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사회의 필란트로피 : 필란트로피의 역사, 제도, 가치에 대하여 - 사랑의 열매 나눔총서 6

민주사회의 필란트로피 : 필란트로피의 역사, 제도, 가치에 대하여 - 사랑의 열매 나눔총서 6

$23.57
Description
민주사회에서 필란트로피가
수행하는 역할은 무엇인가?

필란트로피의 의무와 책임에 대하여
철학, 사회학, 정치학, 역사학, 법학 전문가들이 던지는 근본적인 질문
사랑의열매 나눔총서 06
사랑의열매 나눔총서는 우리 사회 나눔문화 확산을 위해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문화연구소’가 기획한 총서입니다. 나눔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 복지국가와 필란트로피, 비영리·기부·나눔 영역의 변화를 진단하고 미래를 제시하는 국내외 저서를 소개해, 나눔문화의 성숙을 이끌어 사회공동체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이 책은 국가가 좋은 사회와 민주주의를 위해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할 것인지, 변화하는 사회에서 필란트로피가 진정한 필란트로피가 되기 위해서 어떤 제도적 역할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암시를 분명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_최영준(연세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필란트로피는 어디에나 있다”

기부라는 선한 행위를 모르는 이는 없을 것이다. 요즘은 예전과 달리 기부에 대한 인식도 많이 바뀌었고, 동참하는 이들도 많아졌다. 우리 사회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필란트로피’, 즉 자선활동은 더 나은 삶을 위해 어떠한 행위를 하는 것으로, 그리스어의 친구를 뜻하는 ‘필로(philo)’에서 유래했으며 ‘인간에 대한 사랑’을 의미한다. 자선단체에 소수의 개인이 제공하는 대규모 기증품부터 대부분의 사람이 참여하는 소액의 기부금과 시간 기부에 이르기까지 여러 형태로 도움이 필요한 이들에게 나눔을 실천하는 것이 바로 ‘필란트로피’이다.
이번에 출간하는 『민주사회의 필란트로피-필란트로피의 역사, 제도, 가치에 대하여』에서는 미국 사회에서의 필란트로피의 기원과 제도, 도덕적 정당성 등을 검토하면서 민주사회에서 필란트로피가 지닌 역할과 정당성을 여러 학문 분야에 걸쳐 통합적으로 탐구하고 있다. 또한 변화하는 사회에서 진정한 필란트로피가 되기 위해서 어떤 제도적 역할을 필요한지, 좋은 사회와 민주주의를 위해서 국가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때로는 역사 속에서 때로는 현재의 제도 속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이 책의 저자들이 모두 같은 의견을 공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견해를 접할 수 있는데, 각 장에서는 자선 기부, 민간재단, 기업의 사회적 책임, 기부자 조언기금 등을 세세히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정의가 얼마나 다양하게 운용되고 해석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더불어 이러한 각 장이 독립된 형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관심 있는 분야나 특정 저자가 서술한 장을 선택해서 읽을 수 있다는 점 또한 이 책의 장점이기도 하다.

저자

롭라이히

저자:에릭비어봄(EricBeerbohm)
하버드대정부학교수이다.에드먼드J.사프라윤리센터대학원펠로십디렉터로재직중이며저서로는『우리의이름으로:민주주의의윤리InOurName:TheEthicsofDemocracy』(2012)가있다.

저자:루시베른홀츠(LucyBernholz)
스탠퍼드대선임연구원이자스탠퍼드디지털시민사회연구소의공동소장이다.재단센터(FoundationCenter)가발간하는필란트로피전망연감을담당하고있다.

저자:폴브레스트(PaulBrest)
스탠퍼드대법학명예교수이다.스탠퍼드로스쿨전학장이자윌리엄앤드플로라휼렛재단전이사장이기도하다.

저자:키아라코델리(ChiaraCordelli)
시카고대정치학조교수이다.분배적정의와비정부기구를주제로다수의논문을발표했다.

저자:아론호바스(AaronHorvath)
스탠퍼드대사회학박사과정생이자스탠퍼드필란트로피·시민사회센터연구원이다.

저자:조너선레비(JonathanLevy)
시카고대역사학교수이다.저서로『부의괴물:미국에서부상하는자본주의와위험의세계FreaksofFortune:TheEmergingWorldofCapitalismandRiskinAmerica』(2012)가있다.

저자:레이매도프(RayD.Madoff)
보스턴대로스쿨교수이다.저서로『불멸과법:죽은미국인들의떠오르는권력ImmortalityandtheLaw:TheRisingPoweroftheAmericanDead』(2010)이있다.

저자:라이언페브닉(RyanPevnick)
뉴욕대정치학부교수이다.저서로『이민과정의의제약ImmigrationandtheConstraintsofJustice』(2011)이있다.

저자:월터W.파월(WalterW.Powell)
스탠퍼드대교육학교수겸사회학,조직행동학,경영과학·공학,커뮤니케이션학,공공정책학예우교수이다.필란트로피·시민사회센터공동학장을역임하고있으며,저서와편저로는『조직과시장의출현TheEmergenceofOrganizationsandMarkets』(2012,존패짓과공저),『비영리부문:연구편람TheNonprofitSector:AResearchHandbook』(2006,리처드스타인버그와공동편저)등이있다.

저자:롭라이히(RobReich)
스탠퍼드대정치학교수로,철학및교육대학원예우교수를겸하고있다.사회윤리센터장,필란트로피·시민사회센터공동학장을역임하고있으며,저서와편저로는『미국교육의자유주의와다문화주의를잇는가교BridgingLiberalismandMulticulturalisminAmericanEducation』(2002),『교육,정의,민주주의Education,Justice,andDemocracy』(2013,대니엘앨런과공동편저)등이있다.

저자:올리비에준즈(OlivierZunz)
버지니아대역사학과코먼웰스교수이다.저서로는『불평등의변화양상TheChangingFaceofInequality』(1982),『미국의기업화MakingAmericaCorporate』(1990),『왜미국의세기인가WhytheAmericanCentury?』(1998),『미국의필란트로피:역사PhilanthropyinAmerica:AHistory』(2012)등이있다.

목차

발간사
감수의말
서문

1부기원

1장이타주의와비영리필란트로피의기원
조너선레비
2장필란트로피의역사는왜미국사의일부가아닌가?
올리비에준즈
3장민주국가에서재단의역할에관하여
롭라이히

2부제도적형태

4장기여하거나파괴하거나:새로운형태의필란트로피는민주주의를약화시키는가?
에런호바스,월터W.파월
5장기업의사회적책임과수익성의조화:성실한경영자를위한지침
폴브레스트
6장필란트로피는언제발생하는가?:
이질문에대한세법의해답이어떻게기부자조언기금을낳았으며,그것이왜문제인가?
레이D.메이도프
7장디지털시민사회구축:미국디지털공공도서관
루시베른홀츠

3부도덕적근거와한계

8장무상제공자문제:민간이제공하는공공의책임
에릭비어봄
9장필란트로피와민주주의적이상
라이언페브닉
10장배상적정의와재량적필란트로피의도덕적한계
키아라코델리

감사의글/주/참고문헌/찾아보기

출판사 서평

“필란트로피는어디에서나볼수있어야한다”

부자들은‘노블레스오블리주(noblesseoblige)’정신으로필란트로피를실행하고있다.이말은프랑스어로‘고귀한신분(귀족)’이라는노블레스와‘책임이있다’라는오블리주가합해진것으로,사회고위층들에게요구되는높은수준의도덕적의무를의미한다.우리나라에서노블레스오블리주를실천한대표적인예로경주최부잣집을들수있다.주변100리(40킬로미터)안에굶는사람이없도록곳간의문을열어놓거나가뭄에는땅을늘리지말라는최부잣집의육훈은참으로존경할만하다.이렇듯부자들은어려운이웃이나사회를위해자신의재산을기부해왔다.최근빌게이츠와워런버핏은‘더기빙플레지(TheGivingPledge,기부약정)’를만들어전세계부호들에게자기재산의절반이상을기부하도록독려하기도했다.
그러나우리가흔히알고있는것처럼필란트로피를남을위하거나사회에혜택을주기위한자발적기부행위로단순히정의할수없다고한다.이에사회학자,정치학자,역사학자,정치사상가,법학자등이한자리에모여민주사회속필란트로피의기원과제도유형,도덕적근거및한계에관해토론하면서필란트로피와민주주의의관계에대해살펴보았다.이책은그결과물로서다양한필란트로피활동을‘기원’‘제도적형태’‘도덕적근거와한계’등세부분으로나누어이야기하고있다.
먼저1부‘기원’에서조너선레비,올리비에준즈,롭라이히는끝없이변화하는필란트로피제도의속성,즉우리가민간의공익활동을법적으로어떻게제한해왔는지,이러한경계가더욱포괄적인정치적·사회적·지적가치를대변한다는사실에대해중점적으로소개하고있다.
이어2부‘제도적형태’에서에런호바스및월터파월,폴브레스트,레이메이도프,루시베른홀츠는다양한유형의특징을나타내는필란트로피활동의한계와가치를개괄적으로설명하고,전문화된비영리기업의성장,기부자조언기금의폭발적인증가,기업의사회적책임의도덕적한계,디지털시대의필란트로피를위한새로운도구와규칙의최근발전양상등에대해살펴본다.
마지막으로3부‘도덕적근거와한계’에서에릭비어봄,라이언페브닉,키아라코델리는필란트로피의사회적역할과도덕적한계에서의각기다른측면에대해이야기한다.또한이들은민주국가에서필란트로피가수행하지말아야할기능이있는지,개인기부자나재단모두필란트로피스트들이기부할때지켜야할윤리규범이있다면그것이무엇인지를고찰하기도한다.
필란트로피의역할은중요하다.그렇기에저자들은각자의위치에서필란트로피의제자리와제역할을찾기위한다양한이야기를들려준다.돈을나누어주는행위는인류만큼이나오래되었듯이필란트로피는우리사회에깊이내재되어있다.이책에서는필란트로피가가장활발한미국에초점을맞추어이야기하고있지만필란트로피는세계여러나라의모든삶의영역에서찾아볼수있다.필란트로피는우리사회어디에서나‘흔히’볼수있어야한다.

사랑의열매나눔총서06
사랑의열매나눔총서는우리사회나눔문화확산을위해‘사회복지공동모금회나눔문화연구소’가기획한총서입니다.나눔에대한인문학적고찰,복지국가와필란트로피,비영리·기부·나눔영역의변화를진단하고미래를제시하는국내외저서를소개해,나눔문화의성숙을이끌어사회공동체발전에기여하고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