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옥스퍼드대 출신 비교교육학자 김선
그가 직접 경험하고 연구한 세계 교육의 현장
그 현장의 차이에서 찾아낸 교육의 역할
그가 직접 경험하고 연구한 세계 교육의 현장
그 현장의 차이에서 찾아낸 교육의 역할
◎ 코로나 이후 교육은 어떻게 달라져야 할까?
2020년, 전 세계는 코로나19로 인해 급속한 변화를 겪고 있다. 교육 분야도 예외는 아니다. 186개 나라에서 12억 명의 학령기 아이들이 학교생활을 제대로 못해 생긴 학습 공백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언택트 사회로의 변화는 미래 학자가 예상했던 일자리의 변화를 가속화시키고 있다. 한편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러닝 소프트웨어나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화상회의 도구 등의 도입은 교육 테크놀로지를 크게 성장시켰다. 이런 교육 환경의 변화에 발맞추어 교육제도도 서둘러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그동안 우리 교육은 다양한 제도의 변화를 겪었다. 당장 2023년부터 고교 학점제가 실시될 예정이고, 2025년부터 자사고와 특목고의 우선 선발권이 폐지된다. 새로운 교육제도와 정책이 발표될 때마다 학부모와 교육 관계자의 찬반 여론이 뜨겁다. 그런데 정책과 제도의 논란에 매몰되어 ‘교육의 가치’에 대한 논의는 늘 뒷전으로 밀린다.
한 나라의 교육제도는 그 사회가 나아가고자 하는 공동체에 대한 미래상과 그 속에서 살아갈 미래 세대들을 투영한 인재상에 근거한 교육철학을 토대로 세워진다. 비교교육학자 김선은 《교육의 차이》에서 독일, 영국, 미국, 핀란드, 싱가포르 등 세계적인 교육 강국으로 꼽히는 다섯 나라의 교육제도와 정책 그리고 그들의 교육철학을 분석하여, 교육의 차이가 어떻게 다른 인재들을 키워 내는지 비교한다. 이를 통해 한국의 교육철학에 대해 고민할 기회를 제공한다. 더 늦기 전에 한국 사회에 어떤 인재가 필요하며, 아이들이 학교라는 공간에서 무엇을 배우고 성장해야 하는지 생각해 보아야 한다. 우리 아이들이 진정 행복해지기 위한 최고의 교육이란 무엇일까? 가정과 학교 그리고 사회는 어떤 교육 철학을 가져야 할까?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사회 변화가 코로나19로 인해 가속화되었다. 이런 빨라진 변화는 교육에 대한 논의를 재촉한다. 없어지는 직업과 새로 생겨나는 직업의 순환이 더 빨라졌고, 우리는 학생들에게 아직 존재하지 않는 직업을 준비시켜야 한다. 과연 현재의 교육 제도로 해답 없는 답을 찾아내는 능력을 키워 줄 수 있을까?
《교육의 차이》는 교육의 공공성 문제, 성과 중심주의, 교육의 도구화, 교육 격차 등 한국이 풀어야 할 교육 과제에 대한 시사점을 던져준다. 저자는 그 어느 때보다 우리나라에 ‘마음의 교육학’이 필요하다 말한다. 마음의 교육학은 인격과 인격이 만나 소통하는 유기체적인 구성체를 일컫는다. 이와 함께 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한 국가 간 교류 제한과 보호주의는 역설적으로 세계시민교육의 필요성도 강조한다.
2020년, 전 세계는 코로나19로 인해 급속한 변화를 겪고 있다. 교육 분야도 예외는 아니다. 186개 나라에서 12억 명의 학령기 아이들이 학교생활을 제대로 못해 생긴 학습 공백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언택트 사회로의 변화는 미래 학자가 예상했던 일자리의 변화를 가속화시키고 있다. 한편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러닝 소프트웨어나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화상회의 도구 등의 도입은 교육 테크놀로지를 크게 성장시켰다. 이런 교육 환경의 변화에 발맞추어 교육제도도 서둘러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그동안 우리 교육은 다양한 제도의 변화를 겪었다. 당장 2023년부터 고교 학점제가 실시될 예정이고, 2025년부터 자사고와 특목고의 우선 선발권이 폐지된다. 새로운 교육제도와 정책이 발표될 때마다 학부모와 교육 관계자의 찬반 여론이 뜨겁다. 그런데 정책과 제도의 논란에 매몰되어 ‘교육의 가치’에 대한 논의는 늘 뒷전으로 밀린다.
한 나라의 교육제도는 그 사회가 나아가고자 하는 공동체에 대한 미래상과 그 속에서 살아갈 미래 세대들을 투영한 인재상에 근거한 교육철학을 토대로 세워진다. 비교교육학자 김선은 《교육의 차이》에서 독일, 영국, 미국, 핀란드, 싱가포르 등 세계적인 교육 강국으로 꼽히는 다섯 나라의 교육제도와 정책 그리고 그들의 교육철학을 분석하여, 교육의 차이가 어떻게 다른 인재들을 키워 내는지 비교한다. 이를 통해 한국의 교육철학에 대해 고민할 기회를 제공한다. 더 늦기 전에 한국 사회에 어떤 인재가 필요하며, 아이들이 학교라는 공간에서 무엇을 배우고 성장해야 하는지 생각해 보아야 한다. 우리 아이들이 진정 행복해지기 위한 최고의 교육이란 무엇일까? 가정과 학교 그리고 사회는 어떤 교육 철학을 가져야 할까?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사회 변화가 코로나19로 인해 가속화되었다. 이런 빨라진 변화는 교육에 대한 논의를 재촉한다. 없어지는 직업과 새로 생겨나는 직업의 순환이 더 빨라졌고, 우리는 학생들에게 아직 존재하지 않는 직업을 준비시켜야 한다. 과연 현재의 교육 제도로 해답 없는 답을 찾아내는 능력을 키워 줄 수 있을까?
《교육의 차이》는 교육의 공공성 문제, 성과 중심주의, 교육의 도구화, 교육 격차 등 한국이 풀어야 할 교육 과제에 대한 시사점을 던져준다. 저자는 그 어느 때보다 우리나라에 ‘마음의 교육학’이 필요하다 말한다. 마음의 교육학은 인격과 인격이 만나 소통하는 유기체적인 구성체를 일컫는다. 이와 함께 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한 국가 간 교류 제한과 보호주의는 역설적으로 세계시민교육의 필요성도 강조한다.
교육의 차이 (개정증보판)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