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고난의 땅을 다지고 눈물로 기단을 세우고 올린 석탑
- 최정란 산문집 『나는 아직도 몽고반점이 있다』
춘천에서 문학 활동을 하고 있는 수필가 최정란가 등단 후 첫 산문집 『나는 아직도 몽고반점이 있다』를 펴냈다.
수필가 최정란은 2020년 『수필 문학』으로 등단했고, 2020년 김유정 기억하기 제27회 전국 문예작품 공모에서 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다. 최근에는 전유호 시인에게 시를 사사하며 시 창작에도 최선을 다하고 있다.
최정란 작가의 시 스승인 전윤호 시인은 이번 산문집을 이렇게 평한다.
“말하자면 그녀는 삼층 석탑 같다. 한 천 년 이어 내려온 고난의 땅을 다지고 눈물로 기단을 세우고 올린 석탑 말이다. 한 층에는 부모 형제에 대한 서원이 깃들어 있고 한 층에는 남편과 자식들의 사원이 있는데 정작 그녀의 방은 남은 한 칸에서도 보이지 않는다. 그렇다면 아직 그녀는 자신의 방을 준비하고 있는 중인지도 모르겠다. 풍파를 견디며 몸속에 쌓인 어진 사리들이 주렁주렁 장엄하게 열리는 그런 방 말이다.
나는 결국 머리 위에 문학이라는 보주를 이고 있을 최정란의 삼층 석탑을 예견한다. 물과 불의 시대를 견디고 살아남아 풍경 소리 딸랑 딸랑 살아나는 밤에 누군가의 간절한 탑돌이를 받는 그런 탑 말이다.”
최정란 작가는 이번 산문집을 펴낸 소감과 향후 글쓰기에 관해 이렇게 밝혔다.
“아주 오래전 글쓰기를 접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제대로 배워본 적 없이 혼자 끄적거리던 글이 라디오에 방송되고 전파를 탈 때 신기하고 반가웠지만, 정신없이 휘몰아쳐 끌려가느라 아예 잊고 살았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이삿짐을 정리하다가 튀어나온 노트 한 권이 눈길을 끌었고 펼쳐 보면서 다시 시작된 끄적임이 오늘 책이 되었습니다. 말은 공기 속으로 사라지지만 글은 남습니다. 지구상에 처음 등장한 인류가 오스트랄로피테쿠스라는 것도, 누군가의 기록이 있었으니 알 수 있었겠지요. 글은 모든 문화의 시작이자 끝입니다. 제 글을 읽고 인터넷에 댓글을 달아주실 때 가장 많이 적혀 있는 것이 ‘글이 쉽게 잘 읽힌다.’는 말이었습니다.
저는 쉽게 읽히면서 많은 사람이 공감하는 글을 쓰고 싶습니다. 어렵고 난해하게 치장하는 글보다 읽으면서 공감되는 산문, 읽을 때 머리에서 그림이 그려지는 시를 쓰고 싶습니다. 현대시는 너무 난해해서 일반인들이 쉽게 접할 수 없는 난해시들이 많습니다. 사람들이 오랫동안 잊지 않고 애송하는 시들은 난해시가 아닙니다.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글을 오래 쓰고 싶습니다.”
이번 산문집의 가장 큰 주제는 어쩌면 “시련은 있어도 포기는 없다.”라는 문장과 “신은 인간에게 선물을 줄 때, 시련이라는 포장지에 싸서 준다.”라는 문장으로 요약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혹은 “인생의 어려움은 그 어려움을 똑바로 마주하는 사람에게는 잔잔한 파도로 다가오지만, 피하는 사람에게는 큰 파도처럼 밀려온다.”(히버 제이 그랜트, Heber J. Grant)라는 문장으로 요약할 수도 있을지 모르겠다. 금수저로 태어났든 흙수저로 태어났든 반드시 파고는 닥치기 마련이다. 중요한 것은 그 파고를 대하는 삶의 태도일 뿐이다.
최정란 작가는 지금까지 살면서 온갖 풍파와 거대한 파고와 맞닥뜨렸지만 결코 물러선 적이 없었고 마침내 풍파를 뚫고 파고를 넘어 잔잔한 바다를 항해 중이다. 시련이라는 포장지를 뜯어내고 마침내 신이 준 선물을 품에 안은 것이다. 시련의 포장지에 담긴 신의 선물은 바로 글쓰기였고 그는 지금 시인으로 수필가로 하루하루 자신이 살아온 삶을 시와 산문에 담아내고 있다. 그의 문장은 쉽다. 그러나 그의 문장에 담긴 지난한 세월, 간난신고의 세월은 결코 간단하지 않다. 지금 삶이 지치고 힘들다고 느껴진다면, 지금 눈앞에 닥친 고난의 파도가 감당하기 어렵다고 느껴진다면, 일독을 권한다.
- 최정란 산문집 『나는 아직도 몽고반점이 있다』
춘천에서 문학 활동을 하고 있는 수필가 최정란가 등단 후 첫 산문집 『나는 아직도 몽고반점이 있다』를 펴냈다.
수필가 최정란은 2020년 『수필 문학』으로 등단했고, 2020년 김유정 기억하기 제27회 전국 문예작품 공모에서 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다. 최근에는 전유호 시인에게 시를 사사하며 시 창작에도 최선을 다하고 있다.
최정란 작가의 시 스승인 전윤호 시인은 이번 산문집을 이렇게 평한다.
“말하자면 그녀는 삼층 석탑 같다. 한 천 년 이어 내려온 고난의 땅을 다지고 눈물로 기단을 세우고 올린 석탑 말이다. 한 층에는 부모 형제에 대한 서원이 깃들어 있고 한 층에는 남편과 자식들의 사원이 있는데 정작 그녀의 방은 남은 한 칸에서도 보이지 않는다. 그렇다면 아직 그녀는 자신의 방을 준비하고 있는 중인지도 모르겠다. 풍파를 견디며 몸속에 쌓인 어진 사리들이 주렁주렁 장엄하게 열리는 그런 방 말이다.
나는 결국 머리 위에 문학이라는 보주를 이고 있을 최정란의 삼층 석탑을 예견한다. 물과 불의 시대를 견디고 살아남아 풍경 소리 딸랑 딸랑 살아나는 밤에 누군가의 간절한 탑돌이를 받는 그런 탑 말이다.”
최정란 작가는 이번 산문집을 펴낸 소감과 향후 글쓰기에 관해 이렇게 밝혔다.
“아주 오래전 글쓰기를 접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제대로 배워본 적 없이 혼자 끄적거리던 글이 라디오에 방송되고 전파를 탈 때 신기하고 반가웠지만, 정신없이 휘몰아쳐 끌려가느라 아예 잊고 살았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이삿짐을 정리하다가 튀어나온 노트 한 권이 눈길을 끌었고 펼쳐 보면서 다시 시작된 끄적임이 오늘 책이 되었습니다. 말은 공기 속으로 사라지지만 글은 남습니다. 지구상에 처음 등장한 인류가 오스트랄로피테쿠스라는 것도, 누군가의 기록이 있었으니 알 수 있었겠지요. 글은 모든 문화의 시작이자 끝입니다. 제 글을 읽고 인터넷에 댓글을 달아주실 때 가장 많이 적혀 있는 것이 ‘글이 쉽게 잘 읽힌다.’는 말이었습니다.
저는 쉽게 읽히면서 많은 사람이 공감하는 글을 쓰고 싶습니다. 어렵고 난해하게 치장하는 글보다 읽으면서 공감되는 산문, 읽을 때 머리에서 그림이 그려지는 시를 쓰고 싶습니다. 현대시는 너무 난해해서 일반인들이 쉽게 접할 수 없는 난해시들이 많습니다. 사람들이 오랫동안 잊지 않고 애송하는 시들은 난해시가 아닙니다.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글을 오래 쓰고 싶습니다.”
이번 산문집의 가장 큰 주제는 어쩌면 “시련은 있어도 포기는 없다.”라는 문장과 “신은 인간에게 선물을 줄 때, 시련이라는 포장지에 싸서 준다.”라는 문장으로 요약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혹은 “인생의 어려움은 그 어려움을 똑바로 마주하는 사람에게는 잔잔한 파도로 다가오지만, 피하는 사람에게는 큰 파도처럼 밀려온다.”(히버 제이 그랜트, Heber J. Grant)라는 문장으로 요약할 수도 있을지 모르겠다. 금수저로 태어났든 흙수저로 태어났든 반드시 파고는 닥치기 마련이다. 중요한 것은 그 파고를 대하는 삶의 태도일 뿐이다.
최정란 작가는 지금까지 살면서 온갖 풍파와 거대한 파고와 맞닥뜨렸지만 결코 물러선 적이 없었고 마침내 풍파를 뚫고 파고를 넘어 잔잔한 바다를 항해 중이다. 시련이라는 포장지를 뜯어내고 마침내 신이 준 선물을 품에 안은 것이다. 시련의 포장지에 담긴 신의 선물은 바로 글쓰기였고 그는 지금 시인으로 수필가로 하루하루 자신이 살아온 삶을 시와 산문에 담아내고 있다. 그의 문장은 쉽다. 그러나 그의 문장에 담긴 지난한 세월, 간난신고의 세월은 결코 간단하지 않다. 지금 삶이 지치고 힘들다고 느껴진다면, 지금 눈앞에 닥친 고난의 파도가 감당하기 어렵다고 느껴진다면, 일독을 권한다.
나는 아직도 몽고반점이 있다
$1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