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우리 시대 내 어머니의 이야기
차별과 혐오와 싸운 삶과 생활의 기록
차별과 혐오와 싸운 삶과 생활의 기록
1950년생 이순희가 1970~1980년대에 아들 둘을 키우면서 쓴 육아 일기를 모았다. 일기는 1975년 10월 28일에 시작된다. 둘째 아들 형수를 낳은 날이다. 아이가 거꾸로 나왔다. 불길한 예감은 적중해 형수는 뇌성마비 판정을 받았다. 이순희는 그날 이후 매일 매일 용기를 냈다. 자신의 성별, 역할, 책임, 사랑, 행복, 정체성을 찾고자 애썼다. 그리고 변하기 시작했다. 아들이 아니라 시대 앞에서 절망했고, 온통 아들로 가득했던 세상을 자신으로 채워나갔다. 그 힘으로 다시 세상과 싸웠다. 고통을 숨기지 않았고, 침묵하지 않았다. 이 일기에 세상이 흔히 바라는 성공 스토리는 없다. 형수는 여전히 목발 없이 걷지 못하며, 이순희가 유명한 사람이 된 것도 아니다. 하지만 모자는 누구보다 환하게 웃으며 이 일기를 마무리한다.
일기는 겨우 스물다섯 살 여성이 부산에서 아이들을 키우면서 겪은 하루하루를 영화처럼 보여준다. 아이를 업고 연탄불에 밥을 지어야 했다. 아이의 목발 때문에 버스를 타는 것이 불가능한데 택시는 매번 잡히지 않았다. 형수를 특수학교 대신 일반 학교에 보냈고, 운동회와 소풍에도 꼭 참여했다. 뇌성마비에 관한 정보를 얻을 곳은 병원이나 물리치료실뿐이었다. 보조기를 여러 차례 바꿨지만, 국가의 보조를 받지 못했다. 시어머니는 늘 이유 없이 구박했고, 남편은 가족에게 무관심해 보였다. 이 모든 일들은 짝을 이뤄 매번 예고 없이 등장했다. 가슴이 덜컥 내려앉는 것 같았고, 싸우는 게 무서웠다. 통곡하고 싶었지만 울지 않았다. 특별해 보이지만, 그 시대 우리 엄마들의 일기장과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다.
일기는 겨우 스물다섯 살 여성이 부산에서 아이들을 키우면서 겪은 하루하루를 영화처럼 보여준다. 아이를 업고 연탄불에 밥을 지어야 했다. 아이의 목발 때문에 버스를 타는 것이 불가능한데 택시는 매번 잡히지 않았다. 형수를 특수학교 대신 일반 학교에 보냈고, 운동회와 소풍에도 꼭 참여했다. 뇌성마비에 관한 정보를 얻을 곳은 병원이나 물리치료실뿐이었다. 보조기를 여러 차례 바꿨지만, 국가의 보조를 받지 못했다. 시어머니는 늘 이유 없이 구박했고, 남편은 가족에게 무관심해 보였다. 이 모든 일들은 짝을 이뤄 매번 예고 없이 등장했다. 가슴이 덜컥 내려앉는 것 같았고, 싸우는 게 무서웠다. 통곡하고 싶었지만 울지 않았다. 특별해 보이지만, 그 시대 우리 엄마들의 일기장과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다.
통곡하고 싶었지만 : 50년생 이순희의 육아 일기
$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