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눈떠 보니 혁신학교!’
교직 인생 첫 5년을 혁신학교에서 함께한 요즘 교사들의 ‘찐’ 이야기
각자 살아 온 경험도, 성향도, 가르치는 과목도 다른 네 사람이 교직을 향한 긴 공부 끝에 교육청의 첫 발령을 받아 처음 만난 곳은 서울의 한 혁신고등학교. 혁신학교의 시대적 의미가 무엇인지, 거대한 철학과 큰 뜻이 무엇인지는 모르지만, 어쨌든 발령받고 보니 혁신학교였다. 새롭고 어렵고 정신없는 신규 교사의 시기를 보내던 네 사람은 놀랍게도 어느새 학교를 좋아하고 있었다. 학창 시절 내내 그저 그랬던, 또는 벗어나고 싶었던 학교의 기억을 넘어, 교사가 되어 학교를 좋아하게 된 것이다. 네 사람은 첫 학교에서 신규 교사로 살아가며 학교에서 처음 배운 것, 시도하고 실패한 것, 작게나마 성공한 것들을 끊임없이 나누었고 하루가 멀다 하고 모여 나누었던 수다들이 어느새 인생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느꼈다. 학교생활이 힘들고 지친다는 흔한 수다로 시작한 이야기는 ‘애들 이상해’, ‘학교 이상해’로 끝나지 않고 ‘근데 학교 너무 좋아’, ‘근데 교사 재밌어’로 끝이 났다. 그리고 학교를 옮긴 후 지금까지도 서로의 학교 이야기 속에서 새로운 자극을 얻고 길을 찾으며 수다를 이어 가고 있다. 이 네 사람은 학교가 무엇을 하는 곳이어야 하는지를, 수업과 학급은 무엇을 위해 있는지를, 앞으로의 교직 인생을 어떻게 꾸려 나갈지를 고민하게 만든 첫 학교에서의 경험이 교직 인생의 큰 터닝 포인트가 되었다고 말한다. 그리고 두 번째 또 다른 혁신학교에서 어느덧 선배 교사로 성장해 나가고 있다. 이들은 학교의 어떤 순간순간들을 사랑하게 되었을까? 교사도 성장해 가는 존재임을, 교육은 매번 새로워지는 작업임을 깨달을 수 있었던 것은 무엇 때문이었을까? 행복한 교사, 고민하는 교사로 살아가게 만드는 것은 어떤 힘이었을까?
혁신학교는 계속되어야 할까,
앞으로 우리는 어떤 학교를 상상해야 할까?
끊임없이 배우고 성장하는 교사로, 정년까지 무기력해지지 않고 ‘살아 있는’ 교사로 남기 위해서 학교는 어떤 모습이면 좋을까? 저자들은 어쩌면 자신들이 운 좋게 좋은 사람들이 모여 있는 학교에서 첫 시작을 했고 마침 그 학교가 혁신학교였을 뿐이었는지도 모른다고 말한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학교의 고리타분함을 바꿔 보고자 하는 ‘한 사람’의 노력, 그리고 그에 호응하는 다른 한 사람의 노력이 모여 학교가 변화한다는 것, 이런 ‘한 사람’, ‘한 사람’을 혁신학교에서 만났고, 그 ‘한 사람’의 노력에 힘입어 학교의 모습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고민하는 교사가 되었다는 사실이다.
어느덧 두 번째 혁신학교에서 절반 이상의 시간을 보낸 지금, 저자들은 ‘탈혁신학교’를 꿈꾼다. 행복한 교육공동체의 미래는 모든 학교가 혁신학교로 지정되는 것이 아니다. 대한민국 학교 어디를 가도 ‘학교 참 좋다’고 했던 혁신학교의 장점을 발견할 수 있기를, 굳이 혁신학교를 찾아갔던 그 이유가 사라지는 미래, 혁신학교 안에서만 불렀던 ‘우리’가 더 넓게 확장되는 미래를 꿈꾼다고 저자들은 말한다.
그곳이 어디든 각자의 자리에서 교실과 수업을, 학교와 학교문화를 고민하는 교사라면 저자들의 이야기 속에서 아주 작은 단초라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교직 인생 첫 5년을 혁신학교에서 함께한 요즘 교사들의 ‘찐’ 이야기
각자 살아 온 경험도, 성향도, 가르치는 과목도 다른 네 사람이 교직을 향한 긴 공부 끝에 교육청의 첫 발령을 받아 처음 만난 곳은 서울의 한 혁신고등학교. 혁신학교의 시대적 의미가 무엇인지, 거대한 철학과 큰 뜻이 무엇인지는 모르지만, 어쨌든 발령받고 보니 혁신학교였다. 새롭고 어렵고 정신없는 신규 교사의 시기를 보내던 네 사람은 놀랍게도 어느새 학교를 좋아하고 있었다. 학창 시절 내내 그저 그랬던, 또는 벗어나고 싶었던 학교의 기억을 넘어, 교사가 되어 학교를 좋아하게 된 것이다. 네 사람은 첫 학교에서 신규 교사로 살아가며 학교에서 처음 배운 것, 시도하고 실패한 것, 작게나마 성공한 것들을 끊임없이 나누었고 하루가 멀다 하고 모여 나누었던 수다들이 어느새 인생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느꼈다. 학교생활이 힘들고 지친다는 흔한 수다로 시작한 이야기는 ‘애들 이상해’, ‘학교 이상해’로 끝나지 않고 ‘근데 학교 너무 좋아’, ‘근데 교사 재밌어’로 끝이 났다. 그리고 학교를 옮긴 후 지금까지도 서로의 학교 이야기 속에서 새로운 자극을 얻고 길을 찾으며 수다를 이어 가고 있다. 이 네 사람은 학교가 무엇을 하는 곳이어야 하는지를, 수업과 학급은 무엇을 위해 있는지를, 앞으로의 교직 인생을 어떻게 꾸려 나갈지를 고민하게 만든 첫 학교에서의 경험이 교직 인생의 큰 터닝 포인트가 되었다고 말한다. 그리고 두 번째 또 다른 혁신학교에서 어느덧 선배 교사로 성장해 나가고 있다. 이들은 학교의 어떤 순간순간들을 사랑하게 되었을까? 교사도 성장해 가는 존재임을, 교육은 매번 새로워지는 작업임을 깨달을 수 있었던 것은 무엇 때문이었을까? 행복한 교사, 고민하는 교사로 살아가게 만드는 것은 어떤 힘이었을까?
혁신학교는 계속되어야 할까,
앞으로 우리는 어떤 학교를 상상해야 할까?
끊임없이 배우고 성장하는 교사로, 정년까지 무기력해지지 않고 ‘살아 있는’ 교사로 남기 위해서 학교는 어떤 모습이면 좋을까? 저자들은 어쩌면 자신들이 운 좋게 좋은 사람들이 모여 있는 학교에서 첫 시작을 했고 마침 그 학교가 혁신학교였을 뿐이었는지도 모른다고 말한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학교의 고리타분함을 바꿔 보고자 하는 ‘한 사람’의 노력, 그리고 그에 호응하는 다른 한 사람의 노력이 모여 학교가 변화한다는 것, 이런 ‘한 사람’, ‘한 사람’을 혁신학교에서 만났고, 그 ‘한 사람’의 노력에 힘입어 학교의 모습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고민하는 교사가 되었다는 사실이다.
어느덧 두 번째 혁신학교에서 절반 이상의 시간을 보낸 지금, 저자들은 ‘탈혁신학교’를 꿈꾼다. 행복한 교육공동체의 미래는 모든 학교가 혁신학교로 지정되는 것이 아니다. 대한민국 학교 어디를 가도 ‘학교 참 좋다’고 했던 혁신학교의 장점을 발견할 수 있기를, 굳이 혁신학교를 찾아갔던 그 이유가 사라지는 미래, 혁신학교 안에서만 불렀던 ‘우리’가 더 넓게 확장되는 미래를 꿈꾼다고 저자들은 말한다.
그곳이 어디든 각자의 자리에서 교실과 수업을, 학교와 학교문화를 고민하는 교사라면 저자들의 이야기 속에서 아주 작은 단초라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굿바이 혁신학교 : 탈혁신학교를 꿈꾸는 요즘 교사들의 학교 이야기
$1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