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다문화사회복지와 다문화교육 담론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총서 3

한국 다문화사회복지와 다문화교육 담론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총서 3

$26.42
저자

장미야

저자:장미야
효성여자대학교(현대구가톨릭대학교)사회학과에서학부,이화여자대학교에서사회학석사,SanFranciscoTheologicalSeminary에서목회학석사,CaliforniaStateUniversity,LosAngeles에서사회복지학석사,UniversityofCalifornia,LosAngeles(UCLA)에서사회복지학박사학위를받고현재대구가톨릭대학교문화연구원에연구교수로재직중이다.연구관심분야는노인정신건강,노인학대,자원봉사,여가,다문화가족등이다.저자는노인복지분야에서미국과한국의비교연구에관심이많으며,주요논문은단독저자로서여러편의국제저명학술지(SSCI)논문과국내저명학술지(KCI)논문이있다.저서로는『이주와글로벌가족』,『다문화와글로컬리티』가있다.

목차


서문
서론

제1부한국다문화사회복지와다문화교육담론의역사적고찰

제1장다문화사회복지와다문화교육담론의연구배경
1.다문화사회복지담론
2.다문화가족의출현과담론
3.다문화교육과담론
4.다문화교육의특징

제2장다문화사회복지와다문화교육담론의형성과변천과정
1.다문화사회복지정책담론의도입기
2.다문화사회복지정책담론의성장기
3.다문화사회복지정책담론의정착기
4.다문화교육정책담론의도입기
5.다문화교육정책담론의성장기
6.다문화교육정책담론의정착기

제2부한국다문화사회복지와다문화교육담론의주요개념과쟁점

제3장다문화사회복지와다문화교육담론의주요개념
1.다문화복지
2.다문화가족복지서비스
3.다문화가족복지정책
4.외국인의사회보장
5.다문화상담
6.다문화가족관계
7.다문화사회전문가
8.사회통합프로그램
9.문화적응스트레스
10.다문화가족정신건강
11.다문화네트워크
12.다문화법률
13.다문화가족국제결혼중개업
14.다문화가족정책
15.글로벌가족
16.다문화교육
17.상호문화교육
18.한국어교육
19.국제이해교육
20.다문화교육프로그램
21.외국인유학생
22.다문화중점학교
23.다문화교육정책
24.다문화가족교육
25.세계시민교육
26.다문화인권교육
27.다문화학생
28.중도입국청소년
29.다문화인식
30.문화적역량

제4장다문화사회복지와다문화교육담론의쟁점
1.다문화사회복지담론에대한쟁점
2.다문화교육담론의쟁점

제3부한국다문화담론의전망과과제

제5장서구다문화담론과한국다문화담론의비교
1.서구의다문화주의담론
2.한국의다문화사회복지담론
3.서구의다문화교육담론
4.한국의다문화교육정책담론

제6장다문화사회복지와다문화교육담론의특징과과제
1.다문화사회복지담론의특징
2.다문화사회복지담론의과제
3.다문화교육담론의특징
4.다문화교육담론의과제

참고문헌

출판사 서평


《한국다문화사회복지와다문화교육담론》은한국의다문화사회복지와교육분야에서다문화담론의형성과변천과정을심도있게분석한연구서이다.저자장미야는다문화주의가현대사회에서갖는의미와그변화과정을다각적으로조망하며,이를통해사회복지와교육정책의발전방향을제시한다.이책은다문화가족,이주노동자,외국인유학생등다양한다문화구성원들의사회적위치와권리에대한포괄적인이해를돕는다.특히,다문화담론이어떻게정책으로구체화되고,실질적인복지와교육서비스로연결되는지를다룬다.
저자는다문화사회복지의역사적배경과함께,다문화가족의출현과그들의사회적정착과정에서나타나는문제점들을상세히분석한다.또한,다문화교육의개념과목표를정의하고,다문화교육의실천방법과그효과를평가한다.이를통해다문화사회에서의통합과공존을위한방안을모색하고,미래지향적인다문화정책의방향을제시한다.
《한국다문화사회복지와다문화교육담론》은학문적깊이와실천적적용가능성을겸비한책으로,다문화사회로의전환을준비하는데중요한지침서가될것이다.연구자,정책입안자,사회복지사,교육자등다문화문제에관심있는모든이들에게유익한자료를제공한다.다문화주의에대한폭넓은이해와실질적인접근방법을제시하는이책은,한국사회의다문화담론을한단계발전시키는데큰기여를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