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나의 페르소나

안녕, 나의 페르소나 : 박성준 평론집

$26.89
Description
'앙팡 테리블', 시인이자 문학평론가, 박성준의 첫 평론집.
시인이자 문학평론가, '앙팡 테리블' 박성준의 첫 평론집이 모던앤북스에서 출간되었다. 2009년 문학과사회 신인문학상에 시, 2013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평론이 당선되면서 시인이자 평론가로 활동을 시작한지 15년 만의 첫 평론집이다.
“시에 대한 그의 식견을 믿음직스럽게 했다”는 신춘문예 심사평(홍정선, 서영채)처럼, 그의 글은 시와 시인들의 다층적인 면을 파고들면서도, 친절하다. 어쩌면, 그 ‘믿음’은 문학에 대한 그의 치열함에서 시작된 고뇌의 다른 이름일지 모른다. ‘내가 내 기분을 묻는 일이 문학이었고, 내 부끄러움과 수치를 쓰는 게 문학이었으며 그런 절박한 마음으로 사랑하고, 쓰고, 울고, 또 그랬던 것이 문학이었다.’라는 그의 고백에서 알 수 있듯이 말이다. 그리고 세심한 독자라면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잘 세공된 논리와 더불어 그의 글이 친절하다고 느끼는 지점에 이르기까지 다가가면 갈수록, 시인이자 평론가라는, 페르소나의 뒷면에 어렴풋이 새겨진 무언가를. 또한, 그의 첫 시집『몰아 쓴 일기』에서 박성준의 절창을 독파했던 독자들은 기억할 것이다. 무게감과 함께 “논리적 곡예”를 연상시키는 문장을 쏟아내는 그의 긴장감들이 어떻게 형성되어 발화에까지 이르게 되었는지를. 그 치열함과 긴장감들은, 이제 평론이라는 형식을 빌어 시와 시인들을 비춘다. 아마도 이 지점에서는, 평론에서 시까지의 거리가, 평론가와 시인의 거리와 위상이 어떠해야 한다는 진술은 무의미해질지 모른다. 시인들의 의식 속으로, 또 문장과 의식 밖으로, 진자 운동을 하며 긴장감을 늦추지 않는 그의 글들이 너무나 촘촘한 논리로 짜여져 있기 때문이다.
돌이켜보면 그곳에는 언제나, 누군가를 이기는 것이 마음에 걸려 ‘늘 비기고 싶었다’고 말하던 청년이 있었다. 그리고 여기, 고작 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문학을 사랑하는 것밖에 할 줄 모르는 어른이 된 청년이 있다. 본 평론집의 서문에서, 그 둘은 이제 하나의 목소리로 다음과 같이 고백한다. 이 글들이 자신이 “늘 발견하고 싶은 ‘다른 시’였고 그토록 들춰보고 싶은 미래의 목소리들”이었다고. “그래서 나는 여기서 ‘비기고 싶은 나’를 만났다”라고. 그래서, 그의 평론은 윤동주에서 박인환을 지나 현대문학의 가장 첨예한 시인과 시편들을 파헤쳐 가면서도, 현대시의 또 다른 지형도를 그려낸, 이성과 논리의 페르소나를 가진 ‘몰아 쓴 시편’일지도.

저자

박성준q은

1986년 서울에서 태어나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9년『문학과사회』신인문학상에서 시, 2013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서 평론으로 등단했고, 박사학위 논문으로는「일제강점기 저항시의 낭만주의적 경향 연구: 이육사, 윤동주를 중심으로」(2018)가 있다. 시집으로『몰아 쓴 일기』와『잘 모르는 사이』, 합동시집『일곱번째 감 각-ㅅ』을 출간했으며, 공저로는 『한국 현대시의 공간 연구1, 2』,『한국문학사와 동인지 문학』,『윤곤강 문학 연구』,『모던 경성과 전후 서울』,『한국문학사와 동인지 문학』,『인공지능과 문학의 미래』등을 출간한 바 있다. 그 밖에 편저로는『구자운 전집』이 있다. 2015년 박인환 문학상을 수상했다.

목차

시인의 말 ㆍ 5



1부. 모글리 신드롬
모글리 신드롬 ㆍ 17
정재학, 황병승, 김행숙, 박상수, 김승일의 시
마이너스 벡터의 시와 줄어드는 주체들 ㆍ 36
이준규, 박지혜, 송승언, 임솔아의 시
나는 매번 시 쓰기가 재밌다는, 그런 친구들 ㆍ 63
움직일 수 있을 때까지 움직이는 시에 대하여 ㆍ 86
박주택, 황인찬의 시
행복한 질문하기 ㆍ 109
미래가 보이지 않는 동안에만 미래 ㆍ 122
황인찬, 김승일, 박희수의 시
아직 다 부르지 못한 이름들 ㆍ 141
황인찬, 김승일, 박준의 시
마이너스 벡터의 시와 줄어드는 주체들2 ㆍ 160
박상수, 최정진, 이우성의 시
나는 그 돌연변이 모두를 사랑할 수밖에 없다 ㆍ 179
이제니, 이준규, 황인찬, 송승언의 시
감당할 수 없는 나는 ㆍ 200
유계영, 김소형, 황유원의 시

2부. 빛의 가면과 확장
빛을 체험하고 포기하는 몇 가지 방식 ㆍ 225
안태운, 유이우, 백상웅의 시
비우지 않고, 확장하는, 증산되는 ㆍ 236
정다연, 한인준, 최정진의 시
이상한 나라에서 결코 또, 이상한 비전에 관한 소고 ㆍㆍㆍ250
윤성아, 배수연, 임솔아의 시
나의 친구를 불러보는 방식 ㆍ 263
성동혁, 정영효, 민구, 김승일의 시
가면쓰고 살아가기 ㆍ 276
박희수, 김은지, 김유미, 서윤후의 시

3부. 안녕, 나의 페르소나
말놀이⊂말 ㆍ 295
오은의 시
제로에서 함기석 찾기 ㆍ 307
함기석의 시
미끄러지는 아브젝시옹 ㆍ 316
이장욱의 시
미지로 보내는 편지 ㆍ 327
장이지의 시
‘완전한 정신적 자유’를 위하여 ㆍ 341
이윤학의 시
혼잣말을 하고 있을 나의 많은 술래들 ㆍ 354
하재연의 시
자폐에 동참하는 발가락‘얼굴 만들기’로 만든 얼굴 ㆍ 361
조혜은, 김성대의 시
사랑의 종말에서, 종합으로 ㆍ 373
박해람의 시
신성(神聖)이라 불러도 좋을까 ㆍ 382
김은상의 시
제로에서 플러스로 율동하는 시 ㆍ 393
이진양의 시

4부. 싸가지에 대한 단상
혐오, 모르고 지나가고 싶은 ㆍ 405
윤동주, 한하운의 시
박인환의 종로 시절 ㆍ 424
마리서사와 「거리」
‘싸가지’에 대한 단상 ㆍ 439
김승일의 세대론에 답하여

5부. 삶에 대한 이른 각서
느낌의 질량감, 꿈에 낀 백태(白態)를 찾아서 ㆍ 453
이성복 시집 『래여애반다라』
여름, 증발된 대상으로의 초대 ㆍ 464
황인찬 시집 『구관조 씻기기』
외재하는 주체 내재하는 관람객 ㆍ 469
박준 시집 『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
찰나에서 영원까지 ㆍ 477
박판식 시집 『나는 나와 어울리지 않는다』
대책없이, 모르는 날씨에게 ㆍ 482
김이듬 시집, 『히스테리아』
주머니 속에서 악수를 한다 ㆍ 486
김지녀 시집 『양들의 사회학』
얼굴에서 발견한‘얼’과‘굴’의 거리 ㆍ 491
정영 시집 『화류』
시적 인품과 수평 ㆍ 495
복효근 시집 『따뜻한 외면』
여전히 진행 중입니다 ㆍ 500
권혁웅 시집 『애인은 토막 난 순대처럼 운다』
삶에 대한 이른 각서 ㆍ 505
이성복 시집『어둠속의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