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삶의 심부에서 꿈꾸고 있는
어두운 가능성의 단어들
성윤석 시인의 『그녀는 발표도 하지 않을 글을 계속 쓴다』가 28번째 아침달 시집으로 출간됐다. 2019년 펴낸 『2170년 12월 23일』로부터 3년만에 나온 여섯 번째 시집이다. 성윤석의 시는 일상 속 흘러가는 시간 바깥에서 일어나는 뜻밖의 사건처럼 발생한다. 시인은 아무런 목적성 없이도 계속해서 시를 써나가며, 반항적인 물질로 숨어 있는 문장을 들어 올려 시를 확대시키고자 한다. 견고한 일상 한편에서 불가능성을 꿈꾸는 시도가 이루어질 때, 그것은 삶의 바깥에서 흘러가는 또 하나의 삶이 된다.
뜻밖이라는 밖에서 마주하는
인생의 몇 가지 사실들
가장 견고한 건 견고한 일상이다
시간에 맞춰 일하고 밥 먹고 싸는 것
아무도 깨뜨릴 수 없다
그렇게 살지 못했다는 게
내 실수다
화단에서 말을 엎질렀더니, 이렇게
되어버렸다 이렇게 되어버리는 것
-「엎질러버린 문장」 부분
시인이란 어떤 사람인가. 「엎질러버린 문장」이라는 시에서 그는 말한다. “가장 견고한 것은 견고한 일상”이라고. 일상의 견고함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시간에 따라 움직이는 것. 시간에 맞춰 일하고 밥 먹고 싸는 것. 인간이 일상을 영위함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동시에 충분한 행위. 그러한 가장 단순한 행위의 반복이 일상의 견고함을 만든다.
그러나 시인은 이 단순한 견고함을 유지하지 못하고 깨트리는 “실수"를 범하고야 만다. “화단에서 말을 엎질렀더니, 이렇게/되어버렸다 이렇게 되어버리는 것”. 이렇게 되어버렸다니, 어떻게 되어버렸다는 말인가? 쓰는 자가 되어버렸다는 말이다. 깨진 몇 개의 접시를 깨지기 전으로 되돌리지 못하는 것처럼, 쓰는 자가 되어버리는 일은 돌이킬 수 없는 일이다. 시인에게 있어 “내가 잘 살지 못하는 이유”다.
쓰는 일은 필요를 위한 행위일까? 시인은 “나는 직장을 버리고/글을 쓰며 살고 있다/이 일은 유효한가”(「겨울 경제」)라며 유효성을 묻는다. 그러나 시인은 답을 내리거나 듣기 위해 자문한 것 같지는 않다. 일의 유효성과 관계없이 시인은 시간이라는 이름의 간수가 오기 전에 계속해서 캄캄한 독방 바닥을 파듯이 글을 쓴다. “뜻밖”이라는 바깥을 만나기 위해서다.
그러나 뜻밖이라는 바깥을 만나기 위함이 과연 목적이 될 수 있을까. “얼굴의 재료는 얼굴”이고 “시의 재료가 시”(「얼굴」)이듯이 나아간 바깥에는 또한 바깥의 바깥이 있기에, 그러한 행위는 목적 달성을 위함이기보다는 목적 없음, 혹은 목적 상실의 지속에 더 가깝다. 성윤석의 새 시집은 그처럼 견고한 일상 바깥으로 나가 끝없이 바깥을 사유하는 방랑자들의 이야기이다.
시인은 목적 없는 상태로서의 쓰기를 지속하며 문밖에 도착해 있는 장면들(「한 시절」)을 만나고 통과한다. 일상에 실패하면서까지. 이러한 쓰기를 통한 일상 바깥으로의 전전을 통해 ‘나’에게는 삶의 바깥에서 흘러가는 또 하나의 삶이 만들어진다. 동시에 “나를, 뒤적여봅니다 쓰는 자가 되어 한 바퀴 돌아봅니다”(「합정동」)라고 그가 말하듯이, 그러한 쓰기를 통해 우리의 인생 역시 뒤적거릴 수 있는 한 권의 책이 된다.
쓰는 자들은 어디서 오는 걸까요 쓰는 자들은 나서고 도착하는 자입니다 도착하자마자 나서는 자들입니다
-「합정동」 부분
성윤석은 “나는 늘 밖에서 밖으로 나갔다”(「자기의 얼굴을 팬티로 생각하는 사내의 이야기」)라고 쓴다. 그런데 바깥의 바깥은 간혹 어딘가의 중심이기도 해서 ‘아무 관계도 없는 방관자’(「역사란 무엇인가」)는 꿈꾸듯이 누군가가 건네준 무엇을 들고 달려가기도 한다. 따라서 그것은 시인의 필연적 소명에 속한 일이라기보다는 우연적 운명에 의해 맞닥뜨리는 사건에 가깝다. 그러한 사건을 겪어나가며, 시는 사물의 심부를 밝히는 특별한 거울처럼 우리의 일상을 비춘다. 끊임없이 재난문자가 도착하는 우리의 자본주의 도시와 그곳의 사물들을. 성윤석 시인의 개인적 내력과도 같이 여러 직업을 떠돌고 있는 서민적 화자들의 삶을. 그 목소리는 현장에서 울리듯 생생하기에 그러한 삶들을 기록하는 데 사진은 필요하지 않을 듯하다.
망설임 없이, 혹여 망설임이 있더라도 일단은 멈추지 않고 움직이려는 듯한 성윤석 시인의 시구와 행간에서는 성큼성큼 걸어 나가는 사람의 뒷모습이 보인다. 만질 수 있는 육체처럼 다가오는 언어를 통해 쓰기의 지속이 맞닥뜨리는 뜻밖의 기쁨과 슬픔 들을 나누게 되기를 바란다.
어두운 가능성의 단어들
성윤석 시인의 『그녀는 발표도 하지 않을 글을 계속 쓴다』가 28번째 아침달 시집으로 출간됐다. 2019년 펴낸 『2170년 12월 23일』로부터 3년만에 나온 여섯 번째 시집이다. 성윤석의 시는 일상 속 흘러가는 시간 바깥에서 일어나는 뜻밖의 사건처럼 발생한다. 시인은 아무런 목적성 없이도 계속해서 시를 써나가며, 반항적인 물질로 숨어 있는 문장을 들어 올려 시를 확대시키고자 한다. 견고한 일상 한편에서 불가능성을 꿈꾸는 시도가 이루어질 때, 그것은 삶의 바깥에서 흘러가는 또 하나의 삶이 된다.
뜻밖이라는 밖에서 마주하는
인생의 몇 가지 사실들
가장 견고한 건 견고한 일상이다
시간에 맞춰 일하고 밥 먹고 싸는 것
아무도 깨뜨릴 수 없다
그렇게 살지 못했다는 게
내 실수다
화단에서 말을 엎질렀더니, 이렇게
되어버렸다 이렇게 되어버리는 것
-「엎질러버린 문장」 부분
시인이란 어떤 사람인가. 「엎질러버린 문장」이라는 시에서 그는 말한다. “가장 견고한 것은 견고한 일상”이라고. 일상의 견고함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시간에 따라 움직이는 것. 시간에 맞춰 일하고 밥 먹고 싸는 것. 인간이 일상을 영위함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동시에 충분한 행위. 그러한 가장 단순한 행위의 반복이 일상의 견고함을 만든다.
그러나 시인은 이 단순한 견고함을 유지하지 못하고 깨트리는 “실수"를 범하고야 만다. “화단에서 말을 엎질렀더니, 이렇게/되어버렸다 이렇게 되어버리는 것”. 이렇게 되어버렸다니, 어떻게 되어버렸다는 말인가? 쓰는 자가 되어버렸다는 말이다. 깨진 몇 개의 접시를 깨지기 전으로 되돌리지 못하는 것처럼, 쓰는 자가 되어버리는 일은 돌이킬 수 없는 일이다. 시인에게 있어 “내가 잘 살지 못하는 이유”다.
쓰는 일은 필요를 위한 행위일까? 시인은 “나는 직장을 버리고/글을 쓰며 살고 있다/이 일은 유효한가”(「겨울 경제」)라며 유효성을 묻는다. 그러나 시인은 답을 내리거나 듣기 위해 자문한 것 같지는 않다. 일의 유효성과 관계없이 시인은 시간이라는 이름의 간수가 오기 전에 계속해서 캄캄한 독방 바닥을 파듯이 글을 쓴다. “뜻밖”이라는 바깥을 만나기 위해서다.
그러나 뜻밖이라는 바깥을 만나기 위함이 과연 목적이 될 수 있을까. “얼굴의 재료는 얼굴”이고 “시의 재료가 시”(「얼굴」)이듯이 나아간 바깥에는 또한 바깥의 바깥이 있기에, 그러한 행위는 목적 달성을 위함이기보다는 목적 없음, 혹은 목적 상실의 지속에 더 가깝다. 성윤석의 새 시집은 그처럼 견고한 일상 바깥으로 나가 끝없이 바깥을 사유하는 방랑자들의 이야기이다.
시인은 목적 없는 상태로서의 쓰기를 지속하며 문밖에 도착해 있는 장면들(「한 시절」)을 만나고 통과한다. 일상에 실패하면서까지. 이러한 쓰기를 통한 일상 바깥으로의 전전을 통해 ‘나’에게는 삶의 바깥에서 흘러가는 또 하나의 삶이 만들어진다. 동시에 “나를, 뒤적여봅니다 쓰는 자가 되어 한 바퀴 돌아봅니다”(「합정동」)라고 그가 말하듯이, 그러한 쓰기를 통해 우리의 인생 역시 뒤적거릴 수 있는 한 권의 책이 된다.
쓰는 자들은 어디서 오는 걸까요 쓰는 자들은 나서고 도착하는 자입니다 도착하자마자 나서는 자들입니다
-「합정동」 부분
성윤석은 “나는 늘 밖에서 밖으로 나갔다”(「자기의 얼굴을 팬티로 생각하는 사내의 이야기」)라고 쓴다. 그런데 바깥의 바깥은 간혹 어딘가의 중심이기도 해서 ‘아무 관계도 없는 방관자’(「역사란 무엇인가」)는 꿈꾸듯이 누군가가 건네준 무엇을 들고 달려가기도 한다. 따라서 그것은 시인의 필연적 소명에 속한 일이라기보다는 우연적 운명에 의해 맞닥뜨리는 사건에 가깝다. 그러한 사건을 겪어나가며, 시는 사물의 심부를 밝히는 특별한 거울처럼 우리의 일상을 비춘다. 끊임없이 재난문자가 도착하는 우리의 자본주의 도시와 그곳의 사물들을. 성윤석 시인의 개인적 내력과도 같이 여러 직업을 떠돌고 있는 서민적 화자들의 삶을. 그 목소리는 현장에서 울리듯 생생하기에 그러한 삶들을 기록하는 데 사진은 필요하지 않을 듯하다.
망설임 없이, 혹여 망설임이 있더라도 일단은 멈추지 않고 움직이려는 듯한 성윤석 시인의 시구와 행간에서는 성큼성큼 걸어 나가는 사람의 뒷모습이 보인다. 만질 수 있는 육체처럼 다가오는 언어를 통해 쓰기의 지속이 맞닥뜨리는 뜻밖의 기쁨과 슬픔 들을 나누게 되기를 바란다.
그녀는 발표도 하지 않을 글을 계속 쓴다 - 아침달 시집 28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