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서촌 오래된 서울 : 역사 속 공간을 걷다

오래된 서촌 오래된 서울 : 역사 속 공간을 걷다

$19.88
Description
서울 사대문안과 성저십리의 옛 서울은 조선시대 500년, 일제 35년, 대한민국 70년의 역사가 깊이 새겨진 곳이다. 그 공간 가운데 어떤 곳의 역사는 완전히 잊혔고, 어떤 곳은 아직 그 자취를 남기고 있다. 그 공간들은 과연 우리 역사에서 무엇이었는지, 또 오늘의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지 현재의 정치, 사회, 문화 이슈와 연결해 살펴본다.
이 책은 옛 서울의 공간을 네 부분으로 나눠 살펴본다. 서촌 북쪽, 서촌 남쪽과 창의문 밖, 서울 북쪽, 서울 남쪽과 용산이다. 1부 서촌 북쪽은 왕가와 사대부, 대통령의 공간이다. 이곳엔 준수방, 장동(장의동), 수성동, 청풍계, 옥류동 등이 있다. 준수방과 수성동은 태종과 세종, 문종, 세조, 안평, 효령 등이 살고 활동했던 곳이다. 장동과 청풍계는 장동 김씨를 비롯한 사대부와 대통령의 공간이었고, 옥류동은 사대부와 중인이 어울린 공간이었다.
2부 서촌 남쪽과 창의문 밖은 서촌 북쪽보다 더 복합적인 공간이었다. 필운대처럼 사대부와 중인이 함께 산 곳도 있었고, 인경궁처럼 왕의 공간이었다가 평민의 공간으로 극적으로 바뀐 곳도 있었다. 창의궁과 월성위궁은 여전히 왕가의 공간이었고, 인왕산과 백석동천은 사대부의 공간이었다. 석파정은 사대부에서 왕가로 주인공이 바뀌었다.
3부 서울 북쪽은 압도적으로 왕가와 사대부의 투쟁과 협력의 공간이었다. 한양과 육조거리 등은 왕과 사대부가 함께 만들었으며, 경복궁과 창덕궁, 송현동엔 왕가와 사대부 사이의 권력 투쟁이 새겨져있다. 의정부와 사헌부는 왕과 사대부의 협력 정치의 공간이었다. 반면, 선원전과 경희궁은 오롯이 왕의 공간이었다.
4부 서울 남쪽과 용산은 좀더 복잡하다. 광통교처럼 왕가 내부의 투쟁이 서린 곳도 있고, 건천동처럼 사대부의 비주류 영웅들이 태어난 곳도 있었다. 청계천과 약현은 사대부와 중인, 평민이 어울렸던 곳이었고, 용산은 외세와 권력자의 공간이었다. 마지막으로 일제에 의한 지명의 왜곡 역사를 살폈다.

이 책은 지은이가 새로 밝힌 내용이나, 최근의 연구 성과를 반영했다. 예를 들어 준수방 잠저(장의동 본궁)에선 태종과 세종이 살았을 뿐 아니라 문종과 세조도 태어났다는 점, 필운대의 원래 주인은 권율이 아니라 그 아버지 권철이었다는 점을 새로 밝혔다. 또 통의동 백송은 김정희의 집이 아니라 영조의 집 안에 있었다는 점, 〈인왕제색도〉 속 집은 정선의 집으로 추정된다는 점, 백석동천(백사실)의 역대 주인은 최소 3명이었다는 점 등을 새로 소개했다.
특히 이 책에선 서촌의 전통적인 지명이 ‘장동’이라는 점을 여러 기록을 통해 보여주려고 했다. 이방원이 자신의 집을 ‘장의동 본궁’이라고 불렀고, 서촌을 대표하는 사대부 집안이 김상헌의 후손인 ‘장동 김씨’이며, 영조는 자신의 집 창의궁이 ‘장의동’에 있다고 썼고, 김정희도 자신의 집이 ‘장동’에 있다고 썼다. 정선은 서촌의 8개 멋진 풍경을 〈‘장동’팔경첩〉으로 그렸다. 세검정에 있던 ‘장의사’와 한양도성 북문 ‘창의문’, 영조의 잠저 ‘창의궁’은 ‘장동(장의동)’이란 지명과 친족 관계에 있다.
이 책의 절반을 차지하는 서촌 역사의 매력은 무엇일까? 그것은 중층적이고, 동시대적으로도 다양하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통인동은 조선 초기 태종과 세종의 집이 있던 곳이지만, 조선 시대 대부분 기간엔 내시부와 사포서, 내섬시 등 왕실의 기관이 있었고, 현재는 주택과 통인시장, 참여연대, 청와대 경찰경호대 등이 있는 곳이다.
또 서촌은 동시대에도 다양한 계층이 섞여 살았다. 이것은 사대부 일색이었던 북촌과 구별되는 점이다. 조선 중기 이후 서촌의 북부엔 장동 김씨 등 사대부가 대대로 살았고, 서촌 남부엔 광해군의 궁궐 인경궁이 들어섰다가 철거되면서 군인과 평민들이 대거 들어가 살았다. 사대부와 중인의 공동 거주 구역이 현재의 수성동과 옥류동 일대다. 한편, 경복궁과 붙어있는 서촌의 동부는 여전히 왕실 지역으로 창의궁과 월성위궁, 육상궁, 사재감과 같은 왕가의 사저와 사당, 기관들이 자리 잡았다.

저자는 역사에서 일어난 수많은 일들은 본질적으로 아무 뜻이 없다고 말한다. 거꾸로 후대의 우리가 역사에 뜻을 심는 것이고, 역사에서 가르침을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역사에 어떤 가치가 있다면, 그것은 ‘이야기’라고 한다. 역사가 만들어준 풍부한 이야기들을 잘 가꿔나가는 것이 역사를 대하는 좋은 태도라는 것이다. 이 책도 서촌과 서울의 풍부한 이야기를 우리 시대에 가꿔나가려는 작은 노력일 것이다.
이 책에서 소개한 것처럼 서울엔 깊은 역사가 있고 많은 이야기가 있다. 서울은 더할 것 없이 극적이고 푸짐한 이야기의 보물창고다. 그런 점에서 이젠 서울이라는 보물창고의 문을 활짝 열어놓을 때가 되지 않았나 하는 것이 저자의 생각이다. 다른 지역에서, 다른 계급에게서 빼앗아온 그 보물들을 그 지역과 그 계급에 돌려줄 때가 되지 않았는가 하는 것이다.
서촌과 서울이라는 공간에 쌓인 역사를 돌아보면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와 닮아있다. 저자는 구체적 공간이 없는 역사는 허공에 떠 있는 연기와 같고, 그냥 책 속의, 글자 속의 역사일 뿐이라고 말한다. 역사는 구체적 공간과 만날 때 생생하게 살아난다는 것이다. 이 책을 들고 서촌과 서울의 공간들을 찾아가 역사의 존재를 한번 느껴보면 어떨까?

저자

김규원

1970년대전에서났다.한국외국어대학교정치외교학과를나와1994년한겨레신문사에들어갔다.역사와정치,공간,생태에관심이많다.‘옷로비사건’기사로한국기자협회의한국기자상을받았고,‘청계천되살리기’기획기사등으로4차례이달의기자상을받았다.2010~2011년영국런던정치경제대학(LSE)과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연수한뒤영국사회에관한책《마인드더갭》(이매진,2012)을썼다.2014~2016년세종시에서지낸뒤세종시와균형발전에관한책《노무현의도시》(미세움,2018)를썼다.함께쓴책으로《한강의기적》(이매진,2010),《서촌,살다보니》(미세움,2020),《광화문광장,거버넌스는왜실패했는가》(리북,2022)가있다.도시와강,다리,자전거,전차,기차,버스,걷기,맥주,막걸리,명태,냉면같은걸좋아한다.민주주의사회에서살기위해노력중이다.

목차

제1부왕가와사대부,대통령의공간/서촌북쪽
01_대한민국정치권력의심장은멈추는가/청와대
02_4명의조선왕을낳은천하명당/준수방과장의동잠저
03_역사의어둠속에묻혀버린서촌의진짜이름/장동
04_안평,조선의꿈을〈몽유도원도〉에그리다/수성동비해당
05_조선최대권력가문장동김씨의종가/청풍계태고정
06_김상헌,조선후기대의명분의화신이되다/장동무속헌
07_사대부와중인이공유한맑은골짜기/옥류동과송석원
08_나라를판돈으로지은거대한주택/옥류동벽수산장
제2부왕의공간에서평민의공간으로/서촌남쪽과창의문밖
09_권율,이항복,이회영으로이어진굳센가풍/필운대
10_광해군의꿈,궁궐건축으로무너지다/인경궁
11_통의동백송은영조의집마당나무였다/창의궁
12_정선,〈인왕제색도〉에자신의집을그려넣다/인왕산
13_백사실별서의주인허필과김정희,홍우길/백석동천
14_김정희,설추위를겪고서야사람을알았다/월성위궁
15_집권만이목적인정치는모두를파멸시킨다/석파정
16_언어가가른개화기역관형제들의운명/필운대홍건익가옥
제3부왕과사대부의투쟁과협력의공간/서울북쪽
17_수도이전은언제나기득권과의전쟁이다/한양
18_조선과대한민국의첫째가는큰길/육조거리
19_조선식궁궐을새로지어라/경복궁과창덕궁
20_이방원이정도전의피로물들인땅/송현동
21_조선왕들의초상,한줌재가되다/선원전
22_성종은성공하고연산군은실패한이유/사헌부
23_서인과남인은왜정당이되지못했나?/의정부
24_위대한왕이되기엔2%부족했던숙종/경희궁
제4부비주류영웅들과외세의공간/서울남쪽과용산
25_이방원,사무친원한을다리에새기다/광통교
26_이순신은왜선조의명령을거부했나?/건천동
27_연암과백탑파친구들,개천에서놀다/청계천
28_위대한지도남기고연기처럼사라진김정호/약현
29_대통령실은거기없는한강가용머리언덕/용산
30_일제,둔지산을용산으로둔갑시키다/용산기지
31_한국대통령은일제총독따라지?/용산대통령실
32_일제는왜조선의지명을바꿨나?/한양,한성,경성,서울

출판사 서평

이책은지은이가새로밝힌내용이나,최근의연구성과를반영했다.예를들어준수방잠저(장의동본궁)에선태종과세종이살았을뿐아니라문종과세조도태어났다는점,필운대의원래주인은권율이아니라그아버지권철이었다는점을새로밝혔다.또통의동백송은김정희의집이아니라영조의집안에있었다는점,<인왕제색도>속집은정선의집으로추정된다는점,백석동천(백사실)의역대주인은최소3명이었다는점등을새로소개했다.

특히이책에선서촌의전통적인지명이‘장동’이라는점을여러기록을통해보여주려고했다.이방원이자신의집을‘장의동본궁’이라고불렀고,서촌을대표하는사대부집안이김상헌의후손인‘장동김씨’이며,영조는자신의집창의궁이‘장의동’에있다고썼고,김정희도자신의집이‘장동’에있다고썼다.정선은서촌의8개멋진풍경을<‘장동’팔경첩>으로그렸다.세검정에있던‘장의사’와한양도성북문‘창의문’,영조의잠저‘창의궁’은‘장동(장의동)’이란지명과친족관계에있다.

이책의절반을차지하는서촌역사의매력은무엇일까?그것은중층적이고,동시대적으로도다양하다는점이다.예를들어통인동은조선초기태종과세종의집이있던곳이지만,조선시대대부분기간엔내시부와사포서,내섬시등왕실의기관이있었고,현재는주택과통인시장,참여연대,청와대경찰경호대등이있는곳이다.

또서촌은동시대에도다양한계층이섞여살았다.이것은사대부일색이었던북촌과구별되는점이다.조선중기이후서촌의북부엔장동김씨등사대부가대대로살았고,서촌남부엔광해군의궁궐인경궁이들어섰다가철거되면서군인과평민들이대거들어가살았다.사대부와중인의공동거주구역이현재의수성동과옥류동일대다.한편,경복궁과붙어있는서촌의동부는여전히왕실지역으로창의궁과월성위궁,육상궁,사재감과같은왕가의사저와사당,기관들이자리잡았다.

저자는역사에서일어난수많은일들은본질적으로아무뜻이없다고말한다.거꾸로후대의우리가역사에뜻을심는것이고,역사에서가르침을만들어낸다는것이다.역사에어떤가치가있다면,그것은‘이야기’라고한다.역사가만들어준풍부한이야기들을잘가꿔나가는것이역사를대하는좋은태도라는것이다.이책도서촌과서울의풍부한이야기를우리시대에가꿔나가려는작은노력일것이다.

이책에서소개한것처럼서울엔깊은역사가있고많은이야기가있다.서울은더할것없이극적이고푸짐한이야기의보물창고다.그런점에서이젠서울이라는보물창고의문을활짝열어놓을때가되지않았나하는것이저자의생각이다.다른지역에서,다른계급에게서빼앗아온그보물들을그지역과그계급에돌려줄때가되지않았는가하는것이다.

서촌과서울이라는공간에쌓인역사를돌아보면현재를살아가는우리와닮아있다.저자는구체적공간이없는역사는허공에떠있는연기와같고,그냥책속의,글자속의역사일뿐이라고말한다.역사는구체적공간과만날때생생하게살아난다는것이다.이책을들고서촌과서울의공간들을찾아가역사의존재를한번느껴보면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