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겐 기억할 것이 있다 : 인권운동가 박래군의 한국현대사 인권기행

우리에겐 기억할 것이 있다 : 인권운동가 박래군의 한국현대사 인권기행

$18.00
Description
대한민국의 현대사는
인권을 지켜내기 위한 저항의 역사다
이 책은 30여 년간 활동해온 인권운동가가 한국현대사의 역사적 현장들을 직접 찾아 인권의 시각으로 정리해낸 답사기이다. 제주 4·3, 광주 5·18, 세월호 참사의 절절한 현장부터 서대문형무소, 남산과 남영동 고문실 속 고초의 시간을 지나, 소록도와 마석 모란공원에 남겨진 치열한 삶의 흔적까지, 우리가 반드시 기억해야 할 대한민국 인권의 실태를 기록했다. 인권의 현장에서 공통적으로 발견하는 것은 국가가 개인들에게 저지른 폭력과 범죄의 흔적이다. 가해자가 무소불위의 국가 권력이기에 폭력과 범죄는 대규모였고, 더 집요하고 잔인했다. 하지만 그럴 때마다 아들딸, 부모형제의 죽음을 끌어안고 울음을 삼켜야 했던 사람들이 힘겹게 목소리를 내고 몸부림을 쳐왔기 때문에 인권의 현실은 조금씩 개선되어왔다. 이 책에는 그런 과정과 결과를 인권의 렌즈로 보고 담았다.

저자인 인권운동가 박래군은 1988년 광주 학살의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며 분신하여 세상을 떠난 동생 박래전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한 일을 하다가 인권운동의 길에 들어섰다. 한국현대사에서 인권의 문제가 드러나는 순간에는 항상 그가 있었고, 지금도 여전히 현장을 지키고 있다. 그러한 활동의 연장으로 이 책의 인세는 인권재단 사람의 기금으로 쓰인다. 인권의 현장들을 직접 둘러보는 장기 프로젝트로 기획된 이 책은 동학혁명 유적지, 남북 분단 현장, 민간인 학살 터, 종교 순교지 등을 둘러보고 2권으로 출간할 예정이다.

저자

박래군

저자:박래군
인권운동가.(재)인권재단사람부설인권중심사람소장으로일하고있다.1988년광주학살의책임자처벌을요구하며분신하여세상을떠난동생과의약속을지키기위한일을하다가인권운동을하게됐다.그뒤국가에의한억압과범죄에맞서는현장활동을중심으로인권운동을지속해왔다.
민주화운동유가족협의회사무국장,인권운동사랑방사무국장등상임활동가,사회복지법인에바다복지회이사,인권운동연구소상임연구원,대통령소속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조사과장,재단법인인권재단사람상임이사,서울시인권위원회부위원장,4월16일의약속국민연대(4·16연대)공동대표등을역임했다.
현재4·16재단운영위원장,4.9통일평화재단이사,용산참사진상규명및재개발제도개선위원회집행위원장,열린군대를위한시민연대대표,손배가압류를잡자손에손잡고(손잡고)운영위원,생명안전시민넷(안전넷)공동대표등을함께맡고있다.
들불상,NCCK인권상,임창순상등을수상했고,저서로는『사람곁에사람곁에사람』『아!
대추리―대추리주민들의미군기지확장저지투쟁기록』등이있다.

목차

머리말:역사의현장에서사람을생각하다

학살과해원의섬
제주4·3현장

전쟁을기억하는방식
전쟁기념관

외딴섬에살았던사람들
소록도

처벌받지않는자들의나라
광주5·18현장(1)

모두가우리였던그날
광주5·18현장(2)

좁은창,작은방,비밀계단
남산안기부터와남영동대공분실

감옥에서도지워진얼굴들
서대문형무소역사관

봄을찾아가는세갈래길
마석모란공원

다르게흐르는시간들
세월호참사현장

후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