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영백의 더 세미나 : 기호학 정신분석학 편

전영백의 더 세미나 : 기호학 정신분석학 편

$20.00
Description
강의실을 개방하다.
지식은 그 수준이 생각보다 다양하다. 지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정보적 지식과 종합적 지식이 그것이다. 이 두 범주 안에서 그 수준이 수없이 세분화된다고 보면 된다. 여기서 정보적 지식은 인터넷으로 찾으면 대부분 충족되는 것으로, AI가 얼마든지 대치할 수 있는 지식이다. 그런데 종합적 지식은 다르다. 이는 인간의 역량이 요청되는 부분이자 오랜 경험적 축적과 내공이 요구되는 지식이므로, 지적 네트워크의 다층 작용 및 학제간 교류가 필요하다. 테크놀로지가 빠르게 발달하면서 대학 강의실 풍경도 많이 달라졌다. 이제 교수는 더 이상 정보적 지식을 가르칠 필요가 없다. 대부분 학생들이 고맙게도 인터넷에서 재빨리 찾아내므로 그런 방식의 강의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따라서 대학 교육이 종합적 지식을 함양하는 데 전력을 기울이는 게 마땅하다. 이런 점에서 지적 능력 중에서 암기력이나 정보력보다는 체계적인 조직력, 구조나 중요도에 대한 인식 등이 훨씬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

자신만의 이론적 틀을 갖추기 위한 방향을 찾는 이들에게
오늘날 미술이론 전공 학생은 물론, 실기 전공자의 경우도 자신의 시각적 사고에 뒷받침이 될 만한 이론적 틀을 어느 정도씩은 갖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더 이상 “한 우물만 파라”는 조언은 그들에게 미덕일 수 없다. 사정이 사뭇 달라진 것이다. 교수나 연구자 입장에선 이미 학문 간 통섭을 추구한 지 오래고 학생들 또한 복수 전공을 선호하는 추세다. 더구나 매시간 쏟아지는 정보의 홍수속에 무엇을 어디까지 취해야 할지 혼란스럽다. 이처럼 날로 선택 범위가 넓어지는 상황에서 어느 정도 이론의 주요 가닥은 잡혀야 하는데 바로 그 범위와 방향성을 제시해 줄 수 있는 게 좋은 수업이 아닐까 생각된다. 물론 전공의 전문성을 중심으로 해야겠지만, 타분야의 사유와 개념 또한 과감히 끌어와서 생각의 구조를 보다 창의적으로 펼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바로 이 책이 의도하는 바다.

자신의 주체를 잘 이해하고 거친 세상에서
스스로를 자신있고 자유롭게 펼쳐나가기를
『더 세미나』는 실제 공간에서 이뤄졌던 대학에서의 수업을 일반 독자와 그대로 공유하려는 아이디어로 시작되었다. ‘강의실을 개방한다’는 컨셉을 살리기 위해서 수업의 방식 그대로 책을 구성했다.
우선 강의의 내용을 정리했고, 수강생들의 논문 발제로 미술이론의 내용을 심화했으며, 이러한 이론적 시각으로 미술작품을 새롭게 보는 사례연구를 다뤘다. 다시 말해 이 책은 포스트모더니즘의 대표적인 이론들을 소개하고 그것이 미술이론에서 어떻게 활용되는가를 고찰한 후, 그 시각으로 작품을 심도있게 이해하고자 했다.
수업의 실제 내용을 책으로 만든다는 건 가슴 설레는 일이다. 강의가 일회성으로 흘러가지 않고 활자화됨으로써 학문적 토대를 보다 견고하게 다지는 느낌이 있다. 이 책에는 미술사학과 대학원 세미나 및 예술학과 4학년의 수업이 고스란히 들어있다.

북 트레일러

  • 출판사의 사정에 따라 서비스가 변경 또는 중지될 수 있습니다.
  • Window7의 경우 사운드 연결이 없을 시, 동영상 재생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어폰, 스피커 등이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 하시고 재생하시기 바랍니다.

저자

전영백,오세령,김세정

연세대학교사회학과를졸업하고,홍익대학교미술사학과에서석사,영국리즈대학교(Univ.ofLeeds)미술사학과에서석사및박사학위를받았다.미술사학연구회회장을지냈으며,2002년부터영국의국제학술지JournalofVisualCulture편집위원으로활동하고있다.홍익대학교박물관장및현대미술관장을지낸바있고,현재홍익대학교예술학과(학부)및미술사학과(대학원)교수로재직중이다.저서로『코끼리의방:현대미술거장들의공간』,『세잔의사과:현대사상가들의세잔읽기』가있고,책임편집서로『22명의예술가,시대와소통하다:1970년대이후한국현대미술의자화상』등이있다.번역서로『후기구조주의와포스트모더니즘』,『미술사방법론』(공역),『월드스펙테이터』(공역)등을옮겼다.한국연구재단등재논문으로「데이빗호크니의‘눈에진실한’회화」,「여행하는작가주체와장소성」,「영국의도시공간과현대미술」등18편을썼다.해외에서발표된논문으로“LookingatCezannethroughhisowneyes”,‘Cezanne’sPortraitsandMelancholia’inPsychoanalysisandImage,“KoreanContemporaryArtonBritishSoilintheTransnationalEra”등이있다.

목차

책을열며강의실을개방하다004

1부기호학
기호학,미술의이름을부르다

1교시강의

강의를시작하며017
우리가알아야할기호학자는누구인가?020
소쉬르기호학의핵심은무엇인가?022
라캉,소쉬르의도식을전복하다027
퍼스는왜포스트모더니즘에서환영받는가?035
바르트:사진에의관심,신화에의각성,저자의죽음040
데리다,언어를의심하다046
심화발제로의진행을위해054
강의후와글와글058

2교시심화발제기호학과미술사방법론

들어가며063
Ⅰ.기호학적미술사연구의대표사례064
Ⅱ.기호학적으로읽은홀바인의<죽은그리스도>069
발제를마치며081

3교시응용발표

Case1.빅터버긴083
Case2.제니홀저087
Case3.바바라크루거092
Case4.마사로슬러096
Case5.사이톰블리100
Case6.최정화104

2부정신분석학
정신분석,미술의심리를분석하다

1교시강의

강의를시작하며119
꼭알아야할정신분석학자3인:프로이트,클라인,라캉119
클라인,초기주체의인식형성에대해탐구하다127
대상관계이론과영국(유럽)의정신분석학계133
‘중심화된주체’에서‘탈중심화된주체’로바뀌다137
라캉,시각과연관하여주체를분석하다140
주체의인식은왜‘부분’에서‘전체’로나아가는가?148
심화발제로의진행을위해153
강의후와글와글155

2교시심화발제정신분석학과미술사방법론

들어가며159
Ⅰ.1990년대이후정신분석학담론의전161
Ⅱ.멜라니클라인의‘부분대상’으로읽는여성작가들의신체중심적작품.170
발제를마치며178

3교시응용발표

Case1.필립거스톤183
Case2.게르하르트리히터188
Case3.로버트고버193
Case4.루카스사마라스198
Case5.야요이쿠사마202
Case6.에바헤세207

출판사 서평

자신만의이론적틀을갖추기위한방향을찾는이들에게
오늘날미술이론전공학생은물론,실기전공자의경우도자신의시각적사고에뒷받침이될만한이론적틀을어느정도씩은갖고있어야한다고생각한다.더이상“한우물만파라”는조언은그들에게미덕일수없다.사정이사뭇달라진것이다.교수나연구자입장에선이미학문간통섭을추구한지오래고학생들또한복수전공을선호하는추세다.더구나매시간쏟아지는정보의홍수속에무엇을어디까지취해야할지혼란스럽다.이처럼날로선택범위가넓어지는상황에서어느정도이론의주요가닥은잡혀야하는데바로그범위와방향성을제시해줄수있는게좋은수업이아닐까생각된다.물론전공의전문성을중심으로해야겠지만,타분야의사유와개념또한과감히끌어와서생각의구조를보다창의적으로펼칠필요가있는것이다.바로이책이의도하는바다.

자신의주체를잘이해하고거친세상에서
스스로를자신있고자유롭게펼쳐나가기를
『더세미나』는실제공간에서이뤄졌던대학에서의수업을일반독자와그대로공유하려는아이디어로시작되었다.‘강의실을개방한다’는컨셉을살리기위해서수업의방식그대로책을구성했다.
우선강의의내용을정리했고,수강생들의논문발제로미술이론의내용을심화했으며,이러한이론적시각으로미술작품을새롭게보는사례연구를다뤘다.다시말해이책은포스트모더니즘의대표적인이론들을소개하고그것이미술이론에서어떻게활용되는가를고찰한후,그시각으로작품을심도있게이해하고자했다.
수업의실제내용을책으로만든다는건가슴설레는일이다.강의가일회성으로흘러가지않고활자화됨으로써학문적토대를보다견고하게다지는느낌이있다.이책에는미술사학과대학원세미나및예술학과4학년의수업이고스란히들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