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활달(豁達)한 상상력과 서정이 밀어올린 꽃대의 자존
- 유선철 시인의 새 시조집 『슬픔은 별보다 더 많지』
- 유선철 시인의 새 시조집 『슬픔은 별보다 더 많지』
첫 시조집 『찔레꽃 만다라』를 상재한지 4년 만에 유선철 시인의 두 번째 시조집 『슬픔은 별보다 더 많지』가 도서출판 작가 기획시집으로 출간되었다.
저자 유선철 시인은 경북 김천에서 태어나 2012년 《경남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10여 년 동안 왕성한 활동으로 좋은 시조작품을 생산해온 시인은 제5회 천강문학상 시조부문 대상, 제11회 오늘의시조시인상, 제4회 정음시조문학상을 수상했다.
유선철 시인의 새 시조집 『슬픔은 별보다 더 많지』에는 5부로 나뉘어 총 65편의 시조들을 수록하였다. 활달한 상상력과 깊은 서정이 밀어올린 시편들이다. 이번 시집의 많은 작품 속에 투사된 사유가 ‘시’ 또는 ‘시인’이라는 근본에 대해 도저한 반성과 성찰이 깊게 자리하고 있다.
유선철 시인은 한반도에서 진취적 삶을 꾸려내고 불화에서 정의와 민주주의를 일궈낸 인간의 지난至難한 걸음처럼 시의 근본에 열정을 투사하며 개성이 강하고 분방한 상상력을 꽃피운다.
2012년에 등단한 유선철 시인은 8년이 지난 후에야 『찔레꽃 만다라』를 출간하며 「심안의 지혜를 얻기 위한 묵중한 질문」(이달균 시인 해설)을 시조단에 던지게 된다. 지천명의 나이에 등단하여 이순에 출간했던 첫 시집이었는데 “별들의 안부를 묻고/ 꽃술에 한 뼘 더 가까이 가면/ 검은등뻐꾸기처럼 울 수 있을까”라는 유난하게 심미(審美)적 발상이 담긴 자서를 읽으며 독자들은 그가 걸어온 실천적 삶의 궤적과 시적 감수성에 매료되었다.
향기도 온기도 없는
강퍅한 삶의 궤적
좌우를 살피다가
때를 놓친 고백까지
빗물이 스미는 행간
울음 꾹꾹 눌러둔
- 「시집」 전문
생은 재미있고 신나는 일보다는 외롭고 힘겨운 일상들이 훨씬 많다. “향기도 온기도 없는” 그저 목숨을 부지하려고 신산한 언덕을 숨찬 걸음으로 올라간다. 겨우 어려운 문제 하나를 해결하고 나면 다시 새롭고 더 어려운 문제가 달려든다. 이 언덕을 넘으면 환한 평화가 기다리겠지 하며 나아가도 평화는커녕 고된 절벽이 기다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래서 시인은 아마도 “강퍅한 삶의 궤적”이라고 하였나 보다. 막다른 골목에 다다라 “좌우를 살피다가” 기회를 놓치고 세상의 핀잔을 듣는 경우도 많다. 늘 ‘좌우’로 갈려있는 사회의 잣대는 가늠하기 쉽지 않아서 기회주의자로 누명을 쓰기 쉽고 자칫 지조가 부족한 인간으로 낙인찍히기가 다반사이다. 손가락질을 받거나 엄지척을 들었어도 “때를 놓친 고백”은 잊지 못하게 마련이다. 이렇게 울퉁불퉁한 길을 걷고 넘어진 기록이 ‘시’가 아니겠는가. 그래서 시집은 “빗물이 스미는 행간”이 마땅하다. 햇볕이 잘 들지 않고 바람도 드나들지 못하는 구석에는 누구에게도 고백하기 어려운 “울음 꾹꾹 눌러둔” 곰팡내 나고 비릿한 눈물범벅이 된 “시집” 한 권 남아있는 것이리라.
유선철은 자신이 처한 사회적 문제에 예민하게 반응하고 정당한 행동에 나서기를 주저하지 않는 사람이다. 여기서 ‘정당한 행동’에 다시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시인이 어떤 가치나 판단에 믿는 바를 표현하고 행동에 나서는 근저에는 자신의 지식과 신조가 강하게 작용하였을 것이니 세상의 비판도 달게 받을 각오쯤은 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유선철의 시는 그의 행위나 주장에 비해 상당히 유연하고 광폭의 시각을 견지하고 있으며 서정의 포근함도 늘 잊지 않고 있다.
하늘을 쪼고 있는 가늘고 연한 부리
솜털 같은 어린 새의 심장을 보았어요
차가운 별빛을 물고
움켜쥐던 그 다짐도
부름켜 쓸어안고 울먹이던 지난 겨울
늘어진 그림자를 헤집던 산바람이
돌아와 숨결입니다
가는 목을 감싸는
실핏줄 더워져서 문득 생生이 궁금할 때
촉촉한 고요 속을 맨발로 걸어나와
봄 한 철 울다 가세요
내 뜨락의 주인처럼
- 「목련에게」 전문
서정의 정수를 보여주듯 시의 외양은 ‘목련’의 자태와 시인의 속내가 서로 어우러져 교감하는 유려하고 살가움이 흘러넘치는 작품이다. 우선 아주 자상하고 다정한 화자의 시각이 도드라진다. “하늘을 쪼고 있는 가늘고 연한 부리/ 솜털 같은 어린 새의 심장”은 목련이 피기 전에 솜털에 쌓여 있는 꽃눈의 모습을 이리도 애절하게 그려놓다니. “부름켜 쓸어안고 울먹이던 지난 겨울”과 더불어 ‘목련’의 깊고 우련한 내면의 묘사까지 완벽하다. 결국 “차가운 별빛을 물고 / 움켜쥐던 그 다짐”으로 지사(志士)의 면모를 갖춘 이미지로 격승格昇시키며 확장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서정성이 짙고 유려한 느낌을 주는 작품이지만 조금 더 깊이 있게 작자가 내세운 상징과 저변의 상황을 구체화해보면 “움켜쥐던 그 다짐” “돌아와 숨결” “실핏줄 더워져서”등에서 전해지는 감성은 목련이 자기에게 닥친 고난과 시련을 이겨내고 꽃을 피우는 우뚝한 열정과 지조가 성큼 다가오는 것이다. 그리하여 끝내는 겨울을 견디고 “촉촉한 고요 속을 맨발로 걸어나”온 목련에게 자신의 ‘뜨락’을 내어주며 “울다 가세요”라고 곡진한 초대장을 내미는 마무리는 독자들의 가슴을 뛰게 한다. 울다 가라는 시어는 얼마나 따듯하고 솔직한 초대의 말인가. 그 속에는 ‘내가 너의 모든 슬픔과 걱정을 다 받아주고 이해해줄게’ 라는 포용과 배려가 한가득 들어있는 말씀이기 때문이리라. 「목련에게」는 서정의 산을 넘고 포옹 같은 따듯함을 지닌 채 지성의 꼭대기까지 치달아 오른 역정(歷程)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겠다.
넓고 예민한 접시 안테나를 장착한 유선철의 귀에는 지금도 “길 놓친 연변 노래가”(「겨울바다 노래방」 부분) 서성이고 “꼭 한 번 함께 나눈/ 휘파람,/ 휘파람 노래”(「금강산 휘파람」 부분)가 떠들썩하게 들려올 것이다. ‘목숨이 아깝다고 꿇을 수 없는 무릎/ 자유에 목마르고 평화엔 피가 말라/ 어둠의 터널 속에서 별빛은 익어간다”(「미얀마, 봄」 부분)고 들어주는 이 아무도 없어도 광장에 나가 마이크 굳게 잡고 큰소리로 외쳐보는 것이다. 광장에 나가 몸을 맡길 때도 있지만 정신은 늘 바쁘게 시조로 돌아온다. 유선철 시인의 두 번째 시조집 『슬픔은 별보다 더 많지』를 펼치면 시인이 얼마나 작품에 몰입하며 사는지 알 수 있다.
정용국 시인은 해설에서 “세상의 모든 사물을 하늘처럼 받든 수운 선생의 시천주(侍天主)를 다시 만나는 느낌”이었으며, “극진하게 모시는 시조에 대한 열정과 사랑이 작품 곳곳에 스며”있어, “꽃대는 튼실하고도 아름다웠다”다고 평한다. 또한 “개인의 심도 있는 자각”이 “더욱 새롭고 진지하게 시조에 투사되었기에 유미(唯美)하고 싶은 매혹이 강하게 다가”왔다고 말한다.
새해, 청룡해에는 유선철 시인이 초대하는 “홍매화 매운 울음 가지 끝에 매어놓고/꽃잎의 속사정을 하나둘 듣다 보면/어느새 눈꽃이 피어/사계절이 꽃밭”인 「향천3리」, “떠돌이별 시든 꽃도/허벅진 달빛 아래 된장국 끓여놓고/여리고 시린 노래도/쓱쓱 비벼 나눠 먹”는 아름다운 「향천3리」로 여행을 떠나보고 싶다.
저자 유선철 시인은 경북 김천에서 태어나 2012년 《경남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10여 년 동안 왕성한 활동으로 좋은 시조작품을 생산해온 시인은 제5회 천강문학상 시조부문 대상, 제11회 오늘의시조시인상, 제4회 정음시조문학상을 수상했다.
유선철 시인의 새 시조집 『슬픔은 별보다 더 많지』에는 5부로 나뉘어 총 65편의 시조들을 수록하였다. 활달한 상상력과 깊은 서정이 밀어올린 시편들이다. 이번 시집의 많은 작품 속에 투사된 사유가 ‘시’ 또는 ‘시인’이라는 근본에 대해 도저한 반성과 성찰이 깊게 자리하고 있다.
유선철 시인은 한반도에서 진취적 삶을 꾸려내고 불화에서 정의와 민주주의를 일궈낸 인간의 지난至難한 걸음처럼 시의 근본에 열정을 투사하며 개성이 강하고 분방한 상상력을 꽃피운다.
2012년에 등단한 유선철 시인은 8년이 지난 후에야 『찔레꽃 만다라』를 출간하며 「심안의 지혜를 얻기 위한 묵중한 질문」(이달균 시인 해설)을 시조단에 던지게 된다. 지천명의 나이에 등단하여 이순에 출간했던 첫 시집이었는데 “별들의 안부를 묻고/ 꽃술에 한 뼘 더 가까이 가면/ 검은등뻐꾸기처럼 울 수 있을까”라는 유난하게 심미(審美)적 발상이 담긴 자서를 읽으며 독자들은 그가 걸어온 실천적 삶의 궤적과 시적 감수성에 매료되었다.
향기도 온기도 없는
강퍅한 삶의 궤적
좌우를 살피다가
때를 놓친 고백까지
빗물이 스미는 행간
울음 꾹꾹 눌러둔
- 「시집」 전문
생은 재미있고 신나는 일보다는 외롭고 힘겨운 일상들이 훨씬 많다. “향기도 온기도 없는” 그저 목숨을 부지하려고 신산한 언덕을 숨찬 걸음으로 올라간다. 겨우 어려운 문제 하나를 해결하고 나면 다시 새롭고 더 어려운 문제가 달려든다. 이 언덕을 넘으면 환한 평화가 기다리겠지 하며 나아가도 평화는커녕 고된 절벽이 기다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래서 시인은 아마도 “강퍅한 삶의 궤적”이라고 하였나 보다. 막다른 골목에 다다라 “좌우를 살피다가” 기회를 놓치고 세상의 핀잔을 듣는 경우도 많다. 늘 ‘좌우’로 갈려있는 사회의 잣대는 가늠하기 쉽지 않아서 기회주의자로 누명을 쓰기 쉽고 자칫 지조가 부족한 인간으로 낙인찍히기가 다반사이다. 손가락질을 받거나 엄지척을 들었어도 “때를 놓친 고백”은 잊지 못하게 마련이다. 이렇게 울퉁불퉁한 길을 걷고 넘어진 기록이 ‘시’가 아니겠는가. 그래서 시집은 “빗물이 스미는 행간”이 마땅하다. 햇볕이 잘 들지 않고 바람도 드나들지 못하는 구석에는 누구에게도 고백하기 어려운 “울음 꾹꾹 눌러둔” 곰팡내 나고 비릿한 눈물범벅이 된 “시집” 한 권 남아있는 것이리라.
유선철은 자신이 처한 사회적 문제에 예민하게 반응하고 정당한 행동에 나서기를 주저하지 않는 사람이다. 여기서 ‘정당한 행동’에 다시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시인이 어떤 가치나 판단에 믿는 바를 표현하고 행동에 나서는 근저에는 자신의 지식과 신조가 강하게 작용하였을 것이니 세상의 비판도 달게 받을 각오쯤은 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유선철의 시는 그의 행위나 주장에 비해 상당히 유연하고 광폭의 시각을 견지하고 있으며 서정의 포근함도 늘 잊지 않고 있다.
하늘을 쪼고 있는 가늘고 연한 부리
솜털 같은 어린 새의 심장을 보았어요
차가운 별빛을 물고
움켜쥐던 그 다짐도
부름켜 쓸어안고 울먹이던 지난 겨울
늘어진 그림자를 헤집던 산바람이
돌아와 숨결입니다
가는 목을 감싸는
실핏줄 더워져서 문득 생生이 궁금할 때
촉촉한 고요 속을 맨발로 걸어나와
봄 한 철 울다 가세요
내 뜨락의 주인처럼
- 「목련에게」 전문
서정의 정수를 보여주듯 시의 외양은 ‘목련’의 자태와 시인의 속내가 서로 어우러져 교감하는 유려하고 살가움이 흘러넘치는 작품이다. 우선 아주 자상하고 다정한 화자의 시각이 도드라진다. “하늘을 쪼고 있는 가늘고 연한 부리/ 솜털 같은 어린 새의 심장”은 목련이 피기 전에 솜털에 쌓여 있는 꽃눈의 모습을 이리도 애절하게 그려놓다니. “부름켜 쓸어안고 울먹이던 지난 겨울”과 더불어 ‘목련’의 깊고 우련한 내면의 묘사까지 완벽하다. 결국 “차가운 별빛을 물고 / 움켜쥐던 그 다짐”으로 지사(志士)의 면모를 갖춘 이미지로 격승格昇시키며 확장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서정성이 짙고 유려한 느낌을 주는 작품이지만 조금 더 깊이 있게 작자가 내세운 상징과 저변의 상황을 구체화해보면 “움켜쥐던 그 다짐” “돌아와 숨결” “실핏줄 더워져서”등에서 전해지는 감성은 목련이 자기에게 닥친 고난과 시련을 이겨내고 꽃을 피우는 우뚝한 열정과 지조가 성큼 다가오는 것이다. 그리하여 끝내는 겨울을 견디고 “촉촉한 고요 속을 맨발로 걸어나”온 목련에게 자신의 ‘뜨락’을 내어주며 “울다 가세요”라고 곡진한 초대장을 내미는 마무리는 독자들의 가슴을 뛰게 한다. 울다 가라는 시어는 얼마나 따듯하고 솔직한 초대의 말인가. 그 속에는 ‘내가 너의 모든 슬픔과 걱정을 다 받아주고 이해해줄게’ 라는 포용과 배려가 한가득 들어있는 말씀이기 때문이리라. 「목련에게」는 서정의 산을 넘고 포옹 같은 따듯함을 지닌 채 지성의 꼭대기까지 치달아 오른 역정(歷程)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겠다.
넓고 예민한 접시 안테나를 장착한 유선철의 귀에는 지금도 “길 놓친 연변 노래가”(「겨울바다 노래방」 부분) 서성이고 “꼭 한 번 함께 나눈/ 휘파람,/ 휘파람 노래”(「금강산 휘파람」 부분)가 떠들썩하게 들려올 것이다. ‘목숨이 아깝다고 꿇을 수 없는 무릎/ 자유에 목마르고 평화엔 피가 말라/ 어둠의 터널 속에서 별빛은 익어간다”(「미얀마, 봄」 부분)고 들어주는 이 아무도 없어도 광장에 나가 마이크 굳게 잡고 큰소리로 외쳐보는 것이다. 광장에 나가 몸을 맡길 때도 있지만 정신은 늘 바쁘게 시조로 돌아온다. 유선철 시인의 두 번째 시조집 『슬픔은 별보다 더 많지』를 펼치면 시인이 얼마나 작품에 몰입하며 사는지 알 수 있다.
정용국 시인은 해설에서 “세상의 모든 사물을 하늘처럼 받든 수운 선생의 시천주(侍天主)를 다시 만나는 느낌”이었으며, “극진하게 모시는 시조에 대한 열정과 사랑이 작품 곳곳에 스며”있어, “꽃대는 튼실하고도 아름다웠다”다고 평한다. 또한 “개인의 심도 있는 자각”이 “더욱 새롭고 진지하게 시조에 투사되었기에 유미(唯美)하고 싶은 매혹이 강하게 다가”왔다고 말한다.
새해, 청룡해에는 유선철 시인이 초대하는 “홍매화 매운 울음 가지 끝에 매어놓고/꽃잎의 속사정을 하나둘 듣다 보면/어느새 눈꽃이 피어/사계절이 꽃밭”인 「향천3리」, “떠돌이별 시든 꽃도/허벅진 달빛 아래 된장국 끓여놓고/여리고 시린 노래도/쓱쓱 비벼 나눠 먹”는 아름다운 「향천3리」로 여행을 떠나보고 싶다.
슬픔은 별보다 많지 - 작가기획시선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