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다문화와 다문화가족 담론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총서 2

한국의 다문화와 다문화가족 담론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총서 2

$26.80
저자

유두련

저자:유두련
효성여자대학교가정학과를졸업하였으며,독일기센대학교(Justus-LiebigUniversitatGießen)대학원가정관리학과에서석사학위와박사학위를취득하였다.미국조지아대학교(TheUniversityofGeorgia)에서객원교수,대구가톨릭대학교가족상담복지학과학부와대학원에서교수를역임하였다.

목차


서문

제1부한국다문화가족담론의이론적토대

제1장한국다문화가족담론의연구배경
1.연구의배경
2.선행연구
3.연구방법

제2장한국다문화가족담론의형성과변천과정
1.다문화가족인식형성이전시기(1990년대중기까지)
2.다문화가족공론화시기(1990년대후기~2007년까지)
3.다문화가족지원확대시기(2008년이후)

제2부한국의다문화가족담론의주요개념과쟁점

제3장한국다문화가족담론의주요개념분석
1.가정폭력
2.가족관계
3.가족해체
4.결혼만족도
5.고부갈등
6.국제결혼이주
7.국제결혼이주여성의취업
8.국제결혼한국남성의특성
9.다문화가정의자녀양육
10.다문화가족상담
11.중도입국자녀
12.초국가적가족
13.공감능력
14.다문화수용성
15.대중매체속의다문화가족재현
16.결혼이민여성의인권
17.이주의젠더화
18.국제결혼중개업
19.다문화가족정책기본계획
20.다문화가족지원센터

제4장한국다문화가족담론의쟁점
1.가정폭력
2.가족관계
3.가족해체
4.결혼만족도
5.고부갈등
6.국제결혼이주
7.국제결혼이주여성의취업
8.국제결혼한국남성의특성
9.다문화가정의자녀양육
10.다문화가족상담
11.중도입국자녀
12.초국가적가족
13.공감능력
14.다문화수용성
15.대중매체속의다문화가족재현
16.결혼이민여성의인권
17.이주의젠더화
18.국제결혼중개업
19.다문화가족정책기본계획
20.다문화가족지원센터

제3부한국다문화가족담론의전망과과제

제5장주요외국의다문화가족담론과한국다문화가족담론을위한함의
1.미국
2.독일
3.캐나다
4.프랑스
5.영국
6.호주
7.일본
8.대만

제6장한국다문화가족담론의특징과과제
1.결혼이주여성이당면한어려움
2.한국다문화가족정책의특성
3.다문화가족정책에대한비판적담론
4.한국다문화가족담론을위한과제

참고문헌

출판사 서평


《한국의다문화와다문화가족담론》은한국사회의다문화현상과이민자가족의경험을심층적으로탐구한저서이다.저자유두련은한국사회가빠르게다문화사회로변모하는과정에서발생한여러문제와갈등을체계적으로분석한다.이책은다문화담론의형성과변천과정을통시적으로살펴보며,다문화가족의사회적지위와역할을재조명한다.
특히,저자는한국의다문화가족이처한현실적어려움을다양한관점에서조명한다.결혼이주여성들이새로운사회에적응하는과정에서겪는언어적,문화적충돌과사회적차별,가족내갈등등을구체적으로다루며,이를해결하기위한정책적대안을제시한다.다문화가족지원법의제정과그영향,다문화가족의법적정의와정책적변화등을통해다문화가족의사회적통합방안을모색한다.
또한,한국과서구이민국가들의다문화가족지원정책을비교분석하며,한국다문화가족정책의방향성을제시한다.저자는다문화가족담론이한국사회에서어떻게형성되고변화해왔는지를다양한사례와연구를통해명확히설명하며,독자들에게다문화사회에대한깊이있는통찰을제공한다.
이책은학자,정책입안자,시민단체활동가,언론인등다양한독자층에게유용한자료가될것이다.다문화사회로의전환과정에서발생하는문제를해결하고,더나은사회적통합을이루기위한실질적인방안을제시하며,다문화와이민정책에대한이해를넓히는데기여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