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혼자 태어나고 혼자 자라나는 스무 살들에게 바치는 헌사
- 김진솔 시집 『흔적 기관』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재학 중인 스물세 살의 젊은 시인 김진솔이 두 번째 시집 『흔적 기관』을 펴냈다. 달아실기획시집 26번으로 나왔다.
김진솔 시인에게 이번 시집의 집필 동기와 독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 그리고 향후 계획을 묻자 이렇게 답했다.
“저만의 언어로 쓰려고 최선을 다했고, 그 뒤로는 모르는 이의 시선을 빌려 그것들을 오래 읽었습니다. 스스로의 첫 독자가 되는 일은 아주 많이 부끄러웠고 가끔 괴로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행복했어요. 쓰고 읽고 다듬기를 반복하며 완성된 마흔 편 가까이 되는 시들을 ‘흔적 기관’이라는 이름 아래 묶어 세상에 보이면서 가장 먼저, 이게 제 세계입니다, 하고 말하고 싶었습니다. 제가 시를 어떻게 사랑해 왔는지, 제 세계 안에서 얼마나 많은 사소하고 또 거대한 충돌들이 일어나왔는지, 또 그것이 어떻게 시의 몸을 입고 태어나는지 같은 것들을 담고 싶었다고 말입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사랑하는 마음으로 썼습니다. 충돌과 갈등의 언어를 도구로 삼아 시를 쓰지만 그럼에도 저의 세계가 사랑을 연료 삼아 굴러간다고 믿어요. 제가 아직 부족한 것을 알기에 그 마음이 읽는 이에게 온전히 전해질지 가늠하기 어렵지만, 저 나름대로는 사랑의 세계로 통하는 문을 열어두기 위해 최선을 다했습니다. 조심스럽게 발을 들여놓아주시는 분이 계신다면 정말 기쁘고 반가울 것 같아요.”
“저는 고작 스물 몇 해를 살아왔습니다. 그러므로 아주 먼 훗날 『흔적 기관』을 읽거나, 이맘때 썼던 혹은 말했던 제 시에 관한 이야기들을 다시 듣게 된다면 분명히 아주 많이 부끄러워질 것입니다. 그러나 계속 쓸 겁니다. 한 세계에 머무르지 않고 그 너머로 나아가기 위해 늘 담벼락 너머를 흘끔거리고 싶습니다. 스스로를 끝없이 부끄러워할 수 있단 건 끝없이 커지고 넓어지는 사람의 특권 아닐까 하고 생각하거든요. 그러니 거창한 계획은 없습니다. 『흔적 기관』을 소중하게 품에 안은 채로 열심히 살면서 치열하게 쓰겠습니다.”
인터뷰에서 김진솔 시인은 자신을 끝없이 낮추었지만, 해설을 쓴 오민석 교수는 이번 시집을 높게 평가했다. 오 교수는 이번 시집을 “타나토스, 죽음 혹은 세계의 끝에 대한 사유”라고 정의하면서 다음과 같이 평했다.
“김진솔은 왜 그리 멀리 갈까. 그녀는 왜 에로스 너머 혹은 에로스 내부의 타나토스에 주목할까. 그녀는 왜 절단되고 끊어지고 잘라내는 것들의 실존을 응시할까. 이 시집엔 왜 그렇게 많은 죽음이 출몰할까. 존재의 시초, 탄생, 기원을 빈번히 사유하면서도 왜 그녀의 시선은 항상 세계의 끝에 가 있을까. 이 시집을 읽으며 나는 내내 이런 질문에 휩싸였다. 그리고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나는 모리스 블랑쇼에게서 찾았다. ‘존재는 존재가 아니라 존재의 결여이다.’ 블랑쇼가 말하는 ‘존재의 결여’는 ‘삶을 쇠퇴시키고 포착하기 힘든 무참한 금단으로부터 나오는 절규로밖에는 표현하기 어려운 것으로 만드는 살아 있는 결여’이다. 블랑쇼의 말마따나 존재는 존재에 이르기 전에 이미 존재를 결여한다. 존재는 단 한 번도 존재가 된 적이 없다. 존재는 오로지 존재의 결여로 살아 있다.”
붉은 원
그 밑에서부터 끓어오르는 긴 울음이 있다
주제를 모르는 피조물들을 전부 없애고 새로 지으라는 계시
거대한 몸체는 천천히 뒤집힌다 흰 배가 열리고
꿀럭이며 퍼져 나가는 저주
이제 잡혀 죽는 것은 너희일 거야,
그 목소리를 따라
물로 된 장벽이 천천히 걸어 나오고
검게 반들거리는 비늘과 아가미의 군대가
파도를 앞질러 터지듯 쏟아지니 비로소 전복의 순간
손쉽게 사냥당하던 목숨들이
붕괴되는 수평선을 뒤로하고 전진하는 광경
이제야 공평하다
뒤집히는 세계를 맞이하기 위해
성문을 열어젖히듯 두 팔을 벌린다 이제 전부 쓸려가고
나도 왔던 곳으로 돌아가리라
물로 뒤덮인 세계에서 작살은 속도를 잃을 것이다
- 「고래 사냥」 부분
“시집의 맨 처음에 배치한 이 시는 이번 시집 전체의 큰 그림을 잘 보여준다. 시인은 세계의 가장 먼 외곽에서 세계로 밀고 들어오는 신의 존재 혹은 신의 강력한 힘을 항상 의식하고 있다. 이것을 신학 용어로 신-의식이라 한다면, 김진솔은 항상 신-의식의 상태에 있다고 해도 된다. 이런 신-의식의 모티프들은 그러나 시인에게 존경과 숭배의 대상들이 아니다. 그것들은 삶과 세계의 가장 큰 외곽에서 당위와 정언명령의 형태로 다가오는 거대한 힘들이다. 이 힘은 항상 피조물들, 즉 결여로서의 존재들을 향하고 있다. 이 거대한 힘에 도저히 저항할 수 없는 결여-존재들은 항상 죽음의 문턱에 있다. 죽음이야말로 결여-존재들의 삶에 항구적인 배경이 된다. 그러므로 시인의 존재-물음은 죽음에 관한 것일 수밖에 없고, 죽음충동(타나토스)에 대한 자의식일 수밖에 없다. 위 작품의 ‘고래’는 그런 운명의 ‘사냥’에 저항(역행)하는 결여-존재의 거대한 몸이다. 결여가 현전을 향해 거는 이 싸움이야말로 신화를 거꾸로 돌리려는 전복의 상상력이 아니고 무엇인가.”
“김진솔의 시집은 분명하게도 절대적인 진리, 통합된 주체, 투명한 매체로서의 언어 개념 모두를 의심하는 반(反)형이상학의 자리에 서 있다. 시인은 그 프레임의 먼 외곽에 신을, 그리고 신으로부터 잘려 나간 주체를 그 반대편에 배치한다. 그 사이에서 일어나는 영혼의 전쟁은 치열하고, 끔찍하고, 아프다. 그러나 시인은 그 사유의 어떤 파편들도 함부로 버리거나 포기하지 않는다.”
이번 시집을 편집한 박제영 시인은 이렇게 얘기한다.
“밀레니엄 버그로 인류가 멸망할 듯 야단법석이었던 이십세기 마지막 해에 태어난 그의 문장은 계율을 깬 사제의 번민으로 얼룩져 있었다. 그의 문장을 따라가다 보면 파계한 비구니이거나 수녀일지도 모른다는 선입견은 어쩌면 당연한 수순일지도 모른다. 문장을 수선하려면 먼저 문장에 깊게 배인 파계의 얼룩을 지워야 한다고 하자 자기도 그것 때문에 수선을 맡긴 것이라 했다. 얼룩을 지우고 나자 조금씩 드러나는 스무 살의 문장들. 스무 살이 목도하고 있는 물과 불과 모래바람으로 뒤덮인 황야, 혼돈과 아수라의 세계. 정수리부터 붕괴된, 파편으로 흩어진 산산 조각난 세계. 부모를 버리고 새로 조합된 새빨간 참말로 무장한 아이들의 세계. 헛소리와 헛소리와 헛소리가 뭉친 네버랜드. 세기말적인 풍경들. 그리고 마침내 살려달라는 단말마의 비명. 그랬다. 스무 살이 묵도하고 있는 지금의 세상은 그런 풍경이었다. 아니면 지금 이 순간에도 혼자 태어나고 혼자 자라나는 스무 살들에게 바치는 헌사일 텐데 귀먹고 눈먼 어른들은 결코 볼 수 없겠다.”
김진솔 시인은 이제 겨우 약관(弱冠)의 나이를 넘겼다. 그런 그가 보여주고 있는 시세계는 사뭇 깊고 세계를 바라보는 그의 시선은 적나라하기 그지없다. 그가 자신의 시세계를 어디까지 넓히고 얼마나 깊이 내려갈지, 세계를 바라보는 시선은 또 얼마나 더 정치해지고 정교해질지 벌써부터 설레고 궁금하다. 어느 분야든 뛰어난 신인의 등장은 언제나 반갑고 즐거운 일이다.
- 김진솔 시집 『흔적 기관』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재학 중인 스물세 살의 젊은 시인 김진솔이 두 번째 시집 『흔적 기관』을 펴냈다. 달아실기획시집 26번으로 나왔다.
김진솔 시인에게 이번 시집의 집필 동기와 독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 그리고 향후 계획을 묻자 이렇게 답했다.
“저만의 언어로 쓰려고 최선을 다했고, 그 뒤로는 모르는 이의 시선을 빌려 그것들을 오래 읽었습니다. 스스로의 첫 독자가 되는 일은 아주 많이 부끄러웠고 가끔 괴로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행복했어요. 쓰고 읽고 다듬기를 반복하며 완성된 마흔 편 가까이 되는 시들을 ‘흔적 기관’이라는 이름 아래 묶어 세상에 보이면서 가장 먼저, 이게 제 세계입니다, 하고 말하고 싶었습니다. 제가 시를 어떻게 사랑해 왔는지, 제 세계 안에서 얼마나 많은 사소하고 또 거대한 충돌들이 일어나왔는지, 또 그것이 어떻게 시의 몸을 입고 태어나는지 같은 것들을 담고 싶었다고 말입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사랑하는 마음으로 썼습니다. 충돌과 갈등의 언어를 도구로 삼아 시를 쓰지만 그럼에도 저의 세계가 사랑을 연료 삼아 굴러간다고 믿어요. 제가 아직 부족한 것을 알기에 그 마음이 읽는 이에게 온전히 전해질지 가늠하기 어렵지만, 저 나름대로는 사랑의 세계로 통하는 문을 열어두기 위해 최선을 다했습니다. 조심스럽게 발을 들여놓아주시는 분이 계신다면 정말 기쁘고 반가울 것 같아요.”
“저는 고작 스물 몇 해를 살아왔습니다. 그러므로 아주 먼 훗날 『흔적 기관』을 읽거나, 이맘때 썼던 혹은 말했던 제 시에 관한 이야기들을 다시 듣게 된다면 분명히 아주 많이 부끄러워질 것입니다. 그러나 계속 쓸 겁니다. 한 세계에 머무르지 않고 그 너머로 나아가기 위해 늘 담벼락 너머를 흘끔거리고 싶습니다. 스스로를 끝없이 부끄러워할 수 있단 건 끝없이 커지고 넓어지는 사람의 특권 아닐까 하고 생각하거든요. 그러니 거창한 계획은 없습니다. 『흔적 기관』을 소중하게 품에 안은 채로 열심히 살면서 치열하게 쓰겠습니다.”
인터뷰에서 김진솔 시인은 자신을 끝없이 낮추었지만, 해설을 쓴 오민석 교수는 이번 시집을 높게 평가했다. 오 교수는 이번 시집을 “타나토스, 죽음 혹은 세계의 끝에 대한 사유”라고 정의하면서 다음과 같이 평했다.
“김진솔은 왜 그리 멀리 갈까. 그녀는 왜 에로스 너머 혹은 에로스 내부의 타나토스에 주목할까. 그녀는 왜 절단되고 끊어지고 잘라내는 것들의 실존을 응시할까. 이 시집엔 왜 그렇게 많은 죽음이 출몰할까. 존재의 시초, 탄생, 기원을 빈번히 사유하면서도 왜 그녀의 시선은 항상 세계의 끝에 가 있을까. 이 시집을 읽으며 나는 내내 이런 질문에 휩싸였다. 그리고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나는 모리스 블랑쇼에게서 찾았다. ‘존재는 존재가 아니라 존재의 결여이다.’ 블랑쇼가 말하는 ‘존재의 결여’는 ‘삶을 쇠퇴시키고 포착하기 힘든 무참한 금단으로부터 나오는 절규로밖에는 표현하기 어려운 것으로 만드는 살아 있는 결여’이다. 블랑쇼의 말마따나 존재는 존재에 이르기 전에 이미 존재를 결여한다. 존재는 단 한 번도 존재가 된 적이 없다. 존재는 오로지 존재의 결여로 살아 있다.”
붉은 원
그 밑에서부터 끓어오르는 긴 울음이 있다
주제를 모르는 피조물들을 전부 없애고 새로 지으라는 계시
거대한 몸체는 천천히 뒤집힌다 흰 배가 열리고
꿀럭이며 퍼져 나가는 저주
이제 잡혀 죽는 것은 너희일 거야,
그 목소리를 따라
물로 된 장벽이 천천히 걸어 나오고
검게 반들거리는 비늘과 아가미의 군대가
파도를 앞질러 터지듯 쏟아지니 비로소 전복의 순간
손쉽게 사냥당하던 목숨들이
붕괴되는 수평선을 뒤로하고 전진하는 광경
이제야 공평하다
뒤집히는 세계를 맞이하기 위해
성문을 열어젖히듯 두 팔을 벌린다 이제 전부 쓸려가고
나도 왔던 곳으로 돌아가리라
물로 뒤덮인 세계에서 작살은 속도를 잃을 것이다
- 「고래 사냥」 부분
“시집의 맨 처음에 배치한 이 시는 이번 시집 전체의 큰 그림을 잘 보여준다. 시인은 세계의 가장 먼 외곽에서 세계로 밀고 들어오는 신의 존재 혹은 신의 강력한 힘을 항상 의식하고 있다. 이것을 신학 용어로 신-의식이라 한다면, 김진솔은 항상 신-의식의 상태에 있다고 해도 된다. 이런 신-의식의 모티프들은 그러나 시인에게 존경과 숭배의 대상들이 아니다. 그것들은 삶과 세계의 가장 큰 외곽에서 당위와 정언명령의 형태로 다가오는 거대한 힘들이다. 이 힘은 항상 피조물들, 즉 결여로서의 존재들을 향하고 있다. 이 거대한 힘에 도저히 저항할 수 없는 결여-존재들은 항상 죽음의 문턱에 있다. 죽음이야말로 결여-존재들의 삶에 항구적인 배경이 된다. 그러므로 시인의 존재-물음은 죽음에 관한 것일 수밖에 없고, 죽음충동(타나토스)에 대한 자의식일 수밖에 없다. 위 작품의 ‘고래’는 그런 운명의 ‘사냥’에 저항(역행)하는 결여-존재의 거대한 몸이다. 결여가 현전을 향해 거는 이 싸움이야말로 신화를 거꾸로 돌리려는 전복의 상상력이 아니고 무엇인가.”
“김진솔의 시집은 분명하게도 절대적인 진리, 통합된 주체, 투명한 매체로서의 언어 개념 모두를 의심하는 반(反)형이상학의 자리에 서 있다. 시인은 그 프레임의 먼 외곽에 신을, 그리고 신으로부터 잘려 나간 주체를 그 반대편에 배치한다. 그 사이에서 일어나는 영혼의 전쟁은 치열하고, 끔찍하고, 아프다. 그러나 시인은 그 사유의 어떤 파편들도 함부로 버리거나 포기하지 않는다.”
이번 시집을 편집한 박제영 시인은 이렇게 얘기한다.
“밀레니엄 버그로 인류가 멸망할 듯 야단법석이었던 이십세기 마지막 해에 태어난 그의 문장은 계율을 깬 사제의 번민으로 얼룩져 있었다. 그의 문장을 따라가다 보면 파계한 비구니이거나 수녀일지도 모른다는 선입견은 어쩌면 당연한 수순일지도 모른다. 문장을 수선하려면 먼저 문장에 깊게 배인 파계의 얼룩을 지워야 한다고 하자 자기도 그것 때문에 수선을 맡긴 것이라 했다. 얼룩을 지우고 나자 조금씩 드러나는 스무 살의 문장들. 스무 살이 목도하고 있는 물과 불과 모래바람으로 뒤덮인 황야, 혼돈과 아수라의 세계. 정수리부터 붕괴된, 파편으로 흩어진 산산 조각난 세계. 부모를 버리고 새로 조합된 새빨간 참말로 무장한 아이들의 세계. 헛소리와 헛소리와 헛소리가 뭉친 네버랜드. 세기말적인 풍경들. 그리고 마침내 살려달라는 단말마의 비명. 그랬다. 스무 살이 묵도하고 있는 지금의 세상은 그런 풍경이었다. 아니면 지금 이 순간에도 혼자 태어나고 혼자 자라나는 스무 살들에게 바치는 헌사일 텐데 귀먹고 눈먼 어른들은 결코 볼 수 없겠다.”
김진솔 시인은 이제 겨우 약관(弱冠)의 나이를 넘겼다. 그런 그가 보여주고 있는 시세계는 사뭇 깊고 세계를 바라보는 그의 시선은 적나라하기 그지없다. 그가 자신의 시세계를 어디까지 넓히고 얼마나 깊이 내려갈지, 세계를 바라보는 시선은 또 얼마나 더 정치해지고 정교해질지 벌써부터 설레고 궁금하다. 어느 분야든 뛰어난 신인의 등장은 언제나 반갑고 즐거운 일이다.
흔적 기관 - 달아실 기획시집 26
$10.00