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관광콘텐츠와 향교·서원

문화관광콘텐츠와 향교·서원

$15.80
Description
한국의 9개 서원은 2019년 7월 6일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면서 서원의 문화적 가치가 재인식되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서원은 도동서원, 소수서원, 도산서원, 병산서원, 옥산서원, 남계서원, 필암서원, 무성서원, 돈암서원 등 아홉 곳이다. 서원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계기로 한국의 유교문화를 경험하고 싶어 하는 국민과 한류 팬들의 관심을 받게 되었다. 하지만 조선시대에 교육은 공공교육은 향교에서 사교육은 서원에서 담당했다. 따라서 이 책은 서원뿐만 아니라 향교와 서원을 묶어서 유교문화의 전통을 계승하여 한국인의 정신문화와 생활문화에 근간을 이루는 한국문화의 유산을 재조명하는 데 그 의미를 두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은 향교·서원은 유교문화권의 전통과 역사적 가치를 어떻게 문화관광으로 자원화하는가에 대한 이해와 논의를 본격적으로 다룬 책이다.
이 책은 향교·서원의 문화콘텐츠가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다양한 체험 콘텐츠로 세계문화유산으로 가치를 부여할 수 있도록 다루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그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향교·서원 문화콘텐츠가 브랜드 개성을 토대로 문화콘텐츠 체험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고, 시대의 트렌드에 맞는 콘텐츠 개발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둘째, 향교·서원이 문화재로서의 공간에서 문화콘텐츠 체험의 장으로 구현할 수 있는 공간의 확장을 위해 지역사회의 시설과 연계한 공동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셋째, 향교·서원의 문화콘텐츠가 향유될 수 있도록 지역의 인적자원과 연계한 운영 확대와 이를 지속가능하게 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축과 체험 콘텐츠 보급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머리말 중에서).

저자

방미영

저자:방미영
서경대학교광고홍보콘텐츠학과교수이자MZ세대가중심이되어디지털콘텐츠를개발하는<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운영위원장을맡고있다.추계예술대학교문화예술학과에서박사학위를받았으며,사단법인한국전자출판학회회장,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부회장을역임했다.경기연구원·한국농어촌연구원위촉연구원및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외국간행물심의위원,농림부국가중요농업유산심의위원,한국관광공사홍보대사,게임물등급위원회자문위원등다양한활동을하였다.
월간<언론과비평>외문화부기자및KBS교양제작국에서<문화가산책>,<차한잔을나누며>,<전국은지금>,<생방송큐>등많은프로그램에서방송작가로활동했으며,e문화예술교육연구원원장,드림엔터기획대표,도서출판드림엔터대표를역임하였다.
현재는콘텐츠문화학회부회장,한국농식품6차산업학회부회장을맡고있으며,성균관“향교.서원문화관광프로그램”컨설턴트,(재)한국의서원통합보존관리단자문위원및도시재생을위한지역문화,브랜드스토리텔링,문화마케팅분야의연구및현장에서개발에주력하고있다.
주요저서로는『2024검색광고마케터1급』(2024),『2024SNS광고마케터1급』(2024),『SNS광고마케터1급초단기완성』(2023),『디지털독서와트랜스리터러시』(2021),『우리땅독도그리고일본군위안부』(2015),『나의경쟁력』(2010),『반대가성공한역사』(2010),『잎들도이별을한다』(2000)등이있다.

목차


서문

1부문화콘텐츠와브랜드
1.문화콘텐츠브랜드의개념
2.문화콘텐츠브랜드의역할
3.문화콘텐츠브랜드개성

2부문화관광과문화콘텐츠
1.문화관과의기능
2.문화관광의효과
3.문화관광의체험
4.체험콘텐츠의영향

3부향교·서원과문화관광콘텐츠
1.향교·서원운영배경과의미
2.향교·서원의역할
3.향교·서원문화콘텐츠의운영실태
4부향교·서원운영사례
1.주요향교·서원의운영사례와인터뷰
2.양주향교
3.의성향교
4.월봉향교

5부향교·서원의미래
1.결론및시사점
2.향교·서원이나아가방향

참고문헌
부록전국향교?서원주소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