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문화협회와 한국독립운동에 관한 새로운 고찰

한중문화협회와 한국독립운동에 관한 새로운 고찰

$20.00
Description
이 책은 중국 학자의 관점에서 쓴 한국의 독립운동사를 정리한 책이다. 스위안화 교수는 푸단대학 석좌교수로 역사학 중 한국의 독립운동에 가장 권위있는 학자 중의 한 명이다. 그는『한국 독립운동 인물 연구』를 집필하면서 한국의 대표적인 인물을 중심으로 독립운동사를 저술하고 있다.
스위안화은 한국 독립운동사와 근대 한중 관계에서 한중문화협회의 역할에 큰 비중을 두고 있다. 한중문화협회은 1942년 충칭에서 설립한 가장 오래된 한중 관련 협회이고, 1965년 서울에서 다시 시작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현재도 한중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모든 분야를 잇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책은 한국 독립운동에 관한 두 개의 특집 연구인데 제1편은 ‘한중문화협회 연구’이다. 중일전쟁 후기에 설립된 한중문화협회는 한중 양국이 공동으로 일본침략을 반항하는 결정체이고 한중 민간 협력 기구의 집대성자이며 중국 정부 측에서 ‘국민외교’를 추진하는 중요한 조직체이다. 한중문화협회 연구의 발기, 창립배경, 설립 및 조직, 중국정당과의 관계, 한국 광복 운동과의 관계, 한중문화교류와의 관계 및 이 협회의 재건과 발전 등 7장으로 나누어 전반적이고 세밀하게 이 협회의 설립, 발전과 소멸 과정, 1960년대 한국에서 재건하는 역사적 과정을 전술하고 있다. 한중문화협회의 활동에 관한 연구는 한국 독립운동 연구와 오늘날 한중관계의 발전을 위해 중요한 역사적이고 현실적 의의가 있다.
2편은 “한국 독립운동 연구의 신 과제”를 다루고 있는데, 최근 스위안화 교수가 쓴 논문을 엮은 부분이다. 근현대 세계사에서 한국 독립운동의 위상과 역할, 한국 독립운동 평가와 한반도 통일, 중국 국민당의 한국ㆍ베트남 독립 지원 정책 비교, 전쟁 후 중국 국민정부의 한반도 정책 등을 담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1945년 염원했던 독립을 이루지만, 미국과 소련을 두 축으로 한 새로운 세계 지형도에서 한반도는 다시금 큰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된다. 그 실마리와 스펙타클한 한반도의 당시 상황을 잘 분석하고 있다.

저자

석원화

저자:석원화
중국복단대학(復旦大學)석좌교수
전.중국복단대학한국연구센터(復旦大學韓國究中心)주임및박사지도교수
전.한국고등교육재단및연변대학“와룡학술상”수상자
주요연구논저
『한국독립운동과중국』
『근대중국과주변외교사론』
『한국반일독립운동사론』
『한중문화협회연구』
『한국독립운동및중국관계』
『냉전이후의한반도문제』
『대한민국임시정부주화대표단연구』
『동아한문화권과중국관계』
『근대중국주변외교사론』

역자:종결
중국산동사범대학교외국어대학한국어과부교수,학과장
중국산동사범대한국어학학사
중국연변대학한국어학석사
전북대학교국어국문학박사

역자:조참훈
중국중경서남대학교외국어학원부교수,한국연구소소장
한국외국어대독어학학사
전남대학교영문학석사
홍콩이공대학교응용언어학박사

목차

머리말
차례
일러두기

제1편한국독립운동특집:한중문화협회연구
제1장한중문화협회연구의발기
제2장한중문화협회의설립배경
제1절일본침략을공동으로대항하는결정체
제2절한중양국간에는민간협력조직의집대성
제3절중국‘국민외교’의중요형식
제3장한중문화협회의창립과그조직
제1절한중양측의지도자들
제2절한중문화협회의설립
제3절한중문화협회의조직및지회
제4절한중문화협회의특징
제4장한중문화협회의와중국정당간의관계
제1절한중문화협회와중국국민당
제2절한중문화협회와중국공산당
제5장한중문화협회의와한국의독립광복
제1절한중문화협회와한국임시정부
제2절한중문화협회와한국독립운동선전
제3절한중문화협회와국제사회의한국임시정부승인
제4절한중문화협회와항전승리의도래
제5절한중문화협회와한국에대한‘신탁통치'의반대
제6절한중문화협회와한교민이익보호
제7절한중문화협회와이승만방중
제6장한중문화협회의와한중문화교류
제1절한중문화협회의문화교류활동
제2절『한중문화』및그주요내용
제7장한중문화협회의의재건과발전

제2편한국독립운동연구의신과제
제1장근현대세계사에서한국독립운동의위상와역할
제1절세계반파시즘전쟁의중요한구성부분
제2절세계반식민주의투쟁의중요한구성부분
제3절세계민주주의운동의중요한부분
제4절동북아안보의중요한담보
제5절미·소냉전의중요한전방진지
제2장한국독립운동평가와한반도통일
제1절한국독립운동의정치적한계
제2절남북관계완화와한국독립운동사에관한연구
제3절남북통일과정중에반드시해결해야할역사인식문제
제3장전쟁시중국국민당의한국ㆍ베트남독립지원정책비교
제1절중국국민당과주변민족독립운동
제2절중국국민당의한국·베트남지원사업의역사
제3절중국국민당의한국·베트남지원사업의상이한체계
제4절중국국민당의한국·베트남지원사업의지역적특성
제5절중국국민당의한국·베트남지원사업과국내연락
제6절중국국민당의한국·베트남지원사업의상이한결과
제4장전쟁후중국국민정부의한반도정책
제1절한반도정책에영향을주는내외요소
제2절대한민국임시정부의환국집권지원
제3절미·소‘초월’에서미국추종까지
제4절남한의단독선거지지
제5절미국의한반도복귀유도

저자소개
역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