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삶의 원형을 복원해 가는 지극한 ‘마음’의 시학
‘채움’과 ‘희망’이라는 간단없는 인생론적 수행 원리와 존재의 심층에 내재된 생명 원리의 시집
시집 《떨려 온 아침 속으로 냅떠 달리다》는 한성근 시인의 여섯 번째 시집이다. 이번 시집은 첫 시집 《발자국》(2019)으로부터 《부모님 전 상서》(2020), 《바람의 길》(2021), 《채워지지 않는 시간》(2022), 《또 하나의 그리움》(2023)으로 이어져 온 시적 흐름을 계승하고 확장했다. 어둠에 묻혀 있는 빛을 찾아내고 발현시켜 마음의 문장으로 현재화해 온 과정 그 자체로 ‘시인 한성근’의 원체험과 닿아 있는 것이자 그것을 낱낱의 언어로 복원해 온 시간이었으며 언어의 현현을 보여준 이번 시집의 경개景槪가 빛으로 충일한 이유이다.
한성근 시인의 시는 삶이 부여한 지극한 미학적 순간을 선명하게 재현하면서 그 세계에 참여하는 역동적 개진의 목소리를 담아 왔다. 물론 그 목소리는 특유의 감동을 통한 순수한 삶의 회복 과정으로 훤칠하게 다가오는데, 이번 시집에서 그러한 특성은 유감없이 발휘되고 있다.
한성근 시인의 발원지와 귀속처를 동시에 알려 주는 핵심 키워드는 ‘희망이란 두 글자’이다. 시인은 세상의 수많은 언어 가운데 “희망이란 두 글자처럼 제 스스로를 일으켜 세워” 주는 말을 달리 알지 못한다. 그 “마음의 양식”이야말로 어둠 기운 햇살을 한 줌 고이 접어 간직해 주고, 장밋빛 속삭임처럼 다가와 가슴을 뜨겁게 해 주지 않았던가. 세월의 무게로 견디기 어려울 때마다 표지석처럼 새로운 의지를 가져다주는 원천으로서 희망은 굳건하기만 하다. 행복과 불행의 경계가 모호할 때마다 점차 나아질 성싶은 믿음으로 ‘희망’은 결국 폐기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시인은 “시련은 이렇게 태연스럽게 와서 생채기를 새긴 뒤에/아무렇지도 않게”(〈길 위의 인생〉) 지나쳐간 후에 “빙벽 끝에서부터 이제 막 쏟아져 내릴 것만 같은/번뇌를 벗어난 정토淨土”(〈눈[眼] 속에 눈[雪]을 묻으며〉)를 향하는 자신을 우뚝하게 세워간다. “끝 모를 황홀로 기어코 피어오를”(〈힘을 내서 다시 한 번〉) 희망의 사제司祭로 그는 우리에게 무한 긍정의 힘을 선사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한성근 시인은 제6시집 《떨려 온 아침 속으로 냅떠 달리다》에서 시간의 풍화 속에 스러져가는 삶에 대한 열정과 사물에 대한 관조와 연민을 통한 초월 의지를 바로 세우기 위해 채움과 희망이라는 인생론적 수행 원리를 수심 깊은 눈으로 바라다본 미학적 결실을 충일하게 담아내어 그리움에 아늑하고도 아득하게 감싸여 있는 마음의 움직임을 아름답게 선보이고 있다. 그리고 시집 곳곳에 배치되어 있는 우리말 시어들을 찾아보는 재미 또한 선사하고 있다.
시집 《떨려 온 아침 속으로 냅떠 달리다》는 한성근 시인의 여섯 번째 시집이다. 이번 시집은 첫 시집 《발자국》(2019)으로부터 《부모님 전 상서》(2020), 《바람의 길》(2021), 《채워지지 않는 시간》(2022), 《또 하나의 그리움》(2023)으로 이어져 온 시적 흐름을 계승하고 확장했다. 어둠에 묻혀 있는 빛을 찾아내고 발현시켜 마음의 문장으로 현재화해 온 과정 그 자체로 ‘시인 한성근’의 원체험과 닿아 있는 것이자 그것을 낱낱의 언어로 복원해 온 시간이었으며 언어의 현현을 보여준 이번 시집의 경개景槪가 빛으로 충일한 이유이다.
한성근 시인의 시는 삶이 부여한 지극한 미학적 순간을 선명하게 재현하면서 그 세계에 참여하는 역동적 개진의 목소리를 담아 왔다. 물론 그 목소리는 특유의 감동을 통한 순수한 삶의 회복 과정으로 훤칠하게 다가오는데, 이번 시집에서 그러한 특성은 유감없이 발휘되고 있다.
한성근 시인의 발원지와 귀속처를 동시에 알려 주는 핵심 키워드는 ‘희망이란 두 글자’이다. 시인은 세상의 수많은 언어 가운데 “희망이란 두 글자처럼 제 스스로를 일으켜 세워” 주는 말을 달리 알지 못한다. 그 “마음의 양식”이야말로 어둠 기운 햇살을 한 줌 고이 접어 간직해 주고, 장밋빛 속삭임처럼 다가와 가슴을 뜨겁게 해 주지 않았던가. 세월의 무게로 견디기 어려울 때마다 표지석처럼 새로운 의지를 가져다주는 원천으로서 희망은 굳건하기만 하다. 행복과 불행의 경계가 모호할 때마다 점차 나아질 성싶은 믿음으로 ‘희망’은 결국 폐기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시인은 “시련은 이렇게 태연스럽게 와서 생채기를 새긴 뒤에/아무렇지도 않게”(〈길 위의 인생〉) 지나쳐간 후에 “빙벽 끝에서부터 이제 막 쏟아져 내릴 것만 같은/번뇌를 벗어난 정토淨土”(〈눈[眼] 속에 눈[雪]을 묻으며〉)를 향하는 자신을 우뚝하게 세워간다. “끝 모를 황홀로 기어코 피어오를”(〈힘을 내서 다시 한 번〉) 희망의 사제司祭로 그는 우리에게 무한 긍정의 힘을 선사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한성근 시인은 제6시집 《떨려 온 아침 속으로 냅떠 달리다》에서 시간의 풍화 속에 스러져가는 삶에 대한 열정과 사물에 대한 관조와 연민을 통한 초월 의지를 바로 세우기 위해 채움과 희망이라는 인생론적 수행 원리를 수심 깊은 눈으로 바라다본 미학적 결실을 충일하게 담아내어 그리움에 아늑하고도 아득하게 감싸여 있는 마음의 움직임을 아름답게 선보이고 있다. 그리고 시집 곳곳에 배치되어 있는 우리말 시어들을 찾아보는 재미 또한 선사하고 있다.
떨려 온 아침 속으로 냅떠 달리다 - 읽고 싶은 시 7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