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6 : 조선 공예, 생활·장식미술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6 : 조선 공예, 생활·장식미술

$32.00
Description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13년 만의 완간!
‘한국미술 전도사’ 유홍준, 한국미술사의 새 기준을 제시하다
2010년 첫 번째 권의 출간 이후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아온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가 제5권과 제6권의 동시 출간으로 13년 만에 완간되었다.
‘한국미술 전도사’를 자임하는 유홍준 교수가 집필한 이 시리즈는 총 6권, 모두 합치면 2500쪽이 넘는 방대한 분량에 2650여 개의 도판이 실려 있다. 제1권 ‘선사, 삼국, 발해’편을 시작으로 제6권 ‘조선: 공예, 생활·장식미술’까지 한국미술사의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것은 물론, 각 시대를 대표하는 명품들을 빠짐없이 실었다.
그간 한국미술사의 특정 시대 혹은 한 분야에 집중한 책은 여럿 있었으나, 이렇게 한 명의 저자가 일관된 시각으로 한국미술 전반을 다룬 통사를 쓴 경우는 매우 드물다는 점에서 이번 완간의 의미는 더욱 크다. 그간 학계가 축적한 연구 성과의 집대성이기도 한 이 시리즈는, 향후 한국미술사의 기준이 될 것이다.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제6권은 조선시대 공예를 다루었다. 공예는 삶을 아름답게 꾸미기 위한 인간 노력의 산물이다. 이 책에서는 조선시대 공예를 사용자를 기준으로 왕실공예, 규방공예, 선비공예, 민속공예의 네 개 분야로 나누어 각 분야마다의 고유한 아름다움을 여실히 보여준다. 또한 익명성 때문에 미술사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 못했던 장식화, 민화 그리고 자수까지 ‘생활·장식미술’이란 이름으로 미술사의 체제로 편입하였다.
저자

유홍준

저자:유홍준
1949년서울에서태어났다.서울대학교미학과를졸업하고,홍익대학교대학원미술사학과석사학위,성균관대학교대학원동양철학과(예술철학전공)박사학위를받았다.1981년동아일보신춘문예미술평론으로등단한뒤미술평론가로활동하며민족미술인협의회공동대표,제1회광주비엔날레커미셔너등을지냈다.영남대학교교수및박물관장,명지대학교교수및문화예술대학원장,문화재청장을역임했다.현재명지대학교미술사학과교수를정년퇴임한후석좌교수로있으며,명지대학교한국미술사연구소장을맡고있다.평론집으로《다시,현실과전통의지평에서》,답사기로《나의문화유산답사기》(전20권),미술사저술로《조선시대화론연구》,《화인열전》(전2권),《완당평전》(전3권),《유홍준의미를보는눈》(《국보순례》,《명작순례》,《안목》전3권),《유홍준의한국미술사강의》(전6권),《김광국의석농화원》(공역),《추사김정희》등이있다.간행물윤리위출판저작상(1998),제18회만해문학상(2003)등을수상했다.

목차

공예의미술사적재정립을위하여

공예

58장왕실공예
지존至尊의존엄을위한공예

59장규방공예
화이불치華而不侈의은은한화려미

60장선비공예
검이불루儉而不陋의조용한절제미

61장민속공예
삶의향기,혹은생활의체취

생활·장식미술

62장장식화
아름답고풍요로운장식병풍의세계

63장민화
파격의미와일탈의즐거움

64장자수
기술과정성이낳은장식미술

부록
전통목가구의부분명칭도

참고서목
도판목록

출판사 서평

《유홍준의한국미술사강의》제6권은조선시대공예를다루었다.공예는삶을아름답게꾸미기위한인간노력의산물이다.이책에서는조선시대공예를사용자를기준으로왕실공예,규방공예,선비공예,민속공예의네개분야로나누어각분야마다의고유한아름다움을여실히보여준다.또한익명성때문에미술사에서본격적으로다루어지지못했던장식화,민화그리고자수까지‘생활·장식미술’이란이름으로미술사의체제로편입하였다.

사용자의시각에서바라보는조선시대공예

공예는인간의삶을풍요롭게만들기위한노력의산물로,예로부터미술사의중요한분야중하나로자리잡아왔다.다만기존에는공예를재료와기법에초점을맞추어해설하는경우가많았는데,그런경우유물자체의아름다움에주목하기어렵다는문제가있었다.유홍준교수는조선시대공예를생산의측면이아닌사용의측면에서접근하여왕실공예,규방공예,선비공예,민속공예의네개분야로나누었다.

왕실공예:공예중에서도가장높은수준의기교와재료가동원되었기에당연히개개유물의수준도높다.국가권력의상징인국새,왕실의권위를나타내는의물인어보,어책,교명등은역사적인의미도클뿐아니라그자체로도대단한명품이다.또한왕실가구들은주칠과흑칠로적흑의조화를보여주어엄정한분위기를풍긴다.
규방공예:양반계층의여성들이주로사용한규방공예품들은‘화이불치(화려하지만사치스럽지않다)’의미학을보여주고있는데,나전과화각으로장식된가구와소품들은그야말로규방공예의꽃이라할만하다.
선비공예:선비들의사랑방에놓였던가구와공예품들은장식을절제해단아한아름다움을풍기는것이특징이다.나뭇결을그대로살린의거리장,별다른장식없이비례감과공간감만으로도상쾌한멋을느끼게하는사방탁자등은그야말로선비정신을그대로구현한듯하다.
민속공예:생활에요긴하게쓰인민속공예품들은실제그쓰임새와환경에따라나타나는기능미가특징이다.지역별로독특한미감을보여주는반닫이,견고한형태미가특징인뒤주,사실성과추상성이동시에드러나는목안(혼례용나무기러기)등을통해이를확인할수있다.

새롭게만나는생활장식미술

조선시대회화사는문인화가와도화서화원들의감상화를중심으로서술되어왔고,막상조선사람들의삶과가장밀접하게자리잡고있던장식화와민화들은그특유의익명성탓에중요하게다루어지지않는경향이있었다.특히장식화의경우민화와혼동되어심지어궁궐어좌에놓이는일월오봉도까지민화로분류되는등의문제가있었다.다행히최근들어많은학자들이장식화의가치에주목하여연구한덕분에그실체를명확히파악할수있게되었는데,이책에서는이를충실히반영하였다.

장식화:궁중과양반사회에서쓰였던장식화들은정교하게그려졌을뿐아니라크기도커서감상화들과는다른아름다움을보여주고있다.이장식화들은연교차가큰한반도의기후탓에실내공간이비교적좁을수밖에없었던한옥의특성상이동과보관이쉬운장식병풍의형태로많이제작되었다.이책에서는일월오봉도,십장생도,책가도등의익히알려진장식화명작들은물론비교적최근에야해외박물관등에소장되어있음이알려졌거나국내로들어온곽분양행락도,호렵도등도소개하여다채로운장식화의세계로독자들을이끈다.말미에는비교적최근에야실체가밝혀진경복궁과운현궁,동관왕묘등의붙박이그림과부벽화,그리고조선말기광화문의사진에서확인된문배도도다루었다.
민화:조선후기부터등장한민화는그특유의매력덕분에비교적이른시기부터민예학자들과애호가들의사랑을받아왔다.다만워낙에작품이많이전하고그수준도들쑥날쑥한탓에어느그림을기준으로설명해야할지모호했던것도사실이다.유홍준교수는민화는정통화법을벗어난자유로움에그특질이있다고말하며,이를바탕으로민화의명작을판별할때장르로서의지위도확립될것이라말한다.또한호작도,화조도등민화의다양한도상들의유래와내용을설명하고,대표적인명작들을제시하여민화를보는눈을트여준다.

자수는시각에따라서는규방공예의일부로볼수도있겠으나,실제로는의복과장신구를꾸미는데활용된것은물론감상목적의병풍에쓰이기도하였고심지어는가구를장식하는데쓰이기도하였다.이에‘생활,장식미술’의별개의한장으로분류하였다.
이장에서는대표적인자수기법들을일러스트레이션과함께설명하여자수에대한기초적인이해를돕고있다.자수의본령이랄수있는복식과장신구로는복온공주활옷(혼례복)을비롯하여문무관들의관복에장식되었던흉배등을제시하였다.또한신사임당의것으로전하는자수초충도와조선말기의화가인양기훈의그림을밑그림으로삼아제작된자수송학도,자수매화도병풍등은많은사람들이미처몰랐던자수의매력에흠뻑빠지게해줄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