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성윤 교수와 함께 읽는 운영전 / 영영전

최성윤 교수와 함께 읽는 운영전 / 영영전

$12.13
Description
궁궐 속 여인들의 사랑 이야기

서연비람에서는 우리 고전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문학적 상상력을 기르고, 문학이 주는 감동과 깨달음을 줄 수 있는 작품들을 선정하여 <서연비람 고전 문학 전집>을 출간하고 있다. <서연비람 고전 문학 전집>은 청소년들에게는 학습서로, 일반인에게는 교양서로 읽힐 수 있게 우리 고전을 쉽고도 재미있게 풀어내었다. <서연비람 고전 문학 전집> 아홉 번째 작품으로 『최성윤 교수와 함께 읽는 운영전/영영전』을 한데 묶어 출간하였다.

「운영전」과 「영영전」은 여러 모로 닮은 점이 많은 두 작품이다. 각 작품이 서로의 거울처럼 보이기도 하고, 하나가 나머지 하나의 그림자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궁녀와 선비라는 주인공의 신분이 동일하고, 금지된 사랑을 꿈꾼다는 기본적인 설정 또한 차이가 없다. 물론 두 작품은 결말 구조에서 근본적인 차이점을 드러내지만, 인물 구도를 비롯하여 서사의 진행에 활용된 많은 요소들이 일부러 의도한 것처럼 겹쳐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운영전(雲英傳)」은 안평 대군(安平大君)의 집 수성궁(壽城宮)을 배경으로 궁녀 운영과 선비 김 진사의 사랑을 다룬 소설이다. 고전소설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비극적 성격의 작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운영전」에는 궁궐이라는 두텁고 높은 장벽 안에 숨겨진 궁녀들의 비밀스러운 탄식이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으며, 비극적 결말로 귀결되기는 하지만, 한계 상황을 뛰어넘으려는 인물들의 비장한 노력을 보여 주고 있다. 「운영전」은 봉건사회의 모순을 드러내면서 자유연애를 향한 주인공의 무모해 보이는 적극적 행동은 조선 후기에 이르러 부쩍 성장한 과감한 시대 의식을 보여준다. 이와 더불어 궁녀들이 보여 준 죽음을 불사한 연대와 협력은 자유를 억압하는 당대적 질서에 저항하고, 유린당한 인권을 회복하려는 필사의 부르짖음이라고 할 수 있다. 바로 이런 점에서 「운영전」은 당대 모순의 폭로와 비판이라는 의미를 획득한다. 신분적인 제약을 넘어 사랑하다가 희생된 주인공의 운명이 봉건사회의 붕괴를 촉구하는 의미를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영영전」은 일반적인 고전소설의 특징으로 여겨지는 전기적 요소의 개입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작품이다. 철저히 현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을 소재로 하여 구성된 작품이라는 것이다. 비슷한 내용을 지닌 「운영전」의 비극적 결말과 달리, 이 작품은 주인공 남녀의 사랑이 현세에서 성취되는 행복한 결말을 택함으로써 큰 차이를 드러내지만, 불가능을 가능케 하는 힘으로 비현실적 모티프를 끌어들이지는 않았다. 「영영전」의 두 주인공 김생과 영영이 사랑을 이루는 공간은 다름 아닌 현실의 공간이며, 이들의 만남과 헤어짐은 우연이 아닌 필연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 작품 속 시간과 공간은 철저히 계산되어 있고 치밀하게 설계되어 있다. 당시로서는 뛰어난 구성력과 현실감을 보여 주는 작품이라고 할 만하다. 요컨대 이 작품은 유교적 덕목을 강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권선징악을 시도하지도 않았고, 순수한 남녀의 애정에 초점을 맞추어 관념적인 세계보다는 감정의 문제에 충실했다. 그리하여 현실적이고도 모험적인 사랑을 파격적으로 보여 준 보기 드문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영영전」의 여성 주인공인 영영부터 「운영전」의 운영을 꼭 닮았다. 같은 듯 다른 두 사람을 비교해 보는 것도 재미있다.

저자

최성윤

엮은이:최성윤
고려대학교에서국어국문학을공부하고,문학박사학위를받았다.1995년문화일보추계문예공모시부문에당선되었다.순천향대,강원대등다수의학교에서시간강사로일하였으며,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연구교수를지냈다.2019년현재상지대학교교양대학조교수로재직하고있다.저서로는『계몽과통속의소설사』,『전망없는시대,전망을찾는소설』이있으며공저논문집으로는『김유정의귀환』,『한국학사전의편찬의현황』,『김유정과동시대문학연구』,『군산의근대풍경:역사와문화』등이있다.서연비람고전문학전집『최성윤교수와함께읽는홍길동전』,『최성윤교수와함께읽는구운몽』,『최성윤교수와함께읽는허생전/양반전』,『최성윤교수와함께읽는최척전/주생전』이있다.

목차

책머리에
「운영전」과「영영전」을읽기전에

「운영전」
선비유영의수성궁나들이
수성궁달밤의기이한만남
안평대군과궁녀열명
숨겨둔마음을털어놓다
벽틈으로전한편지
옥같은얼굴은눈에있는데
궁녀들의우정
위험한사랑
특의흉계와대군의의심
들켜버린비밀
다음생을기약하며
주인없는수성궁에봄빛은옛날과같은데

작품해설「운영전」꼼꼼히들여다보기

「영영전」
첫눈에반하다
막동의꾀
너무짧았던만남
허물어진담장틈으로
생이별의슬픔
변치않는그리움
마침내이룬사랑

작품해설「영영전」꼼꼼히들여다보기-「운영전」과겹쳐읽기
해설「운영전」과「영영전」에대하여

출판사 서평

「운영전」과「영영전」은여러모로닮은점이많은두작품이다.각작품이서로의거울처럼보이기도하고,하나가나머지하나의그림자처럼여겨지기도한다.궁녀와선비라는주인공의신분이동일하고,금지된사랑을꿈꾼다는기본적인설정또한차이가없다.물론두작품은결말구조에서근본적인차이점을드러내지만,인물구도를비롯하여서사의진행에활용된많은요소들이일부러의도한것처럼겹쳐보이는것을알수있다.

「운영전(雲英傳)」은안평대군(安平大君)의집수성궁(壽城宮)을배경으로궁녀운영과선비김진사의사랑을다룬소설이다.고전소설에서는찾아보기힘든비극적성격의작품으로주목받고있다.「운영전」에는궁궐이라는두텁고높은장벽안에숨겨진궁녀들의비밀스러운탄식이생생하게묘사되어있으며,비극적결말로귀결되기는하지만,한계상황을뛰어넘으려는인물들의비장한노력을보여주고있다.「운영전」은봉건사회의모순을드러내면서자유연애를향한주인공의무모해보이는적극적행동은조선후기에이르러부쩍성장한과감한시대의식을보여준다.이와더불어궁녀들이보여준죽음을불사한연대와협력은자유를억압하는당대적질서에저항하고,유린당한인권을회복하려는필사의부르짖음이라고할수있다.바로이런점에서「운영전」은당대모순의폭로와비판이라는의미를획득한다.신분적인제약을넘어사랑하다가희생된주인공의운명이봉건사회의붕괴를촉구하는의미를가질수있게되는것이다.

「영영전」은일반적인고전소설의특징으로여겨지는전기적요소의개입이전혀이루어지지않은작품이다.철저히현실에서일어날수있는일들을소재로하여구성된작품이라는것이다.비슷한내용을지닌「운영전」의비극적결말과달리,이작품은주인공남녀의사랑이현세에서성취되는행복한결말을택함으로써큰차이를드러내지만,불가능을가능케하는힘으로비현실적모티프를끌어들이지는않았다.「영영전」의두주인공김생과영영이사랑을이루는공간은다름아닌현실의공간이며,이들의만남과헤어짐은우연이아닌필연에의해서만이루어진다.작품속시간과공간은철저히계산되어있고치밀하게설계되어있다.당시로서는뛰어난구성력과현실감을보여주는작품이라고할만하다.요컨대이작품은유교적덕목을강조하기위한방법으로서권선징악을시도하지도않았고,순수한남녀의애정에초점을맞추어관념적인세계보다는감정의문제에충실했다.그리하여현실적이고도모험적인사랑을파격적으로보여준보기드문작품으로평가할수있다.

「영영전」의여성주인공인영영부터「운영전」의운영을꼭닮았다.같은듯다른두사람을비교해보는것도재미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