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섭, 편지화 : 바다 건너 띄운 꿈, 그가 이룩한 또 하나의 예술

이중섭, 편지화 : 바다 건너 띄운 꿈, 그가 이룩한 또 하나의 예술

$24.50
Description
가장 대중적이며 최고의 인기작이었으나
예술이 아닌 예술의 주변부로 여겨지던 이중섭 편지화의 독립선언
2016년 화가 이중섭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이중섭, 백년의 신화’ 전시장에서 사람들의 발걸음을 가장 붙잡은 것은 다름아닌 이중섭이 일본의 아내와 두 아이에게 보낸 편지들이었다. 한국전쟁으로 북한에서 내려와 난민이 된 이중섭이 생활고와 병마를 못 이겨 부득이하게 떨어져 살게 된 아내와 두 아이에게 보낸 편지마다에는 절절한 글과 함께 애틋한 마음을 담은 그림이 여백을 채우거나 상상과 희망을 넘나드는 한 점 그림이 백 마디 말을 대신하곤 했다.

1956년, 39세의 나이로 요절한 그의 슬프고 안타까운 생애는 천재 예술가의 비극적인 서사와 맞물려 이중섭을 이른바 신화의 주인공으로 만들었으며, 그를 둘러싼 뜨거운 열풍은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화가라는 수식으로까지 이어졌다. 그리고, 그에 관한 대중적 인기를 견인한 것으로는 그의 편지를 빼놓을 수 없다.

하지만 그가 바다 건너 가족들에게 띄운 편지화는 정작 오랜 시간 예술의 대상이라기보다 그의 생애를 서술하는 도구 또는 주변부로 여겨지곤 했다. 이러한 인식을 반영하기라도 하듯 이중섭이 편지봉투에 담아 일본의 가족들에게 보낸 숱한 편지들은 예술로서 전면에 서지 못한 채 때로는 그림인 듯 때로는 자료인 듯 편지의 정체를 감춘 채 대중 앞에 나서야 했다. 그렇게 오랜 시간 제대로 예술로서 자리매김하지 못한 이중섭의 편지화는 오랜 시간이 흐른 2023년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독립된 하나의 장르로 그 의미를 부여 받아 세상 앞에 서게 되었다.
저자

최열

1956년생.미술사학자.미술운동의소명을다하고서평생한국미술사연구에헌신했다.1993년한국근대미술사학회를창립하고,2005년인물미술사학회를창립했다.김복진,윤희순,김용준,고유섭,정현웅,하인두,이경성선생을기리는일을해왔다.
그가펴낸책은무수히많으나그가운데몇권을꼽자면『한국근대사회미술론』,『한국현대미술운동사』,『한국근대미술의역사』,『한국현대미술의역사』,『한국근대미술비평사』,『한국현대미술비평사』,『한국근현대미술사학』,『미술과사회』,『미술사입문자를위한대화』(공저),『옛그림으로본서울』,『옛그림으로본제주』등이있으며특히미술가전기로『김복진』,『권진규』,『박수근평전』,『이중섭평전』,『추사김정희평전』이있다.이러한저작들은그간대한민국학술원·문예진흥원·문화체육관광부등의우수도서로선정되었고,한국미술저작상·간행물문화대상·월간미술대상·정현웅연구기금을받기도했다.가장최근에는제4회혜곡최순우상을받았다.

목차

책을펴내며

서장序章

종장終章

제1장기원起原
낙원을향하여
피난전
엽서화
편지화
탄생배경
부산에홀로남아

부산시절의걸작들

제2장편지화,그림편지
“지금기운이넘쳐자신만만이오!”
“잘그렸구나!그림또그려서보내다오,아빠가”

통영시절의걸작들

제3장진화하는편지화
“내일부터소품전을위한제작에들어가오”
“나는더없는기쁨으로꽉차있소”

서울시절의걸작들

제4장편지화,삽화편지
삽화편지,편지에서작품으로
우리는연결되어있다

제5장종언終焉
저세상의문턱

대구시절의걸작들

절망과고통의땅으로
병상화

생애마지막의걸작들

부록
주註
이중섭주요연보
한눈으로보는편지화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