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석민,백지수,신예슬,앤드루유러스키,요세피네비크스트룀,장피에르카롱
저자:문석민
작곡가.일반적인악기소리부터소음까지감각가능한다양한소리를발굴하고또그소리재료들을유기적으로구성하는방법을탐구해왔다.미술가,안무가등과의협업을통해비음악적인재료를음악안으로흡수할수있는가능성을모색하고있다.최근공연으로「물질과시간」(2020년,오민과공동기획)이있다.그의작품은한국,미국,독일,이탈리아,러시아,리투아니아등에서디베르티멘토앙상블,MDI앙상블,네오콰르텟,앙상블미장,앙상블TIMF등에의해연주되었다.
저자:박수지
큐레이터.큐레토리얼에이전시뤄뤼(RARY)를운영하며,기획자플랫폼웨스(WESS)를공동운영한다.이전에는현대미술의정치적,미학적알레고리로서우정,사랑,종교,퀴어의실천적성질에관심이많았다.이관심은수행성과정동개념으로이어져,이를전시와비평으로연계하고자했다.최근에는예술외부의질문에기대지않는,예술의속성그자체로서의상태가무엇인지고민하며전시를기획하고글을쓴다.한국해양대학교에서경제학을전공했고,부산대학교대학원예술문화영상학과에서미학을수료했다.독립문화공간아지트큐레이터,미술문화비평지『비아트』편집팀장,제주비엔날레2017큐레토리얼팀코디네이터,BOAN1942큐레이터로일했다.
저자:백지수
학부에서서양화를,석사는예술학을전공하며퍼포먼스이론을공부했다.눈과손과몸을통해목격하고경험한것의진실함에대해생각한다.여기서비롯되는작품과관람자의관계나생산과수용사이에서벌어지는특수한현상에관심을둔다.2019년부터일민미술관학예팀에서『언커머셜:한국상업사진,1984년이후』,『IMAPicks2021』,『GhostComing2020{X-ROOM}』등의전시기획에참여했다.
저자:신예슬
음악비평가,헤테로포니동인.음악학을공부했고유럽음악과그전통을따르는근래의음악에관한호기심에서비평적글쓰기를시작했다.『음악의사물들:악보,자동악기,음반』을썼고,종종기획자나편집자로일한다.『오늘의작곡가오늘의작품』편집위원을맡고있다.
저자:앤드루유러스키
미술사가,미디어문화역사가.스토니브룩대학교현대미술과미디어학부의부교수로재직중이며,현대미술사와비평석/박사프로그램,철학과인문학석사프로그램,미디어,예술,문화,기술준석사프로그램을운영한다.영화,비디오,사운드,설치,퍼포먼스를중심으로,시간을다루는매체가어떻게미학적생산,전시,관람성,사물성의사례를재맥락화하는지탐구한다.『블랙박스와화이트큐브사이:확장영화와전후시대예술』(BetweentheBlackBoxandtheWhiteCube:ExpandedCinemaandPostwarArt)의저자로,근대와동시대미술,영화,시각문화에대한글이『옥토버』,『그레이룸』,『오거나이즈드사운드』를비롯한다수의학술저널과비평집에실렸다.최근출간된『요나스메카스:카메라는항상켜져있었다』(JonasMekas:TheCameraWasAlwaysRunning)와『확장하는시네마:동시대미술을통한영화이론화』(ExpandingCinema:TheorizingFilmthroughContemporaryArt)는여섯개언어로번역되었다.『키네틱심상:전후미국미술에서시간성과운동의출현에관한다원적역사』(TheKineticImaginary:AnInterdisciplinaryHistoryoftheEmergenceofTemporalityandMovementinPostwarAmericanArt)를출간할예정이다.
저자:오민
예술가.시간을둘러싼물질과사유의경계및상호작용을연구한다.주로미술,음악,무용의교차점,그리고시간기반설치와라이브퍼포먼스가만나는접점에서신체가시간을감각하고운용하고소비하고또발생시키는방식을주시한다.서울대학교에서피아노연주와그래픽디자인을,예일대학교에서그래픽디자인을공부했다.그의작업은국립현대미술관(서울,2021년/과천,2018·2014년),MAIIAM(치앙마이,2021년),MCAD(마닐라,2021년),대전시립미술관(2021년),토탈미술관(2021년),수원시립미술관(2021·2016년),독일모르스브로이미술관(레버쿠젠,2020년),플랫폼엘컨템포러리아트센터(서울,2020·2019·2017년),포항시립미술관(2019년),아트선재센터(서울,2018년),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2018년),네덜란드드메이넨미술관(시타르트,2018년),대구시립미술관(2017년),아르코미술관(서울,2017·2016년)등에서소개되었다.네덜란드국립미술원과삼성문화재단파리국제예술공동체에서거주작가로활동했으며,『올해의작가상2021』4인(2021년),에르메스재단미술상(2017년),송은미술대상우수상(2017년),신도작가지원프로그램(2016년),두산연강예술상(2015년)을수상하였다.『토마』(박수지와공동편집),『부재자참석자초청자』,『스코어스코어』,『연습곡』등을출간했다.현재암스테르담,파리,서울에서작업하고있다.
저자:요세피네비크스트룀
비평가.동시대예술에서퍼포먼스와무용을중심으로문화이론과후기칸트-마르크스철학의교차점에대해연구한다.현재쇠데르턴대학교미학과의후원을받아1989년이후예술의자율성의가능성에대한프로젝트를진행하고있다.스톡홀름의유니아츠에서책임강사로일하고있으며,2017년런던의킹스턴대학교에서철학전공박사학위를받았다.『태스크-댄스와이벤트-스코어에서의관계의실천:퍼포먼스비평』(PracticesofRelationsinTask-DanceandtheEvent-Score:ACritiqueofPerformance,2021년)을썼고,마이야티모넨과함께『페미니즘의사물』(ObjectsofFeminism,2017년)을공동편집했다.『쿤스트크리티크』와『다겐스뉘헤테르』의무용크리틱에기고한다.
저자:장피에르카롱
철학자,음악가.리우데자네이루연방대학교에서철학을가르치고,음악레이블‘세미날레코드’를공동운영한다.
저자:전효경
큐레이터,번역가.회화와미술사학,전시학을공부했고,서울을기반으로활동한다.공동체가지속적인대화를통해감각과생각을공유하고이를기반으로전시를만드는데관심이있다.2011년작가들과함께서울목동에전시조직이븐더넥을만든후현재까지전시와전시관련출판물을만들고있다.박가희,조은비와함께『스스로조직하기』(2016년)를번역했고,『하루한번』(2018년),김희천개인전『탱크』(2019년),이미래개인전『캐리어즈』(2020년),기획전『호스트모디드』(2021년)를기획했다.아트선재센터,아르코미술관등에서큐레이터로일했고,영상매거진『오큘로』의편집진을맡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