지못했다.1950년대반공을앞세운이승만정부와한국전쟁,역시경제발전과반공을내세우다유신체제에이르렀던박정희정권,쿠데타로집권한1980년대전두환정권까지,한국의인권은이를보장해야할국가와정부에의해도리어억압받고침해되었다.이런배경상근대한국의인권운동은반독재,민주화운동과결을같이했고,대체로국외에본부를둔인권단체나정치로부터상대적으로자유로운종교단체에의해주도되곤했다.이는1980년5·18광주민주화운동을계기로보다근적인변혁을요구하는형태로조직화되었고,그활동영역도정치를넘어노동자,농민,빈민등으로확대되었다.이들이없었다면한국은1987년군부독재종식하고절차적민주주의를도입할수없었을것이다.민주화이후에도수많은어려움이있었지만,한국의인권운동은점차전문적이고독립된운동으로분화되며더많은이들의참여를이끌어냈고,지금까지많은결실을맺을수있었다.

본총서는1980년대중반부터1990년대초반까지,외교부에서작성하여30여년간유지했던한국인권문제와관련한국내외자료를담고있다.6월항쟁이일어나고민주화선언이이뤄지는등한국인권운동에많은변화가있었던시기다.당시인권문제와관련한국내외사안들,각종사건에대한미국과우방국,유엔의반응,최초의한국인권보고서제출과아동의권리에관한협약과정,유엔인권위원회활동,기타민주화관련자료등총18권으로구성되었다.전체분량은약9천여쪽에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