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 그라픽스 : 만화로 보는 사진의 역사

포토 그라픽스 : 만화로 보는 사진의 역사

$19.80
Description
빛의 포착을 둘러싼 인류의 모험
사진의 탄생부터 인공지능 사진까지!

멋스러운 만화로
꼼꼼하게 담아낸 사진의 역사
사진의 역사를 만화 형식으로 다룬 《포토그라픽스》가 출간되었다. 기기 스펙 중심의 접근을 넘어, 사진을 둘러싼 모든 것을 역사의 흐름 속에서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책이다. 사진의 최초 탄생부터 인공지능 사진에 이르기까지, 사진을 향한 인류의 여정을 시간 순서대로 짚어본다.

사진기술의 발명 과정은 물론, 상징적인 장비와 브랜드, 대담한 사진작가와 그들의 작품, 시대별 주요 트렌드와 그 영향까지 두루 살펴본다. 작가 뱅상 뷔르종은 프랑스의 한 대학에서 그래픽 디자인과 사진을 가르치고 있는 전문가로서, 품격 있는 만화 일러스트레이션과 함께 사진에 관한 풍부한 정보들을 커다란 판형의 책 속에 빼곡히 담았다. 사진이 흔해진 시대, 역사를 통해 사진을 재발견하고 사진의 미래를 통찰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저자

뱅상뷔르종

저자:뱅상뷔르종
만화작가이자일러스트레이터,그래픽디자이너.사진관련서적을다수집필한바있다.사진,영상,만화등의이미지분야에대한열정으로25년간커뮤니케이션과출판업계에몸담고있으며,현재폴발레리몽펠리에대학에서그래픽디자인과일러스트레이션,사진을가르치고있다.《포토그라픽스:만화로보는사진의역사》는저자가쓴첫만화서적으로,저서로는《365가지사진의필수법칙(Les365loisincontournablesdelaphoto)》,《사진에관한비주얼메모(Memovisueldephoto)》,《처음떠나는프랑스와인여행》등이있다.

역자:권진희
영어·프랑스어번역가.미국몬트레이통번역대학원과한국외국어대학교통번역대학원에서각각한영과,한불과석사과정을졸업한후,현재유럽에서전문한영불통번역사로활동하고있다.글의힘을믿는다.해외저자와한국독자간의만남에서소통자역할을할수있음에늘감사하다.옮긴책으로《1년안에부자되는법》,《하루의기적》,《이유없는병은없다》,《소설이하는일》등이있다.

목차


머리말빛의흔적
제1장알베르티의창(사진탄생이전)
제2장자연의연필(1827~1851년)
제3장이방인을프레임에담다(1851~1900년)
제4장버튼을누르세요!(1900~1945년)
제5장대중메시지
제6장인간가족(1945~1990년)
제7장이것은혁명이다(1969~2007년)
제8장미래의충격(현재~미래)

출판사 서평


빛의포착을둘러싼인류의모험
사진의탄생부터인공지능사진까지!

멋스러운만화로
꼼꼼하게담아낸사진의역사

사진은일상에너무흔해서거의진부하게느껴질정도이지만,가만히생각해보면신기한기술이아닐수없다.대체어떻게순식간에상이기기에맺히고,그이미지가영구히고정될수있을까?빛을그토록섬세하게포착한다는발상도놀랍지만,그것을현실에서실현해낸기술력에는경이감마저든다.

이책은그런사진의기술적놀라움에서출발해,사진이품고있는다른놀라움들까지독자들에게일깨운다.이를테면사진은사회에막대한영향을끼쳤으며,때로는정치적상황을급변시키는촉매제가되기도했고,또문화적으로새로운현상들을촉발시켰다.많은예술가들이자신의다채로운상상력을펼쳐나간근거지이기도했다.이책의작가는역사의흐름속에서사진의다양한경이로움을추적하며지적인자극을불러일으킨다.

기기스펙중심의접근을넘어서,사진을둘러싼모든것을역사의흐름속에서한눈에조망할수있는책이다.사진의최초탄생부터인공지능사진에이르기까지,사진을향한인류의여정을시간순으로짚어본다.사진기술의발명과정은물론,상징적인장비와브랜드,대담한사진작가와그들의작품,시대별주요트렌드와그영향까지두루살펴본다.품격있는만화일러스트레이션과함께사진에관한풍부한정보를커다란판형의책속에빼곡히담았다.

사진을둘러싼모든것!

“너무무겁지않으면서도
명확하게펼쳐낸연대기.”_《레퐁스포토》

책의구성은연대기적으로이루어져있다.사진의최초탄생부터오늘날스마트폰및인공지능이미지에이르기까지시간순으로차근차근살펴본다.총8장으로시대구분이되어있으며,해당연도들은사진사(史)의중요한변곡점을기준으로삼았다.예컨대최초로사진이촬영된해(1827년),사진의규격화와표준화를논의한해(1900년),아이폰이처음으로프레젠테이션된해(2007년)등등이각장의구분선으로역할하는식이다.

이런연대기의틀안에서사진과관련된온갖흥미로운역사가다채롭게펼쳐진다.특히작가가역사의잡다한주머니에서꺼내고자한주요테마는크게네가지로정리할수있다.첫째,사진의기술적전개과정이다.작가는여러장에걸쳐사진이특정천재에의한발명품이라기보다는여러선구자들의노력이함께빚어낸기술이라는것을보여준다.니엡스가1827년사진<르그라의집창에서본풍경>을최초로촬영한이래,다게르의다게레오타입이선풍적인인기를끌고,그후여러혁신들이200년가까이이어졌다.획기적인콜론디온습판법(1851년),컬러단판프로세스인오토크롬(1903년),디지털화의문을열어젖힌CCD이미지센서(1969년),최초의디지털카메라(1975년),아이폰(2007년)등작가는사진기술이발전해온과정을충실히그려낸다.

두번째테마는‘사진이어떻게사용되었는가’라는질문이다.사람들은저마다사진기술을다양하게사용했다.초상화를대체하는초상사진,이국적인풍경을담은탐험사진,사회의어두운현실을고발하는저널리즘사진,시각의한계를넘어사물을탐구하는과학사진,예술적표현의도구로삼는예술사진등이다.사진은무척정치적이기도해서,적국이나자국에대해감시의도구로기능하기도하며,지도자를상징화혹은신격화하는데쓰이기도했다.저자는시대를관통하여사진의쓰임새가어떠했는지,그런흐름을주도한인물은누구였는지자세하게살펴본다.

이책의세번째테마는,대담한사진작가와그들의작품이다.저자는사진의역사를수놓은명작들을아름다운그래픽일러스트레이션으로곳곳에재현해놓았다.수록된사진작가를일부일별하면다음과같다:나다르,앨프리드스티글리츠,펠리체베아토,외젠아제,거트루드케이스비어,에드워드스타이컨,폴스트랜드,도로시아랭,이머전커닝햄,앤설애덤스,만레이,제르맨크룰,아우구스트잔더,루이스하인,워커에반스,닉우트,에디애덤스,케빈카터,맬컴브라운,앙리카르티에브레송,레몽드파르동,곡신시파히욜루,토마츠쇼메이,자크헤일로,리프리들랜더,다이앤아버스,안드레케르테스,아라키노부요시,야코브홀트,데이비드호크니,호안폰트쿠베르타,마르쿠스데시에노등등.

네번째테마는상징적인장비와브랜드다.사진의역사는그기기를빼놓고는이야기할수없다.처음으로영사된상을지지체에고정시킨이래,그과정을더빠르게,더쉽게,더저렴하게,더가볍게,더정확하게해내고자하는노력이이어졌다.관련자들에게신뢰를준사진장비는자연스레브랜드를형성했다.이책은역사를주도한다양한사진기를소개한다:심플렉스,에르마녹스,라이카I모델C,롤라이,스피드그래픽,핫셀블라드1600F,콘탁스S,라이카M3,니콘F,소니마비카,코닥DCS100,퀵테이크200,캐논EOSD6000,아이폰엣지등등.

전문적인지식을
품격있는그래픽으로담다

“자료가잘뒷받침되어있으며,
유머러스하다.”_《프랑스포토그라피》

작가는프랑스의한대학에서그래픽디자인과사진을가르치고있는전문가로서,자국에서사진관련도서《365가지사진의필수법칙》,《사진에관한비주얼메모》를출판한바있다.《포토그라픽스》는작가의상세한지식을바탕으로정확하게서술되었으며,책에담긴풍부한출처를별도로찾아보는재미도쏠쏠하다.

특히이책은사진의역사를‘만화그래픽’으로제시했다는점이주목할만하다.작가는만화의가벼움과유머러스함을놓치지않으면서도,아름답고품격있는그래픽을보여준다.이를190*250mm의커다란판형으로담아시각적즐거움이배가된다.

사진의결정적순간들!

“교육적일뿐만아니라
지적으로흥분되는책”_《피시아이(Fisheye)》

각장은주요기술적,사회적지점을경계로구분되어있으며,그내용은다음과같다.먼저1장은사진탄생이전시기를다룬다.서구의예술가들은15세기브루넬레스키와알베르티이후원근법기기를고안해내고자하는열망에휩싸였는데,이는카메라옵스큐라및렌즈,광학장치등의개발을촉진했다.베르메르를비롯한여러화가는카메라옵스큐라를사용해그림을그렸다.

2장은니엡스가최초로사진을촬영한해부터공식적인사진의발명자인다게르가사망한해까지를담았다(1827~1851년).이시기에는상을지지체에정착시키고자여러발명가의도전이이어졌다.니엡스의헬리오그래피,다게르의다게레오타입,탤벗의칼로타입등이서로기법상의경쟁을했다.당시가장널리퍼진다게레오타입이공개된1839년이‘사진발명의해’로역사에기록되었다.

3장은획기적인사진프로세스인콜론디온습판법이등장한때부터사진의규격화와표준화가이뤄진파리사진학회까지의시기이다(1851~1900년).나다르와같은프로사진가가등장하는한편,서구권탐험가들은이국적인사진을경쟁적으로촬영했다.사회현실을고발하거나과학연구를하는데사진이쓰이기도했다.

4장은최초의컬러단판프로세스인오토크롬이발명되는즈음부터시작해원자폭탄이사용되는해까지다룬다(1900~1945년).1903년에오토크롬이발명되었고,1920년에는바트레인케이블사진전송시스템으로인해유럽에서미국으로몇시간이면이미지를전송할수있게되었다.사진기도점점소형화,간편화되었다.이런기술적발명안에서‘픽토리얼리즘’,‘스트레이트포토그래피’등사진을독립된예술로보는흐름이생겨났다.또한사진을전면에내세운<보그>,<라이프>등의매체가창간되었다.1939년,사진100년의해를맞았다.

5장은제2차세계대전이라는대사건에서착안해,전쟁과분쟁을테마로한사진여덟점을중심으로논의를풀어나간다(시기구분없음).사진이적국이나자국에대해감시의도구로어떻게기능하는지,지도자를어떻게상징화혹은신격화하는지등을드러낸다.또한권력에의한사진조작은물론,권력을향한사진증언이역사의향방을바꾼대목들을소개한다.아울러폭력의목격자가된사진가의윤리에대해서도묻는다.

6장은제2차세계대전이후부터우주탐사선보이저1호가태양계전경을찍은해까지를내용으로한다(1945~1990년).포토저널리즘과기록사진의황금기가시작되었고,주요사진에이전시들이탄행한다.카르티에브레송과레몽드파르동등이이런흐름을주도했다.산부인과에서초음파사진이사용되는한편,인간의몸속,바다,우주등과학연구를하는데사진이광범위하게사용된다.

7장은디지털전환이라는주제아래,최초의CCD이미지센서가발견된연도부터아이폰이발표된스티브잡스의샌프란시스코키노트까지를담았다(1969~2007년).필름사진의시대가서서히저물기시작하고디지털로의대체가이루어진다.디지털사진기는1975년스티븐새슨에의해처음개발되지만큰주목을받지못하다가,1990년대말부터본격적으로성능좋은디지털카메라들이등장하기시작한다.이후컴퓨터와스캐너,인터넷등디지털도구와결합되면서판도가뒤집어진다.아이폰의등장은그마침표였다.

8장은오늘날딥페이크와인공지능이미지등을다루면서미래를전망하며끝맺는다.디지털은사진을모으고수정하며보충할뿐아니라,이제사진을분석하고이해하기까지에이르렀다.안면인식,블러효과,필터,흔들림방지등을넘어딥러닝과딥페이크가손쉽게이루어진다.이는SNS에일상적으로사진을게시하는사회적흐름과맞물리면서여러위험혹은가능성을예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