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해외 인류학자의 주한미군 탐색기
한미동맹 70주년, 우리 안의 미군은 어떤 존재였을까?
세계 질서와 로컬리티를 가로지르는, 주한미군을 둘러싼 다층적 시선
한미동맹 70주년, 우리 안의 미군은 어떤 존재였을까?
세계 질서와 로컬리티를 가로지르는, 주한미군을 둘러싼 다층적 시선
쇼버의 책은 글로벌 자본주의가 전통적인 한미관계, 주한미군의 지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한다. 이 과정에서 성별과 민족이라는 키워드로만 작동했던 기존의 기지촌 연구는 지역 경제, 로컬리티, 계급/인종/국적의 다양성과 연관되고, 국민국가 간의 기지촌 정치경제학이 국제정치와 로컬 정치로 확대·심화된다. 이른바 포스트 국민국가 체제 시대의 군사기지와 성 산업에 대한 정치한 분석으로, 기존의 시각으로는 파악할 수 없는 새로운 질서에 대한 새로운 분석이다. 그리하여 상상된 공동체로서의 네이션을 넘어, 실제적으로 작동하는 글로벌 자본주의 시대의 혼종성의 공간으로 한국을 입체화하는 데 성공했다. _정희진의 ‘해제’ 중에서
2007년에 연구차 한국에 온 엘리자베스 쇼버는 한국 대중이 미국과 미군에 대해 보이는 태도에 의문을 갖게 된다. 한국에서 미국은 오랜 동경의 대상이자 굳건한 ‘동맹국’이었건만, 왜 이곳에서 대중적인 반미 의식이 생겨났을까? 미군과 직접 대면해본 적 없는 많은 이들이 어떻게 미군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었을까? 이러한 질문을 출발점 삼아 쇼버는 미군 주둔으로 인한 한국 사회의 변화를 문화기술지로 조명해낸다. 외부자의 시선이지만 연구자로서의 정밀함과 균형감을 갖춘 인류학 보고서이다.
저자는 우선 구한말부터 21세기 초반까지 한국의 격동적 근현대사를 압축해 조망한다. 동시대의 한국 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내재적 분석이자 국제관계의 측면도 놓치지 않은 사전 조사다. 이후 본격적인 탐색이 펼쳐지는바, 동시대 한국의 미군 유흥지(기지촌, 이태원, 홍대)를 탐색하면서 미군, 이주여성, 한국인 등 다양한 행위자들이 실제로 어떻게 만나고 있는지, 그 현장의 목소리를 인류학의 언어로 드러내 보인다. 대중교통의 발달로 기지촌을 벗어나 편리하게 도심 유흥지에 드나들 수 있게 된 미군, 세계화의 진척과 함께 국내의 성 산업에 유입된 이주여성, ‘윤금이 사건’(1992), ‘미선이·효순이 사건’(2002), ‘미군기지 이전을 둘러싼 평택 대추리에서의 싸움’(2006), ‘한미FTA 체결’(2007)과 같은 굵직한 사건들을 거치며 미국 혹은 미군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표출하게 된 여러 한국인들(여성과 남성을 비롯해 운동가부터 펑크족까지)의 이야기가 탄탄한 장면으로 펼쳐진다. 각 행위자들의 주체성을 강조하되 이들이 타협해야 하는 더 큰 구조적 힘과 이들의 기저에 흐르는 정동을 함께 분석해냄으로써, 『동맹의 풍경』은 과거와 한층 달라진 새로운 질서를 드러낸다. 또한 이 책이 담아낸 여러 장면들은 미 제국의 전 지구적 군사주의 체제를 되돌아보게 하면서 동시에 글로벌 자본주의 시대에 여전히 제국의 군대와 함께 살아가는 한국 사회에 대한 몽타주이기도 하다.
2007년에 연구차 한국에 온 엘리자베스 쇼버는 한국 대중이 미국과 미군에 대해 보이는 태도에 의문을 갖게 된다. 한국에서 미국은 오랜 동경의 대상이자 굳건한 ‘동맹국’이었건만, 왜 이곳에서 대중적인 반미 의식이 생겨났을까? 미군과 직접 대면해본 적 없는 많은 이들이 어떻게 미군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었을까? 이러한 질문을 출발점 삼아 쇼버는 미군 주둔으로 인한 한국 사회의 변화를 문화기술지로 조명해낸다. 외부자의 시선이지만 연구자로서의 정밀함과 균형감을 갖춘 인류학 보고서이다.
저자는 우선 구한말부터 21세기 초반까지 한국의 격동적 근현대사를 압축해 조망한다. 동시대의 한국 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내재적 분석이자 국제관계의 측면도 놓치지 않은 사전 조사다. 이후 본격적인 탐색이 펼쳐지는바, 동시대 한국의 미군 유흥지(기지촌, 이태원, 홍대)를 탐색하면서 미군, 이주여성, 한국인 등 다양한 행위자들이 실제로 어떻게 만나고 있는지, 그 현장의 목소리를 인류학의 언어로 드러내 보인다. 대중교통의 발달로 기지촌을 벗어나 편리하게 도심 유흥지에 드나들 수 있게 된 미군, 세계화의 진척과 함께 국내의 성 산업에 유입된 이주여성, ‘윤금이 사건’(1992), ‘미선이·효순이 사건’(2002), ‘미군기지 이전을 둘러싼 평택 대추리에서의 싸움’(2006), ‘한미FTA 체결’(2007)과 같은 굵직한 사건들을 거치며 미국 혹은 미군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표출하게 된 여러 한국인들(여성과 남성을 비롯해 운동가부터 펑크족까지)의 이야기가 탄탄한 장면으로 펼쳐진다. 각 행위자들의 주체성을 강조하되 이들이 타협해야 하는 더 큰 구조적 힘과 이들의 기저에 흐르는 정동을 함께 분석해냄으로써, 『동맹의 풍경』은 과거와 한층 달라진 새로운 질서를 드러낸다. 또한 이 책이 담아낸 여러 장면들은 미 제국의 전 지구적 군사주의 체제를 되돌아보게 하면서 동시에 글로벌 자본주의 시대에 여전히 제국의 군대와 함께 살아가는 한국 사회에 대한 몽타주이기도 하다.
동맹의 풍경 : 주한미군이 불러온 파문과 균열에 대한 조감도 - 메두사의 시선 3
$2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