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scription
“인공지능은 인간보다 더 인간적이다!”
초지능 AI의 출현은 인류의 궁극적 위기인가?
아니면 인류 한계를 넘어설 새로운 희망인가?
인류와 초지능 AI의 미래에 관한 대담한 비전!
올해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제프리 힌튼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는 “최근 인공지능(AI) 개발 속도를 고려할 때 나는 5~20년 안에, 허사비스(노벨화학상 수상자·구글 딥마인드 CEO)는 10년 안에 초지능(ASI)이 등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AI를 어떻게 통제할 것인지 진지하게 고려할 때가 됐다”라고 우려했다. 소프트뱅크 손정의 회장도 “2035년까지 인간의 뇌보다 1만 배 더 똑똑한 인공 초지능이 개발될 것”이라고 했다.
이제 초지능의 출현은 막연히 과학소설이나 디스토피아 영화 같은 얘기가 아니라 임박한 문제다. 과연 초지능은 인류에게 궁극적 위기일까, 아니면 인류의 한계를 넘어 미래 존속을 가능하게 할 새로운 희망일까? 이 같은 논의는 ‘AI가 사람의 일자리를 빼앗는다’라는 당장의 현실적 함의를 넘어, 사람들에게 초지능에 대한 잠재적 두려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 같은 시점에 시의적절하게도, 초지능 AI의 등장과 인류와의 공존 가능성에 대해 지구 생태계의 맥락에서 모색하고 담대한 비전을 제시하는 책이 출간되었다. 복거일 작가의 『제4차 공생-초지능 시대의 인류』다. 우리 시대의 원로이자 과학소설 작가인 저자는 역사, 과학, 문화, 생물학, 수학, 철학을 넘나드는 통섭적 사고와 합리적 상상을 통해 인간과 초지능 AI의 공존 번영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저자는 초지능 AI의 출현 가능성이 기정사실화된 지금, 무엇보다 우리에게 절실한 것은 AI의 본질과 전망에 대한 지식, 그리고 AI와의 공존 번영을 모색하는 대담한 상상력이라고 강조한다.
『제4차 공생』은 초지능 시대를 이해하기 위한 선제적 지식으로서, 고대의 계산 도구로부터 현재의 챗GPT에 이르기까지의 발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설명한다. 간결하게 핵심을 찌르는 설명을 통해 중세의 계산 도구로부터 튜링기계, 전자 컴퓨터, 인터넷 등을 거쳐 양자컴퓨터에 이르는 과정을 일목요연하게 이해할 수 있다. 그런 일련의 과정을 지나 등장한 인공지능이 어떻게 진화해 오늘에 이르렀으며 초지능 출현의 가능성을 획득하게 되었는지에 관한 지식과 통찰을 얻을 수 있다.
이어 곧 도래할 초지능의 성격과 행태를 형성할 근본적 조건들을 탐색한다. ‘역사성, 비생물성, 합리성, 경제적 현실, 인류와의 협력 관계’ 등 초지능 AI를 규정할 요소들을 꼼꼼히 탐색해 일견 도발적이라 할 만한 결론에 이른다. AI가 수학적 존재라는 점에서 순수하게 ‘인간적’이라는 것. “AI는 인류의 인간적인 부분을 대표한다. 결국 AI는 인간보다 더 인간적이다!”
결국 『제4차 공생』은 초지능 AI에 대해 ‘공생’이라는 지구 생태계의 핵심 진화 원리를 적용해, 인류와 초지능 AI의 상생적 발전을 전망한다. 이것이 바로 책의 표제이기도 한 ‘제4차 공생’이다. 원핵생물들이 동·식물로 진화하는 ‘제1차 공생’, 다시 동·식물이 미생물과 함께 번창하는 ‘제2차 공생’, 인류가 동·식물을 길들이는 ‘제3차 공생’에 이어, 인류와 AI의 제4차 공생을 통한 지구 생태계의 진화 가능성을 예측한다.
다만 한 가지, AI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나타날 인간 지능의 쇠퇴 가능성만은 저자도 우려한다. 정확히는 인간 지능이 작동하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지탱하는 심리적 기능의 쇠퇴다. 2015년 한 동물실험에서는 늑대개가 평균 80%의 성공률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때, 사람이 길들인 개는 고작 5%에 그쳤다. 대부분 쉽게 과제를 포기하고 주인에게 도움을 청하며 돌아보는 모습을 보였다. 현실에서도 알파고의 충격적인 승리 이후 프로 바둑기사들은 이제 대국을 복기하기보다, AI 바둑 프로그램에 답을 구한다. 작가는 묻는다. “인간보다 우수한 지능이 나와 모든 일들에서 가장 나은 길을 이내 제시해주는 세상에서, 사람들은 어떻게 궁극적 지식을 추구하는 자세를 지녀갈 수 있는가?”
『제4차 공생』은 인류와 초지능 AI가 공생 관계를 통해 함께 진화해나갈 수밖에 없는 조건들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며, 그를 통해 인류 문명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구를 넘어 우주까지 나아가는 인간과 AI 사이의 위대한 협업과 모험을 상상한다. 체계적인 논리 구조를 따라 책을 읽다 보면 책 속 주장이 저자의 대담한 상상을 넘어서서 설득력 있고 실현 가능한 인류 미래의 비전임을 수긍하게 된다.
누구도 미래를 장담할 수 없지만, 막연한 두려움은 근거 없는 낙관만큼이나 위험하다. 이제 우리는 AI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초지능의 성격을 형성하는 조건에 대한 선행적 탐구를 통해, ‘초지능 시대’와 인류-AI의 ‘제4차 공생’에 대비해야 한다. 『제4차 공생』은 AI에 대한 체계적이고 선명한 지식을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저자의 통찰력 있고 담대한 상상력을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즐거움과 재미를 만끽할 수 있는 책이다. 초지능 시대의 도래가 임박한 지금, 모두가 꼭 읽어보아야 할 교양 인문서다.
아니면 인류 한계를 넘어설 새로운 희망인가?
인류와 초지능 AI의 미래에 관한 대담한 비전!
올해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제프리 힌튼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는 “최근 인공지능(AI) 개발 속도를 고려할 때 나는 5~20년 안에, 허사비스(노벨화학상 수상자·구글 딥마인드 CEO)는 10년 안에 초지능(ASI)이 등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AI를 어떻게 통제할 것인지 진지하게 고려할 때가 됐다”라고 우려했다. 소프트뱅크 손정의 회장도 “2035년까지 인간의 뇌보다 1만 배 더 똑똑한 인공 초지능이 개발될 것”이라고 했다.
이제 초지능의 출현은 막연히 과학소설이나 디스토피아 영화 같은 얘기가 아니라 임박한 문제다. 과연 초지능은 인류에게 궁극적 위기일까, 아니면 인류의 한계를 넘어 미래 존속을 가능하게 할 새로운 희망일까? 이 같은 논의는 ‘AI가 사람의 일자리를 빼앗는다’라는 당장의 현실적 함의를 넘어, 사람들에게 초지능에 대한 잠재적 두려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 같은 시점에 시의적절하게도, 초지능 AI의 등장과 인류와의 공존 가능성에 대해 지구 생태계의 맥락에서 모색하고 담대한 비전을 제시하는 책이 출간되었다. 복거일 작가의 『제4차 공생-초지능 시대의 인류』다. 우리 시대의 원로이자 과학소설 작가인 저자는 역사, 과학, 문화, 생물학, 수학, 철학을 넘나드는 통섭적 사고와 합리적 상상을 통해 인간과 초지능 AI의 공존 번영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저자는 초지능 AI의 출현 가능성이 기정사실화된 지금, 무엇보다 우리에게 절실한 것은 AI의 본질과 전망에 대한 지식, 그리고 AI와의 공존 번영을 모색하는 대담한 상상력이라고 강조한다.
『제4차 공생』은 초지능 시대를 이해하기 위한 선제적 지식으로서, 고대의 계산 도구로부터 현재의 챗GPT에 이르기까지의 발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설명한다. 간결하게 핵심을 찌르는 설명을 통해 중세의 계산 도구로부터 튜링기계, 전자 컴퓨터, 인터넷 등을 거쳐 양자컴퓨터에 이르는 과정을 일목요연하게 이해할 수 있다. 그런 일련의 과정을 지나 등장한 인공지능이 어떻게 진화해 오늘에 이르렀으며 초지능 출현의 가능성을 획득하게 되었는지에 관한 지식과 통찰을 얻을 수 있다.
이어 곧 도래할 초지능의 성격과 행태를 형성할 근본적 조건들을 탐색한다. ‘역사성, 비생물성, 합리성, 경제적 현실, 인류와의 협력 관계’ 등 초지능 AI를 규정할 요소들을 꼼꼼히 탐색해 일견 도발적이라 할 만한 결론에 이른다. AI가 수학적 존재라는 점에서 순수하게 ‘인간적’이라는 것. “AI는 인류의 인간적인 부분을 대표한다. 결국 AI는 인간보다 더 인간적이다!”
결국 『제4차 공생』은 초지능 AI에 대해 ‘공생’이라는 지구 생태계의 핵심 진화 원리를 적용해, 인류와 초지능 AI의 상생적 발전을 전망한다. 이것이 바로 책의 표제이기도 한 ‘제4차 공생’이다. 원핵생물들이 동·식물로 진화하는 ‘제1차 공생’, 다시 동·식물이 미생물과 함께 번창하는 ‘제2차 공생’, 인류가 동·식물을 길들이는 ‘제3차 공생’에 이어, 인류와 AI의 제4차 공생을 통한 지구 생태계의 진화 가능성을 예측한다.
다만 한 가지, AI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나타날 인간 지능의 쇠퇴 가능성만은 저자도 우려한다. 정확히는 인간 지능이 작동하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지탱하는 심리적 기능의 쇠퇴다. 2015년 한 동물실험에서는 늑대개가 평균 80%의 성공률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때, 사람이 길들인 개는 고작 5%에 그쳤다. 대부분 쉽게 과제를 포기하고 주인에게 도움을 청하며 돌아보는 모습을 보였다. 현실에서도 알파고의 충격적인 승리 이후 프로 바둑기사들은 이제 대국을 복기하기보다, AI 바둑 프로그램에 답을 구한다. 작가는 묻는다. “인간보다 우수한 지능이 나와 모든 일들에서 가장 나은 길을 이내 제시해주는 세상에서, 사람들은 어떻게 궁극적 지식을 추구하는 자세를 지녀갈 수 있는가?”
『제4차 공생』은 인류와 초지능 AI가 공생 관계를 통해 함께 진화해나갈 수밖에 없는 조건들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며, 그를 통해 인류 문명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구를 넘어 우주까지 나아가는 인간과 AI 사이의 위대한 협업과 모험을 상상한다. 체계적인 논리 구조를 따라 책을 읽다 보면 책 속 주장이 저자의 대담한 상상을 넘어서서 설득력 있고 실현 가능한 인류 미래의 비전임을 수긍하게 된다.
누구도 미래를 장담할 수 없지만, 막연한 두려움은 근거 없는 낙관만큼이나 위험하다. 이제 우리는 AI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초지능의 성격을 형성하는 조건에 대한 선행적 탐구를 통해, ‘초지능 시대’와 인류-AI의 ‘제4차 공생’에 대비해야 한다. 『제4차 공생』은 AI에 대한 체계적이고 선명한 지식을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저자의 통찰력 있고 담대한 상상력을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즐거움과 재미를 만끽할 수 있는 책이다. 초지능 시대의 도래가 임박한 지금, 모두가 꼭 읽어보아야 할 교양 인문서다.

제4차 공생 : 초지능 시대의 인류
$18.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