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불가신 불가폐(不可信 不可廢)’
믿을 수도 없지만 안 믿을 수도 없다.
믿을 수도 없지만 안 믿을 수도 없다.
사주에 대해 우리는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바로 ‘불가신 불가폐’라는 말처럼 맏을 수도 없지만 안 믿을 수도 없다고 생각하고 있지 않을까.
『사주의 탄생』과 『권력과 풍수』의 저자 김두규가 이번에는 그 이야기를 인문학적 관점에서 풀어내기로 했다. 문답 형식으로 이루어진 이 책은 사주술이 단순히 미신, 통계, 과학이 아니라 동아시아에서 2,000년 역사를 통해 형성된 문화임을 강조한다.
사주술은 미신도, 통계도, 과학도 아니다.
사주술은 2,000년 역사를 통해 형성된 문화다!
이 책의 첫 질문은 “사주(四柱)도 인문학이라고요?”로 시작한다. 인문학이 여러 곳에서 오남용되는 것처럼 많은 사람들에게 사주가 인문학에 속한다는 것은 상당히 큰 반감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이에 대해 저자 김두규 교수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인문학은 이에 대한 학문, 즉 인간사(人間事)에 관한 학문을 말합니다. 인간사(人)란 너무 복잡하여 그 무늬(文), 즉 인문을 제대로 알 수 없습니다. 이때 하늘의 무늬인 천문(天文)과 땅의 이치인 지리(地理)를 바탕으로 인간사를 살피면 한 개인이나 집단의 운명을 객관화할 수 있다는 것이 동양적 사고였습니다. 따라서 인문학은 천문과 지리를 전제하지 않으면 파악할 수 없다는 논리가 됩니다.”
덧붙여 이때 천문은 사주와 점성술이고, 지리는 풍수라고 말한다. “‘사주인문학’이 억지 조어가 아님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이것이 이 책의 주제이자 방향”이라고 덧붙였다.
사회에 따라 달라지는 운명론,
사주 해석도 시대의 변화에 맞춰 바뀌어야 한다!
고려 시대는 원나라의 영향을 받아 별점을 중심으로 보았다. 별점 자체가 관학이었던 셈이다. 반면 조선은 농업과 유학(성리학)을 기반으로 하였고, 이에 따라 음양과 오행, 즉 칠성(七星)만을 바탕으로 하는 사주술이 주류를 이루었다. 국가의 근간이 어떠냐에 따라 주류가 되는 운명론도 달라지는 것이다.
고 배종호 교수(1919~1990)은 서양철학을 전공하였으나 한국철학의 대가가 된 사람이다. 그는 사주와 풍수를 ‘한국학’의 하나로 편입시키고자 하였고, 역술가들을 제도권 학회에 가입시켜 소통하려고 노력한 사람이다. 사주를 학문적으로 접근한 사람들은 다양하게 있지만, 아쉽게도 동양철학 교수들이 사주(시간의 철학)나 풍수(공간의 철학)을 철학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경우는 없었다.
저자는 “21세기 현대인은 직업도 다양하고, 세계화 다문화 성평등 사회로 나아가고 있어 기존의 봉건체제를 오행의 상생 상극으로 추상화하고 정당화하고자 했던 것이 민주주의 시대에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특정 사유의 틀에 얽매이기 보다는 끊임없이 새로운 가치관과 자아를 찾는다는 점에서 별점적 사주풀이, 즉 신살풀이가 더 타당하다고 주장한다. 작금의 사주 전문가들이 시대의 변화를 사주 해석의 주요 변수로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 문제라고 또한 지적했다. 봉건사회 구조를 반영하고 있던 사주 논리로 더 이상 해석해야 하지 말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IT · 무역 · 문화 · 관광을 바탕으로 하는 글로벌 시대이며 노마디즘 시대입니다. 그러므로 사주풀이도 달라야 합니다. 예컨대 과거 농경사회에서는 역마살 사주를 꺼렸습니다. 자주 떠돌아다니면 농사를 지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지금은 역마살이 있어야 무역 · 문화 · 관광 활동에 유리합니다. 도화살 · 홍염살 · 지살도 마찬가지입니다. 어떤 직업이냐에 따라 사주를 보는 방법이 달라져야 합니다.”
『사주의 탄생』과 『권력과 풍수』의 저자 김두규가 이번에는 그 이야기를 인문학적 관점에서 풀어내기로 했다. 문답 형식으로 이루어진 이 책은 사주술이 단순히 미신, 통계, 과학이 아니라 동아시아에서 2,000년 역사를 통해 형성된 문화임을 강조한다.
사주술은 미신도, 통계도, 과학도 아니다.
사주술은 2,000년 역사를 통해 형성된 문화다!
이 책의 첫 질문은 “사주(四柱)도 인문학이라고요?”로 시작한다. 인문학이 여러 곳에서 오남용되는 것처럼 많은 사람들에게 사주가 인문학에 속한다는 것은 상당히 큰 반감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이에 대해 저자 김두규 교수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인문학은 이에 대한 학문, 즉 인간사(人間事)에 관한 학문을 말합니다. 인간사(人)란 너무 복잡하여 그 무늬(文), 즉 인문을 제대로 알 수 없습니다. 이때 하늘의 무늬인 천문(天文)과 땅의 이치인 지리(地理)를 바탕으로 인간사를 살피면 한 개인이나 집단의 운명을 객관화할 수 있다는 것이 동양적 사고였습니다. 따라서 인문학은 천문과 지리를 전제하지 않으면 파악할 수 없다는 논리가 됩니다.”
덧붙여 이때 천문은 사주와 점성술이고, 지리는 풍수라고 말한다. “‘사주인문학’이 억지 조어가 아님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이것이 이 책의 주제이자 방향”이라고 덧붙였다.
사회에 따라 달라지는 운명론,
사주 해석도 시대의 변화에 맞춰 바뀌어야 한다!
고려 시대는 원나라의 영향을 받아 별점을 중심으로 보았다. 별점 자체가 관학이었던 셈이다. 반면 조선은 농업과 유학(성리학)을 기반으로 하였고, 이에 따라 음양과 오행, 즉 칠성(七星)만을 바탕으로 하는 사주술이 주류를 이루었다. 국가의 근간이 어떠냐에 따라 주류가 되는 운명론도 달라지는 것이다.
고 배종호 교수(1919~1990)은 서양철학을 전공하였으나 한국철학의 대가가 된 사람이다. 그는 사주와 풍수를 ‘한국학’의 하나로 편입시키고자 하였고, 역술가들을 제도권 학회에 가입시켜 소통하려고 노력한 사람이다. 사주를 학문적으로 접근한 사람들은 다양하게 있지만, 아쉽게도 동양철학 교수들이 사주(시간의 철학)나 풍수(공간의 철학)을 철학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경우는 없었다.
저자는 “21세기 현대인은 직업도 다양하고, 세계화 다문화 성평등 사회로 나아가고 있어 기존의 봉건체제를 오행의 상생 상극으로 추상화하고 정당화하고자 했던 것이 민주주의 시대에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특정 사유의 틀에 얽매이기 보다는 끊임없이 새로운 가치관과 자아를 찾는다는 점에서 별점적 사주풀이, 즉 신살풀이가 더 타당하다고 주장한다. 작금의 사주 전문가들이 시대의 변화를 사주 해석의 주요 변수로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 문제라고 또한 지적했다. 봉건사회 구조를 반영하고 있던 사주 논리로 더 이상 해석해야 하지 말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IT · 무역 · 문화 · 관광을 바탕으로 하는 글로벌 시대이며 노마디즘 시대입니다. 그러므로 사주풀이도 달라야 합니다. 예컨대 과거 농경사회에서는 역마살 사주를 꺼렸습니다. 자주 떠돌아다니면 농사를 지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지금은 역마살이 있어야 무역 · 문화 · 관광 활동에 유리합니다. 도화살 · 홍염살 · 지살도 마찬가지입니다. 어떤 직업이냐에 따라 사주를 보는 방법이 달라져야 합니다.”
믿을 수 없는 사주, 믿고 싶은 사주 : 김두규 교수의 ‘사주(四柱) 인문학’ 백문백답
$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