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이 도시를 사는 법, 어반라이크!
패션과 문화를 중요하게 여기는 도시인의 소비생활에 뿌리를 두고 있으면서, 그것과 맞닿은 동시대 Contemporary 창작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을 담은 '도시 아카이브 매거진 Urban Archive Magazine'
〈어반라이크〉는 매호 기록할 만한 가치가 있는 이슈를 선정해, 도시 현상을 고유의 창의적인 시각으로 담아내고 있습니다.
삶을 담는 도구, Earthware
〈어반라이크〉 마흔다섯 번째 이슈는 ‘삶을 담는 도구, 얼스웨어 Earthware’입니다. 그릇은 시대를 상징하는 한 요소로 당시의 생활 문화를 단면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역할을 합니다. 이번 호에선 수치와 데이터로 모든 게 통용되는 시대, '자연으로부터 온 소재'인 흙을 가지고 작업하는 동시대 창작자들과 작업물을 통해, 일상품과 예술품, 실용과 장식의 경계에 있는 ‘그릇의 현재’를 조명하고자 했습니다.
흙을 사용해 만든 도자기는 음식이나 물건을 담는 용도로 사용하는 그릇류에 가장 오랜 세월 동안 사용되어 온 소재입니다. 최근 들어 공장에서 찍어낸 매끈하게 만들어진 획일적인 ‘제품’이 아닌, 사람의 손으로 손수 빚어 가마에 구워내는, 수 세기가 흘러도 변치 않은 제작 방식으로 완성된 ‘작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아마도 모든 것이 기술과 기계의 효율성에 기대어 있다 보니, 변하지 않는 가치에 대한 동경과 본능 때문은 아닐까 짐작해 봅니다. 또한, 사람의 손으로 일일이 빚어 만들기에 세상에 단 하나도 같은 것이 없다는 점, 도자기가 지닌 언제 깨질지 모르는 불완전한 소재의 특성 등이 인간적인 면모로 친근하게 와닿아서일지도 모르겠습니다. 플라스틱과 일회용품의 편리함에 길들여졌던 산업화 시대와 달리, 삶의 터전인 지구의 환경을 염려한 일련의 움직임도 이와 같은 흐름에 힘을 실어 줍니다. 〈어반라이크〉 속 이야기들이 독자 여러분의 일상에 영감을 주는 걸 넘어,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기를 바랍니다.
패션과 문화를 중요하게 여기는 도시인의 소비생활에 뿌리를 두고 있으면서, 그것과 맞닿은 동시대 Contemporary 창작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을 담은 '도시 아카이브 매거진 Urban Archive Magazine'
〈어반라이크〉는 매호 기록할 만한 가치가 있는 이슈를 선정해, 도시 현상을 고유의 창의적인 시각으로 담아내고 있습니다.
삶을 담는 도구, Earthware
〈어반라이크〉 마흔다섯 번째 이슈는 ‘삶을 담는 도구, 얼스웨어 Earthware’입니다. 그릇은 시대를 상징하는 한 요소로 당시의 생활 문화를 단면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역할을 합니다. 이번 호에선 수치와 데이터로 모든 게 통용되는 시대, '자연으로부터 온 소재'인 흙을 가지고 작업하는 동시대 창작자들과 작업물을 통해, 일상품과 예술품, 실용과 장식의 경계에 있는 ‘그릇의 현재’를 조명하고자 했습니다.
흙을 사용해 만든 도자기는 음식이나 물건을 담는 용도로 사용하는 그릇류에 가장 오랜 세월 동안 사용되어 온 소재입니다. 최근 들어 공장에서 찍어낸 매끈하게 만들어진 획일적인 ‘제품’이 아닌, 사람의 손으로 손수 빚어 가마에 구워내는, 수 세기가 흘러도 변치 않은 제작 방식으로 완성된 ‘작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아마도 모든 것이 기술과 기계의 효율성에 기대어 있다 보니, 변하지 않는 가치에 대한 동경과 본능 때문은 아닐까 짐작해 봅니다. 또한, 사람의 손으로 일일이 빚어 만들기에 세상에 단 하나도 같은 것이 없다는 점, 도자기가 지닌 언제 깨질지 모르는 불완전한 소재의 특성 등이 인간적인 면모로 친근하게 와닿아서일지도 모르겠습니다. 플라스틱과 일회용품의 편리함에 길들여졌던 산업화 시대와 달리, 삶의 터전인 지구의 환경을 염려한 일련의 움직임도 이와 같은 흐름에 힘을 실어 줍니다. 〈어반라이크〉 속 이야기들이 독자 여러분의 일상에 영감을 주는 걸 넘어,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기를 바랍니다.
어반라이크 URBANLIKE 45호 : 삶을 담는 도구 (양장)
$2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