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트피플, 한국에 닻을 내리다 - 한국해양대학교 박물관 해양문화정책연구센터 해양역사문화문고 9

보트피플, 한국에 닻을 내리다 - 한국해양대학교 박물관 해양문화정책연구센터 해양역사문화문고 9

$15.00
저자

노영순

저자:노영순
1983년겨울,태국난민캠프에서봉사하며인도차이나난민들과특별한인연을맺었다.‘그들을기억하는것’이자신이할수있는최선이라여기며동남아시아공부를시작했다.2009년이래한국해양대학교국제해양문제연구소에서보트피플과해상난민들의삶을기록하며,바다가간직한인간의이야기를세상에전하고있다.

목차

PartI.새로운이웃의도착

1.1975년베트남난민의한국입국_17
2.1975년베트남난민의특징과배경_36
3.베트남난민이한국사회에미친영향_50

PartII.바다를건너온사람들

4.베트남난민보호소의설립과보트피플의유입(1977-1982)_76
5.난민유입의새로운양상(1983~1993)_105

PartIII.문학의렌즈로본베트남난민

6.문학에서드러난베트남난민의관계성과정체성_145
7.해상난민구조와구원의문학적증언_163

맺음말_193
참고문헌_200

출판사 서평

이책은바로이러한맥락에서베트남난민과한국의이야기를다루고있다.1975년부터1993년까지한국에들어온베트남난민들의경험과그들이한국사회에미친영향을포괄적으로탐구하며,이를통해우리사회의변화와성장을조명한다.이들의여정과한국사회와의상호작용은단순한역사적사실을넘어,현재와미래의한국사회가나아갈방향에대한중요한통찰을제공한다.이책은난민들의여정,한국사회의대응,그리고이를통한한국의변화를역사적,사회적,문화적맥락에서심도있게분석했다.
책은크게세파트로구성됐다.첫번째파트인“1975년베트남난민의한국에서의시간”에서는사이공함락직후발생한베트남난민들의여정을다뤘다.LST함과쌍용호를통해부산에도착한난민들의구조과정,한국정부와대한적십자사의구호활동,그리고난민들의한국사회정착및제3국재정착과정을상세히기술했다.이과정에서한국이처음으로대규모외국인난민을수용하면서겪은혼란과적응의과정,그리고베트남난민이한국사회에미친영향을분석했다.
두번째파트인“1977-1993년한국항구와베트남보트피플의여정”에서는이른바'2차베트남난민'의유입과정착과정을다뤘다.베트남난민보호소의설립과운영,한국선박들의난민구조활동,국제사회와의협력,그리고난민수용을둘러싼한국사회의갈등과변화를심도있게분석했다.특히1977년부터1982년까지의초기보트피플유입시기와1983년부터1993년까지의후기보트피플유입시기를구분하여각시기의특징과변화를상세히기술했다.
세번째파트인“한국문학의거울에비친베트남난민의경험과실존”에서는베트남난민을소재로한한국문학작품들을분석했다.<사랑그리고이별>,<처녀아리랑>,<빨간아오자이>,<시간의門>,<제3의신>,<보트피플>등의작품을통해베트남난민이한국문학에서어떻게재현되었는지를살펴봤다.이작품들은베트남난민의정체성,한국사회와의관계,그리고그들의실존적고민을다양한각도에서조명했다.특히한국인아버지와베트남인어머니사이에서태어난2세의정체성문제,난민들의생존과적응을위한노력,그리고이들을바라보는한국사회의시선변화에초점을두었다.
이책은단순히역사적사실을나열하는데그치지않고,베트남난민문제가한국사회에미친다층적인영향을포괄적으로분석했다.난민수용과정에서드러난한국사회의인도주의적대응과그한계,사회적,문화적갈등과변화그리고국제사회와의협력양상을심도있게고찰했다.더불어베트남난민보호소와난민수용을둘러싼현실세계뿐아니라문학이라는가상의세계에서베트남난민이한국사회의일부가되어가고우리의관심과의식을확대하는과정을분석했다.
특히이책은베트남난민을단순피해자나수동적인존재가아닌,자신의삶을능동적으로개척해나가는주체로그려냈다.난민들의생존과적응을위한노력,한국사회와의상호작용을통한문화적교류,그리고재이주지와재정착지를찾아나서는노력등에도초점을두어묘사했다.이를통해난민문제가단순히정책적차원의문제가아닌,개별인간의존엄성과권리,그리고사회의포용성과다양성에대한근본적인질문을제기하고있음을보여주고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