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푼크툼’의 사진현상학

$28.26
Description

 

사진에 나타나는 표현할 수 없는 흔적
사진현상학에서 푼크툼의 의미

변함없는 ‘실재’에 대한 인간의 관심은 실재를 똑같이 재현해 내는 매체의 발달을 가속화시켜 카메라의 섬광으로 육안으로 ‘볼 수 없는 순간을 기록’할 수 있게 되고, 마침내 우리는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로 현실을 스펙타클로 끊임없이 복제, 전달, 소비하며 살고 있다. 이미지 없는 소통이 불가능할 정도로 영상에 길들여진 현대인에게 사진영상은 현실을 기록해 기억하게 해주는 본래의 기능을 넘어 세상을 바라보는 기준이 되었다. 그 결과 사진은 한편으로 각자 믿고 싶은 것만 보려는 확증편향(確證偏向)을 공고히 해주는 부작용을 초래하고, 다른 한편으로 다양한 첨단과학과 디지털 기술의 융합에 의해 3D 영상, 홀로그램으로 현실을 완벽하게 복제하는 것 너머 가상세계로 대체시키고 있다.

이런 상황은 테크노 영상의 기원인 사진의 본질에 대해 다시 진지한 사색을 요구한다. 『‘푼크툼’의 사진현상학』은 사진의 인증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했던 바르트가 ‘거기 존재했던 것’이 ‘사진’에 잔여로 존재할 수밖에 없는 ‘상실’이 새긴 상흔, 즉 ‘푼크툼의 파토스’를 통해 점점 스펙타클로 되어가는 사진에 대한 숙고를 에세이로 남긴 『밝은 방』을 현상학적 사진학으로 재구축한 것이다. ‘실재했던 것’과 ‘흔적’ 사이의 ‘불가역적인 상실’은 실재와 이미지 간의 오래된 논쟁에 대해 새로운 관점으로 성찰하게 해준다. 나아가 ‘상실’이 상처가 되지 않고 늘 화려하고 새로운 이미지들로 바꿔 버리는 뉴미디어 시대에 ‘사라진 것’이 야기한 강렬한 파토스에 의해 이타적인 존재와 만나게 해주는 ‘푼크툼’은 디지털 영상시대에 가장 강력하게 소환되어야 할 체험이다. 따라서 사진의 개별학으로서 『‘푼크툼’의 사진현상학』은 이미 고전이 되어버렸지만 어머니의 죽음을 애도하며 이러한 문제에 대해 함께 고심했던 『밝은 방』의 문장들 사이에 녹아있는 바르트의 혜안(慧眼)과 만나게 해 줄 것이다.
저자

프랑스 파리 10대학(Nanterre) 철학과에서 ‘현상학적 미적 지각과 체험’에 관해 연구하고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에 돌아와 대학에서 ‘현상학’, ‘프랑스철학’, ‘미학’, ‘사진영상매체’와 관련된 강의를 했고, 현재는 성균관대학교 하이브리드미래문화연구소의 책임연구원이자 학부대학 초빙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사진과 관련된 주요 논문으로는 현상학적 지각과 존재론에 근거해 현대 디지털사진의 존재론 특징을 연구한 「현대 사진 속 ‘상상적인 것’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모리스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을 중심으로」가 있다. 나아가 사르트르 및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시선과 프로이트, 라캉의 정신분석적 시선에 근거해 사진의 존재론적 특성 및 체험에 대해 「롤랑 바르트의 『밝은 방』에 나타난 ‘interfuit’의 의미와 효과」와 「사진에서 응시와 푼크툼(punctum)의 광기적 진실: 현상학적·정신분석적 이해」란 논문으로 발표했다. 최근에는 초연결적 지능형 자동화시대를 맞아 인간과 기술의 협력적 상호작용이 현대와 미래의 기술문화에서 차지하는 의미와 가치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이와 연관된 주요 논문으로는 「질베르 시몽동의 기술철학에 나타난 ‘기술성(technicit?)’의 의미: 현대 정보기술문화 이해를 위한 소고」, 「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적 ‘관계’에 대한 탐색: 시몽동의 개체화와 기술에 대한 사유를 중심으로」, 「사물인터넷과 메를로퐁티의 ‘상호세계’」, 「4차 산업혁명의 O2O 플랫폼으로서 AR」, 「‘상호적응형 자동화’모델로서 인간행위-공유플랫폼의 융화: 컬쳐팩토리로서 팹랩」과 같은 연구들이 있다. 이 외에도 공저로는 『미학』, 『프랑스 철학의 위대한 시절: 현상학의 흐름으로 보는 현대 프랑스 사상』, 『하이브리드 포이에시스: 첨단과학기술에 관한 인문적 사유』, 『공공성과 미래사회』 등이 있다. 또한 역서로는 『간접적인 언어와 침묵의 목소리』가 있다.

목차
  • 서언: 왜 ‘푼크툼’의 사진현상학인가?

    I. 사진과 시각
    1. 시선의 지향성
    1-1 ‘놀람’과 현상학적 시선
    1-2 지향적 시선과 정서적 본질
    2. 대상의 응시
    2-1 사진의 ‘혼란’과 우연성
    2-2 보이지 않는 ‘혼란’과 대상의 응시
    3. 이미지
    3-1 마술적 이미지로서의 사진
    3-2 상상행위로서 이미지

    II. 사진과 기계적 시각
    1. 카메라 옵스큐라의 이중성: 관찰기술의 투명성과 불투명성
    1-1 카메라 옵스큐라의 투명성과 시선
    1-2 카메라 옵스큐라의 광학적 불투명
    2. 카메라의 기술성과 매개적 도구로서의 카메라
    2-1 카메라 블랙박스의 기술성
    2-2 코드적, 재귀·매개적 도구로서의 카메라
    3. 자동 기술매체로서 사진정보와 광학적 실재성
    3-1 자동 기술매체의 광학적 정보와 스투디움
    3-2 자동기술의 차폐성과 광학적 게슈탈트의 푼크툼

    III. 사진과 기호
    1. 디노테이션과 도상기호
    1-1 신화의 1차 기호로서 사진기호체계
    1-2 사진의 아날로공과 도상기호로서 디노테이션
    2. 스투디움의 신화적 코노테이션과 상징기호
    2-1 코드화된 도상과 코노테이션
    2-2 상징지호와 신화적 코노테이션으로서의 스투디움
    3. 푼크툼의 잠재적 의미와 지표기호
    3-1 지시대상의 ‘자국’과 지표
    3-2 지표기호와 푼크툼의 잠재적인 의미

    IV. 사진과 시간
    1. 사이존재의 시간성과 흔적
    1-1 사이존재의 시간성
    1-2 사이존재와 지연된 시공간의 흔적
    2. 사이존재와 유령적 구조
    2-1 사이존재로서 무(無)의 노에마
    2-2 사진의 유령적 구조
    3. 심령체의 시간성과 시간의 강도(强度)로서 푼크툼
    3-1 심령체와 시선의 스캔들적 운동
    3-2 심령체의 몰시간성과 푼크툼

    V. 사진과 욕망
    1. 사진과 삶/죽음의 실존적·정신분석적 패러다임
    1-1 삶/죽음의 실존적 패러다임
    1-2 삶/죽음의 정신분석적 패러다임: 죽음 충동과 사진의 죽음
    2. 투케와 회귀의 트라우마
    2-1 투케와 무의식의 간극
    2-2 자동기술의 반복과 회귀의 트라우마
    3. 광학적 응시의 충동과 자동기계의 욕망
    3-1 응시의 무의식적 차원과 반복행위의 충동
    3-2 카메라의 광학적 응시의 욕망

    VI. 사진과 푼크툼
    1. 푼크툼의 감동과 구멍
    1-1 우연한 감동과 침묵으로서의 푼크툼
    1-2 분위기와 잉여적 의미 출현으로서 푼크툼의 구멍
    2. 푼크툼의 파토스로서 우울과 두려운 낯섦
    2-1 푼크툼의 파토스로서 우울
    2-2 푼크툼의 파토스로서 불안과 두려운 낯섦
    3. 푼크툼의 광기와 광기적 진실의 의미와 가치
    3-1 푼크툼의 광기와 숭고의 감정
    3-2 푼크툼의 광기적 진실과 이타성의 가치

    결언: ‘푼크툼’의 현상학적 사진학의 의미와 『밝은 방』이 디지털 영상 시대에 남긴 것
    1. ‘개별학’으로서 ‘푼크툼’의 현상학적 사진학’의 의미
    2. 『밝은 방』이 디지털 영상 시대에 남긴 것


    『밝은 방』에 실린 사진들과 본문에서 인용한 사진들
    참고문헌
    색인
출판사 서평

“아우라의 상실을 초래한 사진만의 고유한 상처의 체험”

세상에는 종종 우리의 마음을 울리는 사진이 있다. 정지된 화면에서 어떤 강렬한 감정을 느끼는 것이다. 뭐라고 단언할 수 없는 이 감정은 과연 어디서 오는 것일까?

저자는 프랑스의 비평가이자 철학자인 바르트의 『밝은 방』을 토대로 사진에 남는 흔적, 즉 ‘푼크툼’에 관해 저술한다. 바르트는 어머니가 어렸을 때 온실에서 찍은 사진에서 강렬한 감정을 느낀다. 자신이 알고 살아온 어머니와 다른 모습을 읽어냈기 때문이다. 그는 그 모습에서 자신이 받은 충격을 ‘푼크툼’이라 명명했다.

여기서 바르트는 카메라의 자동기술이 남긴 투명한 사진에 어떻게 침묵하는 불투명한 존재가 생기고, 왜 이 존재는 강렬한 충격과 혼란에 빠지게 하는 상흔, 즉 푼크툼을 새기는지 자문한다. -본문 11쪽

본문에서 말하는 푼크툼이란 사진에 드러나는, 딱 잘라 말하기 힘든 흔적이다. 흐르는 시간을 고정함으로써 나타나는 사진만의 특성이라 할 수 있다. 바르트는 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사르트르의 현상학을 참조한다. 사진의 보편적인 본질을 발견하고 ‘정동’을 체험하는 변형을 수용한 ‘유연한 현상학’을 말한다.

책에서는 20세기 사진에 관해서만 설명하고 있지만 21세기 사진에서도 푼크툼을 발견할 수 있지 않을까? 기술의 발달로 실재를 그대로 담았다고 하지만 역시 두 눈으로 보는 것과 모니터 혹은 인화지에 나타난 이미지는 현실을 따라가지 못 한다. 현실과의 간극에서 푼크툼이 생기지 않을 리 없다. 또한 『밝은 방』이 사진현상학과 영상매체의 발전에 어떤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