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국가의 정치 군사적 조건 the Korean Peninsula, 676~1885

한반도 국가의 정치 군사적 조건 the Korean Peninsula, 676~1885

$20.00
Description
20, 21세기의 동 아시아는 ‘해양 대 대륙’의 대립 구도 속에서 남/ 북한이 양 세력의 전초를 이루고 있다. 그렇지만 7~19세기까지의 오랜 기간 동안 그 지역은 ‘한반도 국가/ 북방 북국/ 구 중국’의 구도 하에 있었고 한반도는 그 한 부분을 이루어 왔다. 멀리는 고려조의 3국설(후 3국 3국 소급설), 가까이는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양계 중심 화의 영향으로 인해서 그 지역은 상당히 다른 방식으로 해석되어 왔다. 7세기 이전 다시 말해서 이른바 3국 통일 전쟁(노태돈 2009 a) 이전의 한반도 지역도 있는 그대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한반도 지역의 역사적인 모습을 제대로 인식할 때만이 미래를 향한 더 나은 전략을 구사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손동완

저자:손동완
이전의중국연구(원래의전공이다)와근래의북방연구(2021a,b,c,2022)를두축으로해서저자는한반도(theKoreanPeninsula)란지역에대한심도있는해석을지향한다.본서는그연장선상의작업이라할수있다.그이전에진행한한반도의한민족(조선반도의조선민족)에관한연구는“한민족에대한우리의인식”(2023)(828쪽)이란제목으로묶여나온바있는데축약본도나와있다(2024a).더이전에는20세기의사회와가치에대한여러문제를강의(고려대법대와경영대교양과정)하고구중국의정치/사회사상에관한논문(1991,1992,1993)을쓰고서구권의중국연구동향을소개하는편역(1984)작업에참여하기도했다.

목차


(한반도국가)
1서설
2한반도3조
3통일전쟁
4만들어진3국

(대북국)
5북방북국
6남국문제
7남북국설
8북국제국

(대중국)
9화하
10중국문화
11한족
12정치군사

보론1~12

참고문헌
용어와색인

출판사 서평

한반도(theKoreanPeninsula)는일찍부터동아시아지역역학구도의일부로존재해왔다.구중국(중원)과북방북국(만주)을포함한그지역에서한반도는일정한조건하에서그위상을확보해온것은분명하다.그렇지만그러한구도와조건에대해서근대이래의민족주의(박찬승2010)는바람직하지못한해석을부추기고있다.한반도지역과관련해서정확한역사인식과현실파악만이그지역민족집단의생존에실질적인도움이될것이다.특히구중국/신중국의서로다른상황을구분하지못하는시각은현대남한(대한민국)의국가전략이란면에서상당한불안을예고한다고할수있다.7세기이전의그지역에대한인식도제자리를찾아야할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