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를 읽은 책들

우리를 읽은 책들

$17.00
Description
우리를 읽은 책들을
우리가 다시 읽다
이 책은 영화학자 이윤영과 문화연구자 이상길의 서평 모음집이다. 두 사람은 1980년대 후반에 서울에서 대학을 다녔으며 프랑스 유학을 다녀왔고 지금은 연세대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교수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학문 세계에서 그 정도의 겹침은 그저 스침에 지나지 않을 수 있겠지만, 두 학자는 오랫동안 교유를 이어오며 공동번역 작업도 했다.

두 사람이 2021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생각, 시대를 바꾸다’라는 주제로 『출판문화』에 매달 번갈아 가며 연재한 서평을 중심으로 23편의 글을 모았다. 연재된 시기가 코로나19 ‘대격리 시대’의 중심부를 지난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인적 교류가 끊긴 그 시대, 과장하자면 이제까지의 문명이 종언을 고하는 것은 아닌가 싶던 과민한 시기에 두 명의 학자는 ‘우리를 키운 책들’을 다시 마주한 것이다. 마치 바둑의 대국을 하듯, 두 사람이 한 권씩의 책을 내밀며 서로의 의중을 담은 ‘수’가 수놓은 듯 짜여진 것이 이 서평집이다.

저자

이윤영,이상길

저자:이윤영
영화학자.연세대학교커뮤니케이션대학원영화전공교수.
「덧쓰기예술,몽타주,멜랑콜리:장-뤽고다르의〈영화의역사(들)〉」,「압바스키아로스타미의〈클로즈업〉과영화적(재)구성의시학」,“Lieuxetimaginairesdanslecinemad’auteurcoreen”같은논문을쓰고,로베르브레송(RobertBresson)의『시네마토그라프에대한노트』,『사유속의영화:영화이론선집』,다니엘아라스(DanielArasse)의『디테일:가까이에서본미술사를위하여』등의책을우리말로옮겼다.

저자:이상길
문화연구자.연세대학교커뮤니케이션대학원미디어문화연구전공교수.
『아틀라스의발-포스트식민상황에서부르디외읽기』(2018),『상징권력과문화-부르디외의이론과비평』(2020),『라디오,연극,키네마-식민지지식인최승일의삶과생각』(2022)같은책들을썼고,피에르부르디외,미셸푸코,폴벤느,디디에에리봉,찰스테일러같은외국저자들의책을우리말로옮겼다.예술책에관한잡지연재글들을모아『책장을번지다,예술을읽다』(공저,2021)를펴내기도했다.

목차


서문
읽기,살아가기,쓰기(이윤영)

1부이윤영이다시읽다

섬뜩한적의와미적인세계인식
-조세희,『난장이가쏘아올린작은공』

한국적정체성의속살
-최순우,『무량수전배흘림기둥에기대서서』

서울,1960년대,반시대적고찰
-김수영,『김수영전집2:산문』

의뢰(인)없는변호(인)
-조영래,『전태일평전』

이승과저승사이의풍경
-박상륭,『죽음의한연구』

서울을이해하기위하여
-손정목,『서울도시계획이야기:서울격동의50년과나의증언1~5』

가난에대해말한다는것의무게
-조은,『사당동더하기25:가난에대한스물다섯해의기록』

『화산도』를읽어야하는이유
-김석범,『화산도』

『무소유』를읽는다는것
-법정,『무소유』

깨끗한우리말표현을찾아서
-이오덕,『우리글바로쓰기1~5』

김윤식의이광수
-김윤식,『이광수와그의시대』

2부이상길이다시읽다

‘문화연구적’시선의발명
-리처드호가트,『교양의효용』

지식인을묻다
-장폴사르트르,『지식인을위한변명』

기술,문화,역사
-발터벤야민,『발터벤야민의문예이론』

자본주의사회의일상비판
-앙리르페브르,『현대세계의일상성』

‘연기’로서의삶
-어빙고프먼,『자아연출의사회학』

권력에대해말하기
-미셸푸코,『권력과지식-미셸푸코와의대담』

자본주의의부적응자들을위한변론
-피에르부르디외,『자본주의의아비투스-알제리의모순』

그들이‘문명인’이되기까지
-노르베르트엘리아스,『문명화과정I,II』

너무많이말한사나이
-카를로진즈부르그,『치즈와구더기-16세기한방앗간주인의우주관』

죽음과소녀
-롤랑바르트,『밝은방』

‘매트릭스’에서살고죽다
-장보드리야르,『시뮬라시옹』

하이브리드세계의‘방법서설’
-브뤼노라투르,『브뤼노라투르의과학인문학편지』

후기
침묵과우정의공간(이상길)

출판사 서평

시대의좌표를이룬책들
‘안쪽으로’11권의책들

책의1부는이윤영이다시읽은한국인저자의책11권으로꾸몄다.글쓸때분야를분류할의도는애초에없었지만,서평의대상은시인과소설가의문학작품이4권(조세희,김수영,박상륭,김석범)이고,인물과시대의기록이4권(김윤식,조영래,조은,손정목),문화와삶에대한글이3권(최순우,이오덕,법정)이다.

이윤영의문학비평은작가들의언어를세밀하게분석하면서도작품을낳은시대에대한조망을품고있다.“서평이초역사적위치를점하지않도록가급적현재한국사회의상황과연동시키는방식으로글을쓴다”는스스로의원칙에따른것이나,그래서‘지난날의책’이‘젊은날’의우리를읽었을뿐아니라여전히‘오늘날의사회’를읽고있다는점을의식한다.

“조세희의연작소설들은1975년과1978년사이에쓰여졌지만,40년이훌쩍넘게지나도어떤현실은바뀌지않는다.거의,또는전혀.”(18쪽)
“현재의역사를과거사로환원할수는없지만,과거사가현재의역사에빛을비춰줄수는있다.”(85쪽)

이광수의친일(김윤식),전태일의분신(조영래),가난에대한탐구(조은),서울에대한기록(손정목)을다룬글에선지금의한국사회와한국인을이루는심성,계급구조,공간과시간감각을되짚는다.

문화와삶에대한서평에서도그책의저자들이당대와투쟁했던일들을환기하며,당시어떤독자들은알았지만이제는많이잊혀진역사를오늘의독자들을위해소환한다.

하지만,그리하여이윤영의서평11편이그시대의책11권을들어한국의근현대사를논하는것은아니다.우리가지나간시대를기억할때,어떤대통령시절이었는지무슨정치적사변이있었는지를들수도있고어떤최신의전자제품이나왔는지무슨노래가유행했는지를기준삼을수도있겠지만,이윤영의글은지금의나를이룬것은그런정치나상품만이아닌그시대의책,그시대를앞선예리한지성,그래서어쩌면지금도기억하는하나의문장이기도했었구나,하는것을일깨워준다.그렇게기억하는역사가오롯이나의것이다.

‘우리를읽은책들’을다시펼쳐주는글이고마운이유다.

다른시대,다른나라‘책과의우정’
‘바깥으로’12권의책들

책의2부는이상길이다시읽은외국저자들의책12권으로꾸몄다.

문화연구의‘창설텍스트’로꼽히는리처드호가트(『교양의효용』)에서부터,역사(노르베르트엘리아스의‘문명사’,카를로긴즈부르그의‘미시사’),자본주의와현대사회분석(앙리르페브르의‘일상성’,피에르부르디외의‘아비투스’,발터벤야민의‘기술복제시대의예술’,어빙고프먼의‘자아연출의사회학’),지식의탄생과작동방식(미셸푸코의‘권력과지식’,브뤼노라투르의‘행위자-연결망이론’)을망라하며문화연구의핵심적저작들을모았다.

한국에선주로1990년대이후,(남한사회에서만의)격렬한이념투쟁을동구권의몰락과함께청산하며뒤늦게지식사회를유혹한‘서구권’의‘포스트모더니즘’조류라고흔히오해되는저작들이다.문화연구자이자꼼꼼한번역자로서이상길은이12권의‘외국서적’이출간된과정과국내수용의배경을서평마다환기시키며일종의‘번역사회학’을시도한다.

이상길이소개하는책들의서지사항만살펴보는것으로도흥미롭다.

“『권력과지식』은푸코의철학적여정을잘보여주는데,이미반세기전에나온글들의모음집이라는사실이믿기지않을만큼현재성을지니는여러주제―인민적정의,건강과질병,섹슈얼리티,진실의정치등등―를다루고있기도하다.”(172쪽)

푸코의『권력과지식』은1977년이탈리아에서나온편역서를참조해1980년영미권에서편집됐고국내번역은1991년이었다.

“『시뮬라시옹』이인터넷은고사하고IBMPC가겨우첫선을보인해(1981년)에나온저작이라는사실은지금도놀라운감이있다.”(224쪽)

장보드리야르의『시뮬라시옹』은1992년국내번역됐다.이책의‘영화적복제’라고도할만한‘매트릭스’(1999년)보다그나마빨리번역된것이다행이라고할판인데,참고로이책의일본어번역은1984년에나왔다.(심지어한국에도진출한일본생활잡화점‘무인양품(無印良品)’의이름(‘브랜드/상표/표지’가없어도좋은제품이란의미)은장보드리야르의『소비의사회』에서착상한것이다.일본공산당출신의기업가가제안한‘브랜드명’이다.)

이상길이펼친12권의책들은1980~1990년대한국사회의지적풍경을‘읽은’책들이기도하다.서투르게(오역이많았다는의미)번역됐어도그시대에충격을던져준‘외부’(서양)의사유.그러나돌아보면,지적지체나정체를떠나,우리가딱그시기였기에받아들인그책들은그시대에우리가부족했던/갈망했던그무엇인가를‘읽은’책들이다.

그래서“책을매개로우리는다른시대,다른나라의사람들과도진정한우정을나누는친구가될수있다”(24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