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던 데자인 : 계몽과 광기의 역사

모던 데자인 : 계몽과 광기의 역사

$24.00
Description
우리의 시선으로 읽는 모던디자인의 역사
『모던데자인』은 서구의 시각과 다른 각도에서 예술과 디자인의 역사를 살피는 책이다. 저자 김종균은 우리가 읽어온 모던디자인 이론서들이 한결같이 계몽주의를 예찬하고, 서유럽의 역사적 승리 과정을 정당화하고 있다는 점에 강한 의문을 제기한다. 계몽과 이성을 앞세운 모더니즘의 이면에는 광기와 무의식의 전근대성이 잠재해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기독교와 진화론, 정신분석학이 모더니즘 정신과 디자인을 형성하는 한 축이며, 볼셰비키 혁명이 모더니즘 조형 언어를 완성하였다고 지적한다. 이는 국내 전문가는 물론, 서유럽과 미국의 역사가들도 제대로 언급하지 않는 내용이다. 그렇다면 이 변혁의 시대에서 소외되었던 우리가 모던디자인 역사를 다시 쓸 수는 없을까? 이 질문에 저자는 오랜 시간 숙고하며 연구와 강의, 읽기와 쓰기를 거듭했다. 이런 의미에서 이 책은 그 과정을 기록한 보고서이자 한국 디자인의 ‘독립선언’을 위한 시론이라 해도 좋다. 저자는 예술과 디자인, 법학을 전공한 독특한 이력의 이야기꾼으로, ‘글로 말하는’ 능력을 이 책에서 여실히 보여준다. 남다른 열정과 문제의식, 비판적 사유로 한국 디자인의 현실을 돌아보는 저자의 생생한 목소리가 독자를 사로잡을 것이다.

저자

김종균

저자:김종균
서울대학교에서디자인학박사,충남대학교에서법학석사,런던킹스턴대학교에서큐레이팅전공으로예술학석사학위를받았고,현재특허청에서심사관으로근무하고있다.오랫동안한국의예술과디자인,시각문화에대한비판적인연구를해왔다.저서로는『한국의디자인』(2013),『디자인전쟁』(2013),『바우하우스』(2019),『EncyclopediaofEastAsiaDesign』(2019),『HistoryofDesignandDesignLaw』(2022)등이있다.

목차

시작하며

I천국의예술

1.고대.중세.근대
빛이있으라!
고대황금기
중세암흑기
그로테스크한로마네스크
고딕과길드
관념적인중세예술
십자군전쟁과종교개혁
천국의지구출장소성당
르네상스예술
관념적인성화
미켈란젤로와매너리즘
바로크와로코코

2.계몽과혁명
모던,모더니티,모더니즘
계몽주의와근대사회
프랑스대혁명과민주주의
산업혁명과산업화
식민지시대
산업의시녀장식미술
1851대영박람회
싸구려기계생산품
신고전주의
미술공예운동과윌리엄모리스

II계몽과평등

1.세기말의예술
벨에포크(아름다운시절)
카메라옵스큐라
자포니즘과우키요에
인상주의
마네의고발
모네의빛
로트렉의상업미술
낭만주의와추상
1884앙데팡당전
후기인상파
세잔의사과
피카소의분해
인상파는양식인가?
혁명ㆍ근대화ㆍ근대주의

2.새시대의새로운장식
1889파리박람회와에펠탑
새로운미술,아르누보
실존과낭만
장식없는아르누보
최초의모더니즘디자인
기계장식아르데코

III합리주의와아방가르드

1.합리주의
미국의합리주의
마천루와커튼월
기능주의건축
포디즘
1907독일공작연맹
페터베렌스와AEG
그로피우스와건축가들

2.전쟁과아방가르드
신념의붕괴
사회진화론과식민지계몽주의
오리엔탈리즘
기계와예술
미래파
1차세계대전과반이성
붕괴.해체.부정
아방가르드
다다이즘
초현실주의
전위예술
러시아아방가르드
제도화된아방가르드,브후테마스
브후테마스vs바우하우스
데스틸(신조형주의)

IV순수기계미학

1.바우하우스와디자인
혁명과예술
바이마르국립바우하우스
바우하우스의이념
이텐과공방교육
모호이너지와시대정신
데사우바우하우스
디자인학의집대성
하네스마이어,미스반데어로에
바우하우스의유산
울름조형대학과애플

2.모더니즘과국제주의
바우하우스와‘Modernism’
본질과실존
기능+절제=순수
“LessisMore”(기능+절제=순수)
국제주의양식
굿디자인과키치
모더니즘은실패인가?
냉전과이데올로기
프로파간다디자인
소련연방
산업디자인연구소(VNIITE)

V.스타일과감성

1.탈네모감성
1930년대미국대공항
스타일링과스트림라인
슬론주의
인위적인제품수명단축
스칸디나비아의자연주의
유기적모더니즘
인간중심의디자인

2.대중시대의예술
대중과예술
팝아트와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디자인
멤피스그룹
포스트모더니즘건축
모더니즘vs포스트모더니즘

3.디자인비즈니스
워크맨과혁신
디자인경영
디자인의미래

VI.한국의모더니즘

1.모더니즘과권력
막사발과이마리도자기
탈아입구
식민지근대성
만주국과하이모더니즘
문화와위생

2.한국의모더니즘디자인
UN원조와모던데자인
반공과개혁
조국근대화와농촌새마을운동
개발도상국과모방
오리엔탈리즘과한국적디자인

마치며
디자인사관련용어
참고자료
찾아보기

출판사 서평

누구나읽을수있는예술,건축,디자인역사서
이책은조금두꺼운편이라만만치않아보이지만그리걱정할필요는없다.온갖미학적개념이등장하고다루는내용이광범위한데도술술읽힌다.역사적배경을설명하는경우엔레미제라블,성냥팔이소녀,장미의이름,물랑루즈,매트릭스등의소설과영화가동원되는가하면,다른서적에선볼수없는시각자료가수시로등장한다.특히디자인서적임에도예술과조각,건축을통합적으로다룬다.디자인이란분야가분리.독립된것은불과100년이되지않았고,중세의예술은건축과분리해선이해되지않았기때문이다.이책은고등학생이면충분히이해할수있는용어들을사용했다.역사적으로중요한사건은본문에서풀어냈고,한자나외래어고유명사는최대한그의미를짚고넘어간다.저자는영국유학시절,한국교민들을대상으로디자인사를강의한바있다.이책은저자가그때의현장감을떠올리며쓴것으로,현대디자인은물론예술과건축그리고우리가일상에서접하는수많은물건의내력을이해하는실마리가될것이다.

아폴로와비너스에서출발하는모더니즘
『모던데자인』은모더니즘의역사를고대그리스의아폴로와비너스에서출발하여역사의흐름선상에서파악한다.어려운미학개념이나현학적인설명은피하고,역사서의포맷을벗어나최대한쉬운언어로말한다.디자인역사서인데도간디의물레,세종대왕의곤룡포,허균의홍길동전,새마을운동이마당극처럼등장하며걸쭉한입담이종횡무진펼쳐진다.증기기관은서구에게강력한근대사회를일구어준마법의일꾼이었고,일본인에게는만주라는신대륙으로떠나는신세계행특급열차였지만,조선인에겐공출과징병,식민지부채의상징이었다.영국에서방적기는자본주의와번영을상징했지만,인도에선억압의상징이었으며오히려물레가자립과독립을의미했다.물건의상징은상대적으로해석되는것인데도,그양식인모더니즘은언제나정의와승리의역사처럼다루어진다.우리는서구의역사에편승하지도못했는데,언제나서구의시선으로역사를이해하고,우리사회에선모더니즘이론이전혀작동하지않는다는것을뒤늦게깨닫곤한다.예술과디자인에서모더니즘은이론이라기보다하나의강력한이데올로기이고,해석의여지가분분한근대의현상이다.모든역사는타자의시선으로되짚어볼때좀더명확히규명된다.그럼에도우리는우리만의관점으로모더니즘을살펴본적이없다.하지만이제그럴때가되었다.

모더니즘의실체와계보
모더니즘디자인의계보는서구에의해,서구의시선으로편집되었다.여기서서구는과거식민지제국주의국가였던서유럽을말한다.동유럽이나러시아,심지어이탈리아의관점도거의반영되지못했다.모더니즘은계몽의역사로만이해되고,야만과광기의측면은철저하게누락되었다.모더니즘은2차대전이후미국을거치며‘국제주의’라는이름에정형화된양식으로고정되지만,우리는아직도100년전서구의이념으로잘못이해하곤한다.모더니즘과국제주의는세계보편양식을이야기하지만,이는식민지계몽주의의변형에불과하다는사실을모르거나모른척해왔다.모더니즘은순수함을추구하지만,이순수라는개념이서구기독교적세계관에서만통용되는것임을말하지않는다.모더니즘은자유주의이념과함께전파되어제3세계국가의전통과문화를말살하는부작용을낳았지만반성하지않는다.모더니즘은하나의기능에최적화된하나의형태를말하지만이는러시아혁명이후,공산주의혁명의완수를위한슬로건이었음은언급하지않는다.독일의바우하우스는모더니즘디자인을집대성했다고알려져있지만,러시아부흐테마스와이념적으로동조하고인적인교류를가지며,사회주의혁명완수에대한열망을갖고있었다는사실은빠트렸다.왜냐하면서유럽의시선으로편집되었기때문이다.

윤리적측면에서본모던디자인
저자는대학에서디자인과건축을전공한독자에게도모던디자인의역사를다시살펴볼것을권한다.우리나라에전파된모더니즘과포스트모더니즘은고딕이나바로크와같이정형화된양식이상도이하도아니었다.이는2차대전이후미국이자신의문화와생활양식을전파하며세계문화의헤게모니를장악하려했던시도에서비롯된것으로,자유주의우방국가들은그영향력에서벗어나기매우어려웠다.이러한현상은오래전부터지속되어왔으며,이과정에서예술과건축은늘권력의시녀로서권력을유지,강화하며홍보하는프로파간다역할을했던것도부정하기어렵다.
양식과권력의관계는시대별로논쟁을일으켰고,이러한논쟁의역사가모더니즘의역사이기도하다.멀리플라톤과아리스토텔레스의이데아논쟁에서부터시작하여,현대포스트모더니즘논쟁까지장식은언제나선과악,빛과어둠,옮고그름등의이분법으로재단되어부정적인것으로치부되었다.그렇다면늘밝은세상에속한채,정의로운역사였던모더니즘이한국의오랜전통까지역사의저편으로보내버린건아닐까?굿디자인과키치의이분법적인역사로전개된한국적모더니즘의비극이여기에서비롯된것일지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