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체의 이론들
Description
공동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는 그것을 볼 수 없고 손에 쥘 수도 없다. 그러나 우리는 언제나 계속해서 공동체를 추구하고, 찾으며, 꺼리거나 회피한다. 공동체는 현대 사회에 관한 정치적인, 그리고 사회과학적인 용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다채롭고 강력한 개념이다. 현대성의 개념적 창고에서 “공동체(Gemeinschaft)”는 하나의 중심적 위치를 차지한다.

언제나 계속해서 추방되고, 소환되고, 부정되고, 배척되면서도, 공동체는 현대 사회에 관해 가장 자주 사용되는 주제어에 속한다. 일상 언어 역시 매우 높은 빈도로 이 단어를 사용한다. 이 때 흥미로운 것은 [공동체라는 단어의] 사용방식의 무수한 다층성에도 불구하고 그 규범적인 함축이 대개 긍정적이라는 것이다. 공동체는 일상적 의식에 있어 긍정할만한 가치를 지닌 심급으로 간주되며, 그 개념은 따스함, 보호, 사랑, 우정 그리고 신뢰 등을 상징화하는 감정적 은유들로 채워진다. 학술적 담론들에서는 언제나 그런 것은 아니다.

우리는 따라서 개념적인, 시대 진단적인, 분석적인, 기능 분석적인 그리고 정치적-윤리적인 고찰들을 서로 연결해주는 하나의 체계론을 전개하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의미에서 우리는 개별 저자들의 전체 저작을 다루기보다는 오히려 공동체 이론과 개념 형성에 대한 그들 각각의 기여에 대해 물음을 던져볼 것이다.
저자

르트무트로자,라스게르텐바흐,헤닝라욱스,다비트슈트레커

목차

서론

1.공동체개념의문화사적체계론
1.1두종류의공동체
1.219세기공동체와사회의분리
1.3퇴니스와플레스너:공동체인가사회인가?
1.4사회학의고전가들과그후계자들의공동체개념

2.공동체적관계들의변동
2.1공동체의상실
2.2후기현대에서공동체의회귀
2.3공동체의형태변동:탈전통공동체화

3.공동체화의메커니즘
3.1공동체의내부:체험,도취그리고황홀
3.2공동체의외부:타자에대한경계와이방인
3.3공동체의상상력

4.공동체의기능들
4.1정체성:성공적인격형성의전제로서공동체
4.2사회적자본:사회의토대로서공동체
4.3공화주의:민주주의의조건으로서공동체

5.공동체의정치:규범적문제들
5.1정의규범의정당화에서인격개념의의미
5.2공동체와정의원칙의정당화
5.3공동체와정치적질서
5.4다문화주의와소수자의권리

6.공동체의해체
6.1성스러운공동체들그리고콜레쥬드소시올로지
6.2공동체에대한해체적입장들
6.3공동체와정치적인것

결론:논쟁적개념으로서공동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