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와 지표로 살펴보는 대만

데이터와 지표로 살펴보는 대만

$17.00
Description
대만과 대만 사회 이해의 필요성
대만과 한국은 동아시아를 대표하는 민주주의 국가로 유사한 정치, 경제, 사회적 환경과 미디어 환경을 가지고 있다. 대만은 중국과 갈등을 겪고 있고, 한국은 북한과 갈등을 겪고 있는 국가라는 측면의 유사점도 존재한다. 그러나 한국 사회는 대만 사회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지 않다. 이에 이 책은 세계 각 국가가 처한 상황을 보여주는 지표와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만의 현재를 설명한 후 이를 한국 상황과 비교하여 제시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한국이 대만 사회를 이해해야 할 필요성을 설명해 보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이 책을 통해 제시한 지표 가운데, ‘민주주의 지수’, ‘세계평화 지수’, ‘통일 인식’ 등의 지표는 해당 국가의 정치·사회적 상황을 이해하기 위한 맥락, ‘세계자유 지수’, ‘인간자유 지수’, ‘세계 언론자유 지수’, ‘인터넷 자유 지수’는 해당 국가가 얼마나 자유로운지 이해하기 위한 맥락, ‘행복 지수’, ‘외국인의 생활 인식’은 해당 국가의 삶의 질을 이해하기 위한 맥락, ‘인간개발 지수’, ‘성 불평등 지수’, ‘국가 경쟁력 지수’, ‘국가 디지털 경쟁력 지수’, ‘지속 가능한 무역 지수’는 해당 국가의 경제적 상황을 이해하기 위한 맥락에서 소개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정치·사회적 상황을 이해하기 위한 맥락의 지표(산술 평균)에서 대만은 21.5위, 한국은 33.5위로 평균 12위의 차이가 있었고, 국가의 자유도를 이해하기 위한 맥락의 지표에서 대만은 21.67위, 한국은 44.67위로 평균 23위의 차이가 있었으며, 삶의 질을 이해하기 위한 맥락의 지표에서 대만은 16위, 한국은 53.5위로 평균 37.5위의 차이가 있었고, 경제적 상황을 이해하기 위한 맥락의 지표에서 대만은 11.25위, 한국은 12위로 차이가 거의 없었다. 한국과 대만 사이의 경제적 상황에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은 양국이 첨단산업 생산 강국이고, 수출 중심의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는 부분이다. 문제는 경제적 상황이 유사한 한국 사회의 삶의질, 행복도를 보여 주는 지표가 대만에 비해 상당히 낮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는 한국 사회가 삶의 질, 시민의 행복을 높이기 위해서는 과도한 경쟁주의 시스템을 개선하고, 인권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 정부와 정치권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한 제도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 분야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대만의 사례와 더 높은 순위를 받은 국가들의 사례를 벤치마킹하는 등의 노력도 필요해 보인다. 아울러 한국 사회에서 개인과 조직, 언론사의 자유를 확장하기 위한 법, 제도적 환경의 정비와 함께 극단적인 양당 정치 시스템 등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 북한과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적극적인 외교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서를 통해 한국 사회는 가깝지만 낯선 국가인 대만을 조금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한국인의 관심이 부족한 국가였던 대만의 각종 지표는 한국 사회와 한국인들이 한국 사회를 낯설게 바라보고, 성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한국 사회가 당면한 각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자

황우념

저자:황우념
대만인으로동명대학교미디어대학광고홍보학과에서초빙교수로일하고있다.글로벌커뮤니케이션과문화간커뮤니케이션에관심을가지고있다.대만국립정치대학교(國立政治大學)한국어문학과에서학사학위를취득한후한양대학교신문방송학과에서커뮤니케이션학석,박사학위를받았다.부산대학교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강사,글로벌기업안텍(ANTEC)의글로벌비즈니스담당매니저,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타이베이지사의마케팅스페셜리스트,글로벌기업시뮬라(SIMULA)의글로벌비즈니스담당사원으로일했다.《한류와혐한속한국이미지의형성,변곡,그리고반향,2020》,《대만방송뉴스의현실과쟁점,2016》등다수의저서와논문을발표했다.

역자:이정기
동명대학교미디어대학광고홍보학과에서부교수로일하고있다.표현의자유와인권,미디어효과,교육커뮤니케이션에관심을가지고있다.동명대학교신문방송학과에서언론학사,경희사이버대학교에서정치사회학사와사회복지학사학위를취득했고,한양대학교신문방송학과에서커뮤니케이션학석,박사학위를받았다.한양대학교신문방송학과강의교수,한양대학교창의융합교육원교수학습지원센터책임연구원으로일했고,대통령직속국가균형발전위원회자문위원,부울경언론학회총무이사및연구이사,한국언론법학회와한국PR학회,한국방송학회기획이사,〈한국방송학보〉,〈방송통신연구〉,〈미디어,젠더&문화〉,〈지역과커뮤니케이션〉의편집위원으로활동했다.부산민주언론시민연합정책위원으로활동중이기도하다.《표현,언론그리고집회결사의자유》(2011),《대한민국표현자유의현실》시리즈(2016,2020,2023),《표현의자유확장을위한논리》(2022),《대한민국언론자유의현실》(2024)등28권의저서와130편의논문을발표했다.접기

목차


서문:대만과대만사회이해의필요성

01대만의민주주의지수
02대만의세계평화지수
03대만인의정체성과통일인식
04대만의인간개발지수와성불평등지수
05대만의세계자유지수
06대만의인간자유지수
07대만의세계언론자유지수
08대만의행복지수
09대만거주외국인들의대만생활인식
10대만의국가경쟁력지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